국내 ASF 발생현황 및 방역추진사항 (1/18(월) 9시 현재) |
||||||||||||||||||||||||||||
---|---|---|---|---|---|---|---|---|---|---|---|---|---|---|---|---|---|---|---|---|---|---|---|---|---|---|---|---|
작성일 | 2019-09-22 | 작성자 | 관리자 | |||||||||||||||||||||||||
첨부파일 | 다운로드 20190921155027938982.jpg | |||||||||||||||||||||||||||
100 |
||||||||||||||||||||||||||||
ASF 방역추진상황 (2021.1.18.(월) 09:00기준)
◈ 발생 농장 현황(21.1.18일 09:00시 현재)
◈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검출현황(957건, ‘21.1.17.18시 확진일)
◈ 야생멧돼지 관리 및 울타리 노선 현황도(2020.12.28~)
◈ ASF 멧돼지 발생지점 및 양돈농가 현황
◈ ASF 확산방지 권역화
□ (야생멧돼지) 강원 양구·춘천·화천에서 ASF 13건* 추가 발생(1.15~17) * 강원 춘천(서면) 5, 화천(사내·간동면) 4, 양구(양구읍·남면) 3, 포천(이동면) 1 ⇒ 야생멧돼지에서 ASF가 지속 발생되고 있음. 각 지자체는 모든 양돈농장에서 경각심을 갖고 농가 차단 방역을 철저히 하도록 지도·홍보 강화 ⇒ 아울러, 강원도・충북도는 영월, 양양 방역대 내 양돈농장 8호(영월 1·제천 4·강릉 3)에 대해 1월 중순까지 축산차량 진입 통제 조치가 철저히 이행될 수 있도록 지도・점검하여 주시기 바람
<1> (발생현황) 1.15~17일(3일간) 발생지역 12개 시·군 50건(포획개체 27건, 폐사체 23건) 등 전국 85건(포획개체 60건, 폐사체 25건) 검사 ⇒ 양성 13건(누적 957건* 발생)
* (1.15) 양구 수인리 1, 화천 용담리 1·방천리 1, 춘천 오월리 3, (1.17) 춘천 오월리 2, 화천 용담리 1·사창리 1, 양구 두무리 1·웅진리 1, 포천 연곡리 1(폐사체)
<2> 기존발생지역(3차 광역울타리 이북지역) ○ (발생현황) `19.10.3일 최초 발생 이후 총 919건 발생 ○ (울타리) 1.15~1.17일(3일간) 현장관리인(87명) 울타리 순찰 및 출입문 개폐상태 확인, 울타리 보수 등 16건 조치 완료 ○ (수색) 1.14~16일(3일간) 신고 1건, 수색팀 11건 등 폐사체 총 12건 발견·제거 → 5건 양성(양구3, 화천2), 3건 음성, 4건 분석중(포천 이동면, 연천 왕징면‧신서면, 화천 사내면) ○ (포획) 1.14~16일(3일간) 총 17마리 포획
<3> 핵심대책지역(3차 광역울타리~최남단 광역울타리) ○ (발생현황) `20.11.28일 이후 총 28건 발생(가평 9, 포천7, 연천 1, 춘천 10, 인제 1) ○ (울타리) 교량 등 취약구간 132개소 중 129개소 보강 완료 * 가평군 승안리 2차 울타리 설치(1.18∼31) ○ (수색) 1.14~16일(3일간) 신고 1건, 수색팀 6건 등 폐사체 총 7건 발견·제거 → 5건 양성(춘천 서면 5), 1건 음성, 1건 분석중(가평 소법리) ○ (포획) 1.14~16일(3일간) 총 9마리 포획 ※ 특별포획단 30명(포획트랩 1,190개·포획틀 92개) 투입, 총 416마리 포획(`20.10.26∼)
