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협회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한국양돈수의사회] 돼지도 코로나바이러스 19 에 감염될 수 있어”보도에 대한 한국양돈수의사회 입장

작성일 2020-09-15 작성자 관리자
첨부파일 다운로드 보도자료_200915.hwp

100

돼지도 코로나바이러스 19 에 감염될 수 있어보도에 대한

한국양돈수의사회 입장


 

한국양돈수의사회(회장 김현섭)는 최근 캐나다식품검사국(CFIA) 등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돼지도 코로나바이러스 19(SARS-CoV-2)에 걸릴 수 있다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일부 매체의 보도와 관련하여 관련 실 결과 등을 검토한 결과 관련 보도는 실험의 결과를 과장하여 확대 해석한 것 임을 알려드립니다.

더불어 이 같은 연구결과를 제공한 캐나다식품검사국(CFIA)은 공식적으로돼지 등 식육을 제공하는 농장동물에 대한 코로나 바이러스 19(SARS-CoV-2) 감수성 검사 결과 식육으로 코로나 바이러스가 전파되어 사람을 감염시킬 없음을 확인하였습니다.

(https://www.inspection.gc.ca/covid-19/information-for-consumers-about-food-safety-and-an/eng/1584648921808/1584648922156#q2a)

 

Covid-19 돼지 감염성에 대한 연구의 실험 내용을 과학적으로 분석, 판단해 본다면 다음과 같은 이유로 코로나 바이러스 19(SARS-CoV-2) 돼지에 감염되거나 병증을 유발할 있다는 증거를 찾기가 어려우며, 돈육으로 인한 인체감염의 위험성은 거의 존재하지 않음을 다시한번 강조합니다.

 

이하는 발표 자료에 대한 한국양돈수의사회의 검토 내용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19(SARS-CoV-2) (이하 바이러스’) 돼지 체내에 침투하여 감염되고 질병을 일으켰다는 증거가 없습니다. 바이러스가 검출된 비강 스왑이나 구강액 검사는 일반적인 실험보다 10 높은 농도로 바이러스를 공격접종 접종 경로에 있는 것으로 감염 초기에만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된 것은 공격 접종한 바이러스가 검출된 가능성이 아주 큽니다.

 

항체는 다량의 외부 단백질 항원이 소화기, 호흡기등 여러 경로를 통해 체내로 흡수 유입되면 형성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0배 이상의 과량 바이러스를 비강과 구강 그리고 카테터로 접종한 이번 실험의 중화항체는 질병 감염에 의한 항체라기 보다는 과량의 외부 단백질에 의해서 제한적으로 형성된 항체일 수 있습니다. 이것은 총 16마리의 돼지 중에 단 2마리에서만 각 2일간만 항체가 검출된 것이 그 근거입니다.

 

실험에서 음성돈(보안관돈)을 중간에 투입하여 양성인 돼지에서 투입된 음성돼지 바이러스가 전파하는지를 실험하였는데 모두 음성의 결과가 나왔으므로 돼지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체내에서 바이러스가 증식하고 이 바이러스가 다른 돼지에 전파하지 않는다는 결과입니다. 실험에서 바이러스 양성 돼지의 입과 코에서 확인된 바이러스는 살아있지 않은 죽은 바이러스의 유전자로 확인되었으므로 바이러스가 있더라도 감염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19 감염에 의한 전형적인 발열과 호흡기 임상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고 다른 장기에서 병변을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악하 임파절에서 확인된 바이러스의 경우 세포 접종으로 세포독성효과(CPE)와 바이러스의 증식이 확인되었다고 하였으나 조직의 염색이나 항원염색으로 조직내 혹은 조직 세포 내 바이러스의 존재 및 조직 변성 증거를 제시하지 못하였습니다. 따라서, 이는 바이러스가 감염되어 악하 임파절에 존재하였다는 증거가 부족합니다. 따라서 바이러스를 접종한 경로에 존재하는 악하 임파절의 특성상 공격 접종 혹은 기타 다른 경로의 오염일 가능성 배제할 수 없습니다.

 

기존에 코로나바이러스 19의 돼지 감염에 대해 증명한 저명한 다른 연구들이 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한결같이 돼지가 코로나바이러스 19에 감수성이 없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특징적인 임상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투여한 바이러스의 감염을 증명할 수 있는 감수성 있는 내부 장기의 병리조직학적 변화가 확인되지 않았고, 투여 13일차 바이러스가 검출된 림프절에서 감염으로 확인할 수 있는 병리조직학적 변화 또는 조직 내 항원의 세포 내 존재를 직접 증명한 결과가 없었습니다.

문헌

문헌 #1

Shi J (2020. 3)

문헌 #2

Schlottau K (2020. 7)

문헌 #3

Pickering BS (2020. 9)

연령

40

9

8

감염용량

105PFU

105TCID

106PFU

투여경로

비강내 접종(IN)

비강내 접종(IN)

구비강내 접종(Oronasal)

병리변화

-

없음

없음

항원검사

음성

음성

2두 양성(비강세척액)

항체검사

음성

음성

2두 양성

1. 돼지에서의 코로나바이러스 19 감염에 대한 선행 연구 결과 비교

 

앞서 열거한 과학적인 근거로 돼지는 코로나바이러스 19에 감염될 수 있다는 보도는 실험의 결과를 과장되게 확대 해석한 결과입니다. 심지어 이 연구 논문의 마지막 고찰 부분에서도 아직까지 양돈 농장의 돼지가 코로나바이러스 19에 감염되었다거나 증상을 나타내었다는 보고가 없으며 본인의 연구 결과는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들에서도 코로나바이러스 19의 감염 가능성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고 모니터링 해야 한다고 마무리하고 있습니다.

 

 

 

 

 

 

 

한국양돈수의사회 학술위원회

목록
다음게시물 [대한수의사회] 돼지의 코로나19 감염 위험성 제기에 대한 의견
이전게시물 [한돈자조금] 다릿살 소비촉진 나선 한돈자조금, 하반기 비대면 홍보 ‘공략’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