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최근이슈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설 명절 대비 전국 축산농가 일제소독 캠페인 1/22, 1/28 실시

작성일 2020-01-16 작성자 관리자

100





설 명절 대비, 전국 일제소독 및 홍보 강화

전국 축산농가 일제소독 캠페인 1/15, 1/22, 1/28 실시 




최근 구제역 NSP항체 검출 및 야생멧돼지 ASF 발생에 따라, 설명절 전후 전국 축산농가 일제소독 캠페인을 실시합니다.(1/15 수, 1/22 수, 1/28화) 
전국 한돈농가에서는 축사 내외부 청소와 생석회 도포 등 철저히 소독을 실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추진 배경

 

 설 명절 귀성객과 해외 여행객  사람차량의 대규모 이동이 예상됨에 따라 가축전염병 발생 위험도 증가

 

❍ 야생멧돼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지속 발생하고방역대 10km  80개 양돈농가가 있어 사육돼지로의 전파 우려가 높은 상황

 

❍ 최근 5년 내 가장 많은 철새가 국내로 유입되었으며구제역 NSP 항체가 검출되는 등 AI구제역 발생도 안심하기 곤란

 

 가축전염병 발생전파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주요 축산시설 제 소독과 대국민 방역 홍보 필요

 

<주요 방역상황>

◇ (조류인플루엔자) 12월 철새조사 결과 전국에 182만수가 도래해 있고 AI 항원(H5)도 지속 검출(19)

 

‘19.12월 철새 조사결과(환경부) : 최근 5년 내 최대치인 182만수 서식 중(’18.12, 132만수)

 

○ 대만베트남중국러시아 등 주변국에서는 고병원성 AI 지속 발생 

 

‘19.1월 이후 대만 99베트남 7중국 4러시아 2건 발생

 

◇ (구제역) 중국 등 인근 국가에서 구제역이 상시 발생하고 있어 백신접종소독 등 방역관리 미흡 시 언제든지 발생 가능

 

해외 발생현황 ’19년 19개국 522건 발생(중국 23러시아 17건 발생)

백신 항체양성률(/돼지):(’17)96.4/76.7(’18)97.4/80.7(’19.11.누계)97.7/75.3

 

◇ (아프리카돼지열병) 야생멧돼지에서 지속 발생(‘20.1.8 기준 66)

 

ㅇ 발견지점 방역대 10km 내 80농가 위치환경시료에서 10건의 바이러스 검출 확인



  

전국 일제 소독 계획

 


1

축산농가 등 소독 강화

 

 

 (소독일시설명절 전 소독대상별 가용장비를 총 동원하여 전국 소·돼지·가금농가 등 소독 실시(’20.1.15~1.22)

 

 (소독대상) 취약지역위험지역 및 그 외 지역으로 구분하여 소독장비를 배치하고 설전 전국적으로 소독될 수 있도록 추진

 

❍ (취약지역) 소규모 농가전통시장밀집사육지역에 대해 공동방제단(540개반) 활용 소독 실시(설전까지 1)

 

소규모 농가(55천호), 가금거래 전통시장(214개소), 밀집사육지역(71개소)

 

❍ (위험지역접경지역 및 철새도래지 주 지역과 농장에 대해 지자체농축협검역본부군부대 차량 등을 동원하여 소독을 실시

 

야생멧돼지 ASF 발생지점구제역 NSP 항체 검출 농가 인근을 중심으로 접경지역 및 인근 농가에 대한 소독(돼지농가 매일소농가 주1)

 

철새도래지(고위험 20개소·중위험 59·저위험 17) 및 인근 농가 소독

 

❍ (그외) 전국 소·돼지·가금 농가에 대해 지자체농축협군부대 차량 등 가용소독장비를 총동원하여 소독 실시

 

전국 돼지농가(46백호) 소독(매일)소규모농가 외 소·가금 농가(소농가 9만호·오리 5만호) 소독(설전까지 1)

 


2

전국 일제 소독의 날‘ 세부 운영 방안

 

 

 (소독일시) 설 명절 열흘 전연휴 직전과 종료 직후(1.15(), 1.23(), 1.28()) 전국 철새도래지와 축산농가, 축산시설과 차량 등 일제소독 실시

 

 (소독대상) 전국 주요 축산시설과 철새도래지 등 총 약 26만 개소 소독

 

