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돈협, ASF 연천 전체 살처분 반대 1인시위 실시 |
|||
---|---|---|---|
작성일 | 2019-10-14 | 작성자 | 관리자 |
첨부파일 | 다운로드 [19.10.14] 한돈협 asf 1인시위 실시(붙임포함)_(죄종).hwp | ||
100 |
|||
“ASF의 원인은 야생멧돼지이다” 한돈협, ASF 연천 전체 살처분 반대 1인시위 실시 - 청와대,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등 3개소에서 릴레이 시위 - 10.17일 ASF 피해농가 보상촉구 한돈농가 총궐기대회 세종청사 개최 □ 대한한돈협회(회장 하태식)는 10월 14일(월)부터 일방적인 특단의 조치로 연천, 강원 접경지역 등에서 시도되고 있는 양돈농가 생존권 박탈, 일괄 살처분 정책 즉각 철회와 정부의 살처분 정책에 희생된 농가에 대한 합리적 보상책 마련을 촉구하는 릴레이 1인 시위를 청와대,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앞에서 실시한다. □ 하태식 회장은 접경지역의 야생멧돼지에서 ASF바이러스가 잇따라 검출된 만큼 정부의 집돼지 몰살정책으론 ASF를 막을 수 없다고 밝히고, 현재 진행중인 연천 지역에 대한 시군단위 살처분 말살정책을 즉각 중단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 첫째, 연천내에서는 농장간 수평전파 사례가 입증된 적이 없으며, 둘째, 발생농가 3km 이내 농가 수평감염 사례 역시 단 1건도 없다. 셋째, SOP 매뉴얼 상 살처분 범위인 반경 500m보다 400배나 넓은 반경 10km도 모자라 2,800배에 이르는 면적인 연천군 전체를 아무런 과학적 근거없이 살처분하는 소거작전을 펼치고 있다. 한돈협회는 이러한 정부의 살처분 말살 시도를 즉각 중단하고 방역정책 수정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 하태식 대한한돈협회장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 이후 정부는 농가의 동의없는 특단의 조치를 남발하여 농가 피해에 대한 어떠한 보장도 없이 대한민국 양돈산업을 초토화시키고 있다고 강조하고 일방적 살처분 정책을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 ○ 접경지역 인근의 모든 돼지들이 살처분되는 상황에 몰렸지만 해당 농장들은 재입식 전망조차 어려워 폐업에 준하는 상당한 피해 감수를 일방적으로 강요당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처럼 해당지역 농가들과의 어떠한 상의 없이 내리진 ‘사형선고’는 용납될 수 없으며, 합리적인 보상책이 반드시 마련될 때까지 전국의 한돈농가들은 함께 투쟁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 한돈농가 릴레이 1인 시위는 청와대,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앞에서 매일 9~12시, 12~15시, 15~18시 까지 3개조로 릴레이로 진행될 예정이다. 10월 14일(월) 1일차 주자로 하태식 한돈협회장(청와대 앞)을 시작으로 1주일간 대한한돈협회 임원진과 한돈농가들이 릴레이 1인 시위를 진행할 예정이다. ○ 대한한돈협회는 이후에도 한돈농가의 생존권 사수를 위해 10월 15일(화) 국회 기자회견, 10월 17일(목) ASF 살처분 말살정책 중단 및 피해농가 보상촉구 전국 한돈농가 총궐기대회 (장소: 환경부 세종청사 앞), 10월 18일 ASF 피해지역 비상대책위원회 집회 (장소: 경기도 북부청사 앞) 등을 개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붙임 : 1. ASF 피해농가 보상`촉구 1인시위 사진(하태식 한돈협회장) 1부 (행사후 배포) 2. ASF 피해농가 보상촉구 요구사항 1부. 끝. < 원인 규명없는 무분별한 살처분 즉각 중단하라! > 정부가 아프리카 돼지열병 확산방지를 위해 명확한 원인 규명없이 경기 강화, 김포, 파주에 이어 연천지역의 돼지 전체를 수매·살처분 하려고 하고 있다. 이에, 우리 한돈농가는 정부의 일방적인 살처분 정책에 반대하며 농가의 생존권 보호를 요구한다! 