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회원 서비스

배너광고

자유게시판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왜 2010-2011 구제역을 근절에 성공하지 못 했을까? 3

작성일 2021-12-04 작성자 한병우

100

구제역과 같은 동물 감염성 질병의 대책은 시간과의 싸움일 때가 있다. 우선 발생 후 가장 빠르게 그 발생을 인지하여야 함이 필요하다. 이는 향후 유행 규모를 결정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역학적으로 이 기간을 고 위험기간 1(high risk period 1)로 규정하고 있다. 여기 까지는 농가에 그 책임이 있을 수 있다. 일단 진단으로 발생이 확인되면 신속하게 대책이 이행되어야 한다. 질병 방생을 진이하고 더 이상 확산의 위험성이 없는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 (high risk period 2) 
1997년 대만에서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결론적으로 근절하지 못하고 상재화되어 더 이상 대만에서 일본으로 돼지 고기 수출길이 막히게 되었으며 대만의 양돈 산업에 치명타가 되었다. 이때 대만 방역은 구제역 대책을 이행하면서 발생 농장을 확인하고 살처분하는데 40% 이상이 진단 후 11일이 경과한 시점이었고 20% 이상은 진단 후 10알아 경과한 다음 이었다.  이는 구제역 바이러스를 최대 생산하게 한 다음 살처분시킨 모양새이다. 
한국의 경우는 어떠했는가 ? 농림수산식품부에서 2011년 12월 발간한 2010-2011 구제역 역학조사 보고서를 보면 여러 농가에서 동시 발생으로 초기 매몰 작업 지연을 확산 원인 중 하나로 들고 있다. 
질병의 확산을 보면서 이와같은 많은 노력과 돈을 들여야 하는 과정인 살처분이 지연됨을 국내 유행 어느 시점에서 인지하게 되었는지 세부적 기록되어 있지 않아 알 수 없지만 정책 변화 즉 추가적인 대책이 시행되었어야 했다. 
이러한 예는 2001년 네덜란드에서 예가 있었다. 2001년 영국에서 구제역 발생 후 아일랜드로부터 수입한 송아지로 구제역이 유입된 이후 구제역 확인 농장은 물론 인근 농장을 대책으로 살처분하여야 하는데 그 예상 시간이 인력 부족으로 72시간을 경과할 것으로 예측되자 신속하게 예방 접종 방침을 이행하게 됩니다. 그리고 먼저 발생하였던 영국보다 빨리 구제역 근절에 성공합니다. 아마도 일본이 택하고 있는 구제역 대책 중 예방 접종 부분은 이러한 예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감염성 질병에 대처하기 위한 대책을 어떻게 적절하게 적용하는가가 그 성패를 좌우하는 예로 보고 싶다. 
 

목록
다음게시물 왜 2010-2011 구제역을 근절에 성공하지 못 했을까? 4
이전게시물 외국인근로자 출국만기없이 계속근무가능 농장주님 보세요꼭!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