❍ 축산농장*(194,594)도축장·사료공장 등 축산관계시설(8,659개소)축산시설 출입차량(60,776)) 방역취약대상**(3,490개소)

 

축산농장 우제류 농장 128,199가금농장 66,395(전업농 4,190)

** 방역취약대상 (AI 8대 취약대상) 철새도래지(96개소), 전통시장 가금판매소(329), 거래상인 계류장(239), 식용란선별포장업(110), 밀집사육지역(10), 소규모 농가(2,123)고령농가(168), 가든형식당(425), (구제역 관련) 백신접종 미흡농장(548)밀집사육지역(52개소), NSP항체 검출지역(151, ’18년 이후), (ASF 관련) 남은음식물 급여농가(161), 외국인근로자 고용농가(1,728

 

 (소독방법) 소독대상별 가용 소독장비를 총 동원하여 일제소독

 

◈ 관할 지자체 및 협회는 일제 소독의 날’(1.15, 1.22, 1.28) 이전 반드시 소독대상별 소독사항과 소독결과 제출 방법을 관할 농가시설회원에 문서 등을 통해 

 

 (산농장) 농장주 및 종사자는 자체 소독장비를 활용하여 내·외부 청소와 생석회 도포 등 소독을 실시하고 필요시 시설 보수 조치

 

외부인 농장 방문시 출입 전 차량 및 사람에 대한 소독 철저

 

축산 계열화 업체는 소속 위탁사육 농가를 대상으로 당일 일제청소 및 소독토록 지도하고소독 실시여부 확인(유선사진 등)

 

각 지자체는 계열화 사업자를 통해 익일까지 소독여부 확인지도점검

 

계열 소속위탁 이외 농가 구에서 유선 등을 통해 소독실시 사항을 확인

 

 (축산관계시설) 자체 소독장비를 동원하여 업소의 내·외부 청소소독을 실시하고··에서 소독 실태를 확인

 

축산시설 업체는 일제청소 및 소독 결과를 관할 지자체에 결과 보고(사진)

 

축산관계시설 도축장사료공장분뇨처리장공동퇴비장집유장 등

 

 (산관련 차량운전자는 관내 인근 거점소독시설 방문 또는 소속 공장(회사)에서 차량 내·외부 소독* 실시

 

축산차량 외부의 바퀴흙받이 및 차량 내부 운전핸들발 매트 중점 세척·소독

 

지자체검역본부농협중앙회 등은 국가동물방역통합시스템(KAHIS) 등록된 축산관련 차량 운전자에 소독계획(SMS 등 활용) 통보

 

··는 일제소독 당일에 관내 모든 축산관련 차량*이 소독실시 여부를 확인* (익일까지) 및 운전자 독려 등 조치

 

① 축산관련 업체(도축장사료공장사료하치장사료대리점분뇨처리장공동퇴비장가축분뇨공공처리장공동자원화시설축산관련운반업체축산관련용역업체축산시설장비설치 보수업체축산컨설팅업체퇴비제조업체종축장부화장집유장동물약품축산기자재 판매 등)에서는 해당 업소의 소속 또는 위탁 차량 대하여 소독여부를 확인하여 관할 지자체에 통보(익일까지 공문 또는 SNS 등으로 소독필증 확인 또는 사진 확인② 그 외 축산차량 해당 지자체에서 소독 여부를 확인(문자, SNS 등으로 소독필증 확인 또는 사진 확인)

 

 (방역취약대상축산농장 주변 및 주요 도로에 대해 농협방제단지자체 광역방제기소독차량군 제독차량 등을 활용하여 소독

 

지자체는 관내 소독가능 기관별 역할분담을 통해 중복되지 않도록 소독 실시

 

 (소독반 편성지자체별 소독실시기관(시험소농협군부대) 역할을 분담하여 자체 소독반 편성

 

❍ 도 시험소 소독 차량구 소속 소독차량(필요시 살수차량 임대)농협(방제단 소독차량)군 제독차량 별로 구분하여 역할 분담

 

방역취약대상을 구분하여 소독차량 규모 등을 적절히 배치

 

군구에서는 방역 유경험자를 위주로 소독반을 편성(소독 대상 농가수에 따라 인원은 탄력적으로 편성 가능)



