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지부소개

배너광고

지부 알림사항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업무연락] ‘14년 구제역 일일 발생상황 및 농가 준비사항 알림

작성일 2014-07-29 작성자 관리자

100

(긴 급)업 무 연 락

( 2014. 7. 29 )

수 신 : 각 도협의회 및 지부()

 

제목 : ‘14년 구제역 일일 발생상황 및 농가 준비사항 알림

1. 귀 지부()의 발전을 기원합니다.

 

2. 협회에서는 이번 구제역 일일 발생상황과 농가 준비사항에 대해 알려드리오니, 참고해 구제역 재발 방지에 힘써 주시기 바랍니다.

 

3. 구제역 일일 발생상황은 상황 발생시 추가해서 신속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관련자료는 한돈협회 홈페이지(www.koreapork.or.kr)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별첨: 2014년 구제역 일일 발생상황 및 농가 준비사항 1. ‘

 

 

 

 

 

사단법인 대한한돈협회장

2014구제역 발생 상황 및 준비사항

- 대한한돈협회 -


1. 2014년 구제역 발병 상황

723= 경북 의성 돼지농장(A)의심축 신고(1,500두 비육 위탁농장)

자돈 공급한 본장은 고령군 운수면 위치(3,000)

724= 33개월만에 경북 의성군 농장 양성 확진(혈청형 O)

‘10년 구제역 당시 예방적 살처분 농장, 항원은 음성 판정

725= A농장의 6개 돈사 1,500두 중 임상증상을 나타내는 3개 돈사 692두 살처분, 나머지 임상증상 없는 개체는 지속 관찰 중

726= 고령군 2개 농장(의성 입식해준 농장에서 위탁 운영중인곳) 야외바이러스감염항체(NSP) 검출 27일 검사결과 항원 음성 판정.

727= 경북 4개 시·군 구미, 군위, 의성, 고령 구제역 긴급 예방접종 명령 고시

= 접종대상(분만 3~4주전 어미돼지를 포함해 생후 3개월된 자돈, 접종후 4~7개월 된 수컷돼지)

727= 고령 운수면 월산리(2,000, 일관농장) 돼지농장 2번째 의심신고

728= 고령 운수면 월산리 농장 양성 확진(혈청형 O)

5월말~6월초 자돈 650, 모돈 225두 구제역 예방접종 실시

728= 3개에서 증상보인 30+정밀조사 추가된 10두 우선 살처분 조치 시행.

 

2. 구제역 관련 과태료 부과 기준

구분

위반횟수별과태료

비고

1

2

3

구제역

(FMD)

번식돈 - 항체가 60% 미만

50

200

500

가축전염병예방법

60

비육돈 - 도축장 모니터링에서 PI30이상이 60% 미만일 경우로 예방접종 미실시여부농가로 최종 판정시

예방접종 확인서 미휴대

50

200

500

소독기록부 미비치 및 허위기재

50

150

300

 

3. 농가에서 준비사항(대처방법)

철저한 백신접종, 차단방역, 소독 실시

구제역 백신 구매기록, 백신접종 기록

구제역·돼지열병 예방접종 확인서, 농장방명록 및 소독실시기록부 작성

매일 임상예찰을 실시하고 구제역 의심증상이 있을 경우 신속히 관계 기관에 신고

 

<구제역 이란?>

구제역(FMD : Foot-and-Mouth Disease)은 소, 돼지, , 염소, 사슴 등과 같이 발굽이 둘로 갈라진 동물(우제류 동물; 偶蹄類)에서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급성 가축전염병으로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서도 주요 가축전염병으로 분류하고 있음

사람에게 전염되는 인수공통전염병은 아님

병원체는 구제역 바이러스이나 섭씨 50이상의 온도에서 파괴되고 강산이나 강알칼리(pH 6이하 또는 9이상) 조건에서 쉽게 불활화됨

잠복기는 보통 12주 정도임

주요 증상으로는 입술, 잇몸, 구강, , , 유두 및 발굽 사이에 물집(수포)이 형성되고, 보행불편, 유량감소 및 식욕이 저하되어 심하게 앓거나 폐사됨

<‘NSP’ 항체 양성이란>

“NSP 항체?

야외바이러스감염항체(NSP-(non-structural protein, 비구조단백질))는 구제역 백신 항체(SP)와 달리 구제역 야외 바이러스에 감염되고서 12주 지나 동물 체내에 형성되는 항체

그러면 “NSP 항체가 검출되는 경우는?

구제역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었거나,

백신 제조 시 바이러스의 NSP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경우

*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NSP가 제거된 백신을 수입하여 사용 중

“NSP 항체양성동물 발생 시 조치내용은?

현재 NSP 항체만 보유하고 있는지 또는 구제역 바이러스도 보유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추가 정밀검사(아래 모식도”) 및 역학조사 실시

*구제역 감염시 NSP 항체는 감염 후 3년까지 검출 가능하다는 보고도 있음

NSP 항체 검출가축에 대해서는 도태권고

 

() 대한한돈협회돼지 FMD·열병 박멸대책위원회

목록
다음게시물 업무연락-구제역 발생에 따른 백신접종 철저 요청
이전게시물 긴급업무연락-구제역 의심신고에 따른 백신 및 소독철저 요청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