<4> 신규발생지역(양양, 영월) □ 양양군 서면, 현남면 일대(‘21.1.5~) ○ (발생현황) `21.1.5일 첫 발생 이후 총 2건(내현리 1건, 하월천리 1건*) ○ (울타리) 인제~강릉 광역울타리(0.5/155km, 1.17~31), 내현리 2차울타리(21.7/50km, 1.7~31), 하월천리 2차울타리(50km, 1.18~31) ○ (수색) 발생지점 반경 25km 내 84개 里, 설악산·오대산국립공원, 강릉, 고성 등 관·군 합동수색(1.6~, 누적 1,269명), 폐사체 6건 발견·제거(1건 음성, 5건 분석중*) * 1.16 하월천리, 기존 발생지점 200m 내 지역 ○ (포획) 강릉 주문진읍, 연곡면 총기유보지역 지정(광역수렵장에서 제외), 인근 양돈농가 및 발생지점 주변 포획트랩(70개) 설치(~1.14) * 발생지점·농가주변 반경 약 1∼2.5㎞ 내 드론 촬영, 멧돼지 개체 미확인(1.14)
□ 영월군 주천면 일대(`20.12.31~) ○ (발생상황) `20.12.31일 첫 발생 이후 총 8건(신일리 1건, 금마리 7건), 1.8일 이후 추가 양성 미발생 ○ (수색) 발생지점 8km 내(영월, 제천) 13개 里 관군 합동수색(’20.12.31~, 누적 1,203명*), 폐사체 1건 발견(주민신고, 1.15, 제천, 음성) * 2차 울타리 외 지역에서는 음성 폐사체 5건 발견 ○ (포획) 발생지점 반경 10km 내 지역 총기포획 유보, 포획트랩 30개 설치(12.31~) * 2차 울타리 내 드론 촬영, 멧돼지 개체 2마리 확인(1.15)
<5> 사전예방지역(최남단 광역울타리 이남) ○ 1.14~16(3일간) 592마리 포획(강원 광역수렵장* 773명 활동·119마리 포획) * (강릉) 102명 / 21마리 (홍천) 185명 / 32마리 (횡성) 260명 / 21마리 (평창) 226명 / 45마리 (누계 7,733명 / 1,648마리) ○ 1.14~16(3일간) 사전예방지역 폐사체 1건 발견‧제거(서울) → 음성 * 광역수렵장 운영 4개 시군(강릉, 횡성, 평창, 홍천) 총 91명 수색, 폐사체 미발견(1.17)
<1> (울타리) 화천‧양구‧춘천‧인제 지역 광역 구간 관리상태 점검(1.15~1.17) ○ 화천 지역 3단계 광역 울타리 구간에서 차량 충돌에 의한 울타리 및 출입문 훼손 1곳(위라리) 확인, 국립생태원에 조치 요청 ○ 마을 등에 일부 열려 있는 출입문에 대해서는 점검 시 잠금 조치
<2> 화천‧양구‧춘천 지역 포획장‧포획틀 20개소(포획장 5, 포획틀 15) 관리 및 인제 지역 멧돼지 양성개체 매몰지 관리상태 점검(1.15~1.17) ○ (포획틀) 유인 먹이 없는 포획틀(구운리 1개소) 확인, 화천군에 조치 요청 - (양구, 춘천) 설치장소 적정(멧돼지 흔적 확인), 유인 먹이 관리 상태 양호 ○ (매몰지) 훼손 흔적 없었으며, 출입금지 표지판 및 테이프 상태 양호
<3> (농장방역) 화천‧양구‧춘천 지역 양돈농장 6호 방역관리, 농장초소 4개소 및 거점소독시설‧이동통제초소 5개소 운영실태 점검(1.15~1.17) ○ (농장 차단방역) 농장 주변(뒤쪽 포함) 울타리 설치 및 생석회 도포, 차량‧대인용 소독시설 정상 작동 및 축사 내‧외부 소독 실시 확인 - 최근 멧돼지 발생(1.15) 인근(약 7km) 농장(화천 간척리) 경우 정문 이외 다른 진출입로 없었으며, 뒤쪽 부분 울타리 및 생석회 상태도 양호 - 일부 농가(화천 유촌리)의 경우 농장 후문으로 사료차량, 퇴비반출 차량 출입시 농장 출입구에 설치된 소독시설 이용 후 후문 출입 ○ (농장초소 운영) 초소 근무상황(정위치 근무, 방역복 착용 등) 양호, 출입차량 소독필증 확인 및 차량‧사람 출입기록 관리 적정 확인 ○ (통제초소 운영) 초소 근무상황(정위치 근무, 소독필증 발급 등) 양호, 차량‧대인용 소독시설 운영(보온장치 설치, 차량바퀴 소독 등) 양호 확인
