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한돈뉴스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ASF 발생 2년…정책 달라져야 한다

작성일 2021-09-17 작성자 관리자

100

ASF 발생 2정책 달라져야 한다
 
농장서 20건 발생, 260농가 살처분 피해
야생멧돼지 ASF1600건 넘어, 남하 중
8대 방역시설 등 농장 단위 방역 크게 강화
ASF 전파력 생각보다 낮아 정책 변화를
환경부, 야생멧돼지 감축에 적극 나서야
농가, ‘상수아닌 변수로 끝내도록 노력을
 
ASF(아프리카돼지열병)이 국내에 발생한 지 2년째, 정부의 방역 정책도 이제는 변화돼야 한다는 여론이 비등해지고 있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 ASF SOP 개정이 급선무라는 지적이다.
 
2019916일 경기도 파주시 소재 농장에서 ASF 의심축 신고가 처음으로 접수됐다. 방역당국은 폐사한 모돈에 대한 ASF 정밀 검사 결과 17일 오전 630분경 양성으로 최종 확진했다. 이로써 대한민국에 처음으로 ASF가 발생한 것이다. 이후 야생 멧돼지에서도 검출되면서, 국내 ASF 확산은 시작됐다.
 
ASF 발생 초기, 백신 없는 치사율 100% 질병으로 인식되면서 정부는 확산 방지를 위해 과도하고 과감한 방역 정책을 실시했다. 농가들의 반대에도 불구 ASF SOP(긴급행동지침)상 살처분 범위를 발생 지역 500m에서 3km, 다시 지역 단위로 확대하면서 발생 지역의 모든 돼지를 수매하고, 살처분했다. 예방 살처분이라는 명목으로 260여 농가가 피해를 겪었다.
 
이후 정부는 경기 북부 지역 및 강원도에 ASF 중점 방역 지구를 설정하고 8대 방역 시설 등 농가 방역을 강화하기 시작했다. 멧돼지 남하를 위해 국토를 동에서 서로 잇는 대규모의 광역 울타리를 건설했으나, ASF 남하를 막지는 못하고 있다. 지난 10일 현재 야생 멧돼지 ASF 발생 건수는 1600건을 넘어섰으며, 강원 남부 지역까지 확대됐다. 즉 야생 멧돼지 방역 실패로 이로 인한 피해는 양돈농가들이 고스란히 받고 있는 것이다.
 
강원도 및 중점방역지구농가들은 지난 2년간 정부의 ‘8대 방역 시설차량진입통제시설구축과 아울러 농가 방역 의식은 강화되고 있는 반면, 이에 반해 정부 정책은 광역 허점 많은 울타리 설치 등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토로했다. 이들 농가들은 농가 방역 수준에 버금가는 멧돼지 관리 정책 등 현실적인 대책들이 추진돼야 정부 정책을 농가들이 신뢰할 수 있다고 주장, 농가들의 현장 의견도 수렴해 이를 정책에 적극 반영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문가들은 이미 국내 ASF는 상재화 단계에 접어 들었다며, ASF 백신이 개발되고 공급될 때까지 멧돼지 포획수를 획기적으로 저감해야 한다고 말한다. 특히 ASF SOP(긴급행동지침)를 개정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한돈협회는 ASF SOP 개정안을 마련, 정부에 요구하고 있다. 요구안에 따르면 농장에서는 정부 지침에 따라 8대 방역 시설을 갖추었고, ASF는 전염성이 낮으므로 발생 농장만 살처분이 필요하다는 것. 또한 야생 멧돼지 방역대도 10km에서 3km로 대폭 축소, 농가들의 경제적인 활동을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같이 농가들은 정부가 이제 ASF 발생 매개체인 야생 멧돼지 통제가 어렵다면, 농가의 경제권 보장을 위해 위드-ASF’ 정책으로 전환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래야 ASF가 한돈산업에서 변수에서 상수(常數)’가 되어 가고 있는 상황에서 변수로 끝낼 수 있다고 농가들은 호소하고 있다.
 
[출처 : 양돈타임스 2021. 9. 16.]
 

목록
다음게시물 [농식품부] 추석 연휴 전국 일제소독으로 상시 방역태세 유지
이전게시물 “축산분야 피해 없는 탄소 저감 노력”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