또한, 아프리카 돼지열병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야생멧돼지에 대한 환경부의 특단의 대책을 요구한다! - 우리의 요구 - 하나. 정부는 무분별한 수매·살처분 정책을 즉각 중단하라! - 이미 접경지역의 야생멧돼지에서 ASF 발생이 확인(10/12~13)되어 멧돼지가 원인으로 추정되고 농가간 전파가 불분명함에도 불구하고, 연천지역 등의 모든 돼지에 대한 수매·살처분 정책을 즉각 중단하라! 하나. 살처분 농가에 대한 생존권을 보장하라! - 정부의 방역정책에 동참하여 내 자식같은 돼지를 땅에 묻고, 처분한 한돈농가들의 생존권 보장과 재입식에 대한 약속을 먼저 선행하라! 하나. 환경부는 야생멧돼지 발생의 책임을 지고 전부 사살하라! - 그 동안 북한 야생멧돼지로부터의 전파를 막기 위해, 한돈협회가 수 십 차례 건의했던 멧돼지 개체 수 조절 및 소탕 요구를 무시했던 환경부는 야생멧돼지에서의 발생에 대한 책임을 지고 전국 야생멧돼지 포획 및 사살을 즉각 시행하라! 2019. 10, 전국 한돈농가 일동 대한한돈협회는 14일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정부 측에 ‘경기 연천 일괄 살처분 반대, 멧돼지 관리 우선 요구’를 외치는 1인 시위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하태식 대한한돈협회장을 시작으로 전국 한돈농가가 참여하는 이번 시위는 연천지역 등 모든 돼지의 수매 및 살처분을 즉각 중단하고, 한돈 농가에 대한 생존권을 보장할 것과 환경부에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의 주요 원인인 야생멧돼지 특단대책 마련을 촉구하기 위해 열린다. 이번 시위는 오는 18일까지 청와대, 농림식품부, 환경부 앞에서 동시에 진행된다. (사진 왼쪽 부터 대한한돈협회 최성현 상무, 하태식 회장, 박광진 경기도협의회장) 사진은 1인 시위중인 하태식 대한한돈협회장. 사진은 1인 시위중인 하태식 대한한돈협회장. (1014)ASF 1인시위(농림부)_안정용 정읍지부장 (1014)ASF 1인시위(농림부)_이웅열 전북도협의회장 (1014)ASF 1인시위(환경부)_이상희 예천지부장_ (1014)ASF 1인시위(환경부)_정태주 이사 (1015) ASF 1인시위(청와대)_손종서 부회장 (1015)ASF 1인시위(청와대)_이기홍 부회장_ (1015)ASF 1인시위(청와대)_이운상 파주지부장 (1015)ASF 1인시위(농림부)_1 조상덕 논산지부장 (1015)ASF 1인시위(농림부)_2 이춘근 아산지부장 (1015)ASF 1인시위(농림부)_3 오재곤 전남도협의회장 (1015)ASF 1인시위(환경부)_김춘일 충북도협의회장_ (1015)ASF 1인시위(환경부)_배병규 충북한돈협동조합장_ (1015)ASF 1인시위(환경부)_전종두 음성지부 사무국장_ (1016)ASF 1인시위(농림부)_1 김진삼 부회장 (1016)ASF 1인시위(농림부)_2 김재우 제주도협의회장_ (1016)ASF 1인시위(청와대)_2 양재성 안성지부장_ (1016)ASF 1인시위(환경부)_1 유기옥 경남도협의회장 (1016)ASF 1인시위(환경부)_2 오승주 양산지부장_ (1017)ASF 1인시위(농림부)최상락 충남도협의회장 (1017)ASF 1인시위(환경부)장성훈 감사 (1017)ASF 1인시위(농림부)_2 서승기 이사 (1017)ASF 1인시위(농림부)_3 김동진 이사 (1017)ASF 1인시위(청와대)_1_박덕기 이천지부장 (1017)ASF 1인시위(청와대)_2_김성수 고양지부장 (1017)ASF 1인시위(환경부)_2 배상건 이사 (1017)ASF 1인시위(환경부)_3 정태홍 강원도협의회장 (1018)ASF 1인시위(농림부)_1 김정우 부회장 (1018)ASF 1인시위(환경부)_1 구경본 진안지부장
|
|||
목록 | |||
다음게시물 | 다음게시물이 없습니다. 중점관리지역 방역조치 및 경기북부·강원북부 차량통제 기한 연장 | ||
---|---|---|---|
이전게시물 | 이전게시물이 없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환경부‧국방부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에 따른 긴급대책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