<4> (軍 방역) 접경지역 민통선 내‧외 주요도로 방역상황 및 철원‧고성 지역 민통초소 12개소(철원 8, 고성 4) 소독시설 운영실태 점검(1.15~1.17) ○ (도로방역) 철원 접경지역 주요도로에만 소독 실시. 나머지 5개 시군(화천, 양구, 춘천, 인제, 고성) 주요도로에는 미실시(도로결빙 등) ○ (민통초소) 철원 민통초소(마현리)만 U자형 차량 소독기 운영(1.15). 나머지 민통초소에서는 휴대용 분무기 이용하여 차량 소독 실시
<1> (울타리) 연천 광역울타리 및 포천 2차울타리 구간 현장 점검 ○ 출입문, 하부틈새, 배수로, 안내표지판 부착 등 관리상태 양호하며, 일몰 전 출입문 개폐상태 확인 결과 이상없음 ※ (연천) 장탄교차로∼어유교차로 12km, (포천) 영북면 운천리∼산정리 7km
<2> (매몰지·포획도구) 포천 멧돼지 매몰지 2개소(관인면1, 창수면1), 포획틀 3개소(연천읍 동막리) 및 포획트랩 3개소(연천읍 옥산리) 현장 점검 ○ (매몰지) 생석회 도포, 주변소독, 안내판 및 차단울타리 관리상태 양호하며, 관리인력의 소독‧방역 실시 확인 ○ (포획도구) 멧돼지 이동길목 설치, 미끼공급 적정, 작동상태 등 양호하며, 관리인력 상시 점검 실시 확인
<3> (가축방역) 멧돼지 방역대 및 중점방역관리지구 양돈농장/시설 방역상황 점검 ○ (농장) 양돈농장 6개소(포천 5개소 및 연천 1개소) 차단방역 실태 - 생석회 도포 실태 및 축사 내 장화갈아신기 등 내·외부 소독관리 적정 - 울타리 설치, 사람·차량 농가진입 통제 등 차단관리 적정 * (지도·홍보) 손씻기/장화갈아신기 실천, 1월27일까지 14-15시 일제 집중소독 독려 ○ (거점소독) 포천2(창수;1,영중;1), 연천1(연천읍)등 3개소 운영 실태 - ASF 허가소독제 사용/희석배수 준수, 차량 내․외부 소독 실시, 근무자의 진입차량 대응 및 대인소독기 운영 등 운영관리 양호 * (지도사항) 기온하강 시 발판소독조 동결 방지를 위한 관리 철저 및 안전사고 유의 등
<4> (軍 방역) ASF 도로방역 및 폐사체 수색 지원․교육 ○ 화생방 ASF 도로방역 지원 - 방역대상 도로 중 결빙 우려로 포천시 구간 도로(31㎞)만 방역 中 ○ ASF 야생 멧돼지 포획틀 운용 및 폐사체 수색활동 - 포획틀 137개, 덫 44개 운용 中 : 포획된 멧돼지 및 사체 없음 - 軍 단독 기동순찰을 통한 폐사체 수색(9개팀 33명) 활동 지속 ○ 민통초소(28사단 1·2초소) ASF 방역시설 동파방지 및 현장 확인 - 스팀방역기 등 소독시설 동파방지 설비 및 소독시설 관리 양호
|
||||||||||||||||||||||||||||
목록 | ||||||||||||||||||||||||||||
다음게시물 | 다음게시물이 없습니다. 전국 한돈농가, 일제 청소 및 특별소독 캠페인 전개 | |||||||||||||||||||||||||||
이전게시물 | 이전게시물이 없습니다. ASF 발생현황 및 방역대책 추진상황 (9월 21일 07:00 현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