3

기관별 역할

 

 

 (행안부검역본부) 일제소독 추진실태 점검 및 홍보

 

❍ 일제 청소 및 소독 추진관련 홍보문자(SMS) 전송(검역본부)

 

축산관련시설에 일제소독의날’ 전일(1.14, 1.22, 1.27.) 참여 업체 및 차량에 문자 전송

 

❍ 농장도축장사료공장 등 축산시설 소독실태 점검(1.15, 1.23, 1.28)

 

 

 (국방부지자체에서 군제독 차량 지원 요청시 적극 협조

 

 (지자체) 자체 보유 소독차량 및 군부대 제독차량 활용 일제 소독 실시

 

❍ SMS 문자 및 SNS 등을 통해 사육농가에 일제청소 및 소독 참여 홍보

 

❍ 관내 소·돼지·가금농가 소독실시 결과를 구제역방역과(담당자 온메일)로 보고(매일 15)

 

❍ 일제소독의날 실시결과를 취합하여 우리부(상황실)에 보고(익일 15시까지)

 

 (생산자단체) 농장축산시설 일제청소 및 소독 참여토록 홍보

 

❍ 홈페이지 팝업창 게시회원농가에 SMS 문자 발송 등 지도

 

 (농협) 공동방제단(540개반소독차량으로 취약농가 소독 지원

 

❍ 지자체와 협의하여 방역취약지역 등에 대해 집중소독

 

소독실적은 공동방제단이 관할 지자체의 소독실적에 취합 될 수 있도록 관할 지자체에 실적 보고

 

 (방역본부) 전국 일제소독 홍보(전화예찰 활용) 및 소독실태 점검 지원

 

❍ 청소(세척등을 통해 유기물 사전 제거 후 농장 내외부 철저히 소독토록 소독요령 홍보

 

전화예찰 요원 등을 활용하여 일제소독의 날’ 당일(1.15, 1.23, 1.28.) 소독실시 독려

 

❍ 검역본부 등 합동 소독 점검 시 점검반 지원




4

생석회 지원

 

 

 AI 위험시기로 농협과 협력하여 위험농가에 생석회를 공급·도포하여 출입차량 등 소독과 야생동물 차단 효과 제고

 

1차 지원(‘19.10) : 6천포(오리농가밀집단지), 2차 지원(’19.11) : 긴급방역비

 

❍ (개요) 농협(전국 18개 창고)에 보관 중인 방역용 생석회 6,000 지자체(·)를 통해 가금농가에 1.23일까지 공급

 

 (공급대상1순위오리농가2순위밀집사육단지 순으로 공급하되지자체별 방역상황에 맞게 공급

 

 (절차) ·군별로 농협 지역창고에서 생석회 수령 후 농가 공급

 

- 각 시·군은 지역 농축협과 협의하여 권역별 창고에서 생석회 직접 수령

 

부득이한 경우농축협과 배송차량 섭외 및 배송비 지급 등 협의하여 추진

 

- ·군은 생석회 공급 시 농가에 사용요령과 주의사항 등을 교육·보하고축산차량 출입구와 축사 주변 등에 즉시 도포토록 지도

 

- ·도는 시·군별 생석회 농가 공급·도포 결과를 별첨 서식에 따라 파악하여 1.31일까지 농식품부(상황실)로 송부

 

농협은 비상시 방역용 생석회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추가 확보


 

5

전통시장 휴업소독

 

 

 설명 절 기간 동안 가금 거래가 많은 전통시장 가금판매소(5일장 포함)와 거래상인 계류장 등에 대하여 휴업소독 강화 


 

 (일제 소독명절 전후 일제 소독의 날 운영(1.22, 1.29)

 

1.22(4번째 주 수요일)은 일제 소독, 1.29일은 일제 휴업·소독 실시

 

지자체와 토종닭협회는 소독의 날 1일 전 거래상인가금판매소가든형식당 등에 안내 메시지 발송 등 사전 지도·홍보 철저


 

❍ (소독 점검) 지자체는 관내 전통시장 관련 시설에 대해 일제소독의 날’ 휴업소독 여부 등 점검(현장사진 확인 등)



목록
다음게시물 한돈협, 여상규 법사위원장에게 감사패 전달
이전게시물 도드람양돈농협, ASF 성금 3천만원 전달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