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지부소개

배너광고

지부 알림사항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등급제 대응] 도축·유통업계의 박피중단 연장요청 묵살은 ‘상생파기 선언’이다!

작성일 2017-12-15 작성자 관리자

100

도축·유통업계의 박피중단 연장요청 묵살은 상생파기 선언이다!

한돈협, 기간연장 요청했으나 축산물처리협회 등 거절

유통업계, MOU 정신에 따라 12. 11부터 등급제 정산 전면 실시해야

 

최근 일방적 박피 도축 중단방침에 따라 한돈협회는 등급제 정착 방안 마련 및 농가 계도를 위해 최소한 기간연장을 요청했으나, 유통업계는 한치의 양보 없이 한돈농가의 요구를 묵살하고 1211부터 박피 도축 중단을 선언했다.

 

이에 대한한돈협회(회장 하태식)는 도축 유통업계의 일방적인 박피도축 중단선언은 생산자들과의 상생 책임을 묵살하는 것이며, 이에 따른 현장혼란의 책임은 축산물처리협회-육류유통수출협회임을 분명히 하고 이를 묵과하지 않을 것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6일 열린 <박피도축 중단관련 관계 기관단체 회의>에서 한돈농가와 도축·유통업계간의 이견을 조정하기 위한 논의를 진행했으나 축산물처리협회-육류유통수출협회, 농협1211일부터 박피도축 중단 선언을 재확인했다.

이날 한돈협회는 박피 중단의 필요성은 동의하지만 20157월 체결한 등급제 정산 정착을 위한 공동협약(MOU)에도 불구하고, 현행 박피 도축 중단은 육가공업체들이 요구하는 탕박지급률제만이 고착될 수 있기 때문에 박피도축 중단 연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한돈협회가 요청한 박피중단 6개월기한 보류 요청은 축산물처리협회-육류유통수출협회 반대로 무산되었, 또 다시 양보하여 3개월 연장, 마지막으로 최소 3, 즉 올해 1231일까지의 최소한의 유예기간 연장을 요구했으나 한돈농가의 요구는 끝내 거절됐다.

 

이와 관련해 한돈협회는 상생의 책임을 회피하고, 오는 1211일부터 일방적인 박피도축 중단에 따라 현장에서 발생하는 혼란의 책임은 도축·유통업계임을 분명히 한다.

이와 관련해 향후 도축·육가공업체들이 MOU 원칙대로 등급제 정산방식을 시행하지 않을 경우 어떠한 불이익도 감수해야 할 것이며, 1211일부터 탕박등급제 정산을 전면 실시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정부는 탕박등급제 정산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철저한 행정 지도와 지원조치를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을 촉구한다.

 

2017127

사단법인 대 한 한 돈 협 회 장 (회장 하태식)

서울서초구 서초중앙로69 T. 02)581-9751 F. 02)581-9768 담당: 정책기획부

목록
다음게시물 [등급제 대응] 한돈 가격 안정 및 품질 향상을 위한 등급제 정산 정착 협조 요청
이전게시물 [등급제 대응]회원사의 등급제 정산 시행 및 정산 방법 현황 요청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