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서]"환경부는 하루빨리 야생멧돼지 저감대책 제시하라” |
|||
---|---|---|---|
작성일 | 2019-10-08 | 작성자 | 관리자 |
첨부파일 | 다운로드 [19.10.08][성명서]환경부는 하루빨리 야생멧돼지 저감대책 제시하라(최종).hwp | ||
100 |
|||
"환경부는 하루빨리 야생멧돼지 저감대책 제시하라” 야생멧돼지 개체수 조절 및 지역별 관리대책으로 ASF 막아야 1. 지난 10월 3일 연천 비무장지대(DMZ)에서 발견된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바이러스가 검출된 사건은 대한민국 한돈산업의 운명을 좌우할 수 있는 충격적인 일이다. 이처럼 야생멧돼지가 ASF 전파의 ‘최대 복병’으로 떠올랐는데도 야생동물 관리 주무 부처인 환경부의 야생멧돼지 대책을 도대체 찾을 수 없다는 사실에 전국의 한돈농가들이 절망하고, 분노하고 있다. 2. 대한한돈협회(회장 하태식)는 이미 ASF의 최우선 위험요소로 야생멧돼지를 의한 ASF 바이러스 전파를 우려하고, 환경부와 정치권을 대상으로 선제적인 야생멧돼지 개체수 조절을 촉구해 왔다. 이동이 자유로운 멧돼지가 ASF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어디로 확산할지 예측조차 어렵기 때문이다. 3. 이제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지금이라도 환경부는 한돈협회가 요구하는 야생멧돼지 지역별 관리 및 적극적 저감 대책을 수용해 ASF 확산 저지에 앞장서 나서야 한다. 이미 유럽 등 우리보다 ASF를 먼저 경험한 여러 나라를 통해 야생멧돼지가 바이러스 전파의 주범이 됐던 사례를 확인했는데도 환경부가 수수방관하여 만약에 또다시 야생멧돼지에서 ASF 바이러스가 검출될 경우 그 모든 책임은 환경부가 져야 할 것이다. 4. ASF는 국가적 재난이다. 대통령도 ASF의 남쪽으로 확산을 막는 것을 최우선과제로 지시한 만큼 환경부는 하루빨리 강력하고, 적극적인 야생멧돼지 저감 대책을 시행하라. 이 같은 요구를 무시한 채 지금과 같은 안이한 태도를 계속할 경우 전국 300만 농민과 연대한 한돈농가의 강력한 투쟁이 불가피함을 엄중히 경고하는 바이다. 2019년 10월 8일 사단법인 대 한 한 돈 협 회
|
|||
목록 | |||
다음게시물 | 다음게시물이 없습니다. 아프리카돼지열병 차단...발생지 주변 '완충지역' 집중 관리 | ||
---|---|---|---|
이전게시물 | 이전게시물이 없습니다. 양주, 동두천, 고양시 돼지의 남양주 도축장 일시 출하 허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