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돈협, 강원 영월 야생멧돼지 CSF 발생 따른 방역관리 철저 당부 |
|||
---|---|---|---|
작성일 | 2019-12-12 | 작성자 | 관리자 |
100 |
|||
강원 영월 멧돼지 CSF 검출 증가…백신접종 철저 당부 한돈협, 강원 영월 야생멧돼지 CSF 발생 따른 방역관리 철저 당부 지난 12월 4일 강원도 영월지역에서 발견한 야생멧돼지 폐사체 7두중 5두에서 돼지열병(CSF) 바이러스 야외주가 검출되어 농가 방역관리에 더욱 유념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예방을 위해 멧돼지 포획 및 침입차단시설 지원 등 방역관리를 추진 중인 상황에서 일반 돼지열병(CSF) 바이러스 역시 야생멧돼지에 발견되고 있어 농가의 방역관리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 ’19년 야생멧돼지 CSF 발생 현황 : 총17건(강원 홍천3, 춘천1, 인제3, 동해1, 영월5, 경기 포천1, 양평3) 이에 대한한돈협회(회장 하태식)은 CSF 예방을 위한 한돈농가 방역 준수사항을 전국의 한돈농가 및 지부(회)에 안내하고 농가방역관리를 철저히 해줄 것을 당부했다. ○ CSF 예방을 위한 한돈농가 방역 준수사항 - 돼지열병 백신 접종 철저(접종일령 준수 및 구제역 백신과 혼합접종 금지) - 농장 주변 소독 등 방역관리 강화 - 야생멧돼지 등이 사육 돼지와 접촉하지 않도록 울타리 등 설치 철저 한편 돼지열병(CSF)은 ‘03년부터 국내 사육돼지에 일제 백신접종을 하고 있으며, ‘17년 이후 사육돼지에서 발생하고 있지 않다. ※ 돼지열병(CSF, 과거 명칭: 돼지콜레라)은 아프리카돼지열병(ASF)과는 전혀 다른 바이러스성 질병이다. (CSF: Pestivirus(RNA바이러스) / ASF: Asfarvirus(DNA바이러스))
|
|||
목록 | |||
다음게시물 | 다음게시물이 없습니다. (주)동방, ASF 성금 3천만원 전달 | ||
---|---|---|---|
이전게시물 | 이전게시물이 없습니다. [안내]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발령에 따른 조치사항 안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