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최근이슈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금겹살? 산지가격은 떨어지는데… 소비자는 못 느낀다고?

작성일 2020-06-17 작성자 관리자
첨부파일 다운로드 [첨부]사진1.jpg
첨부파일 다운로드 [보도자료] 금겹살 산지가격은 떨어지는데… 소비자는 못 느낀다고f.hwp
첨부파일 다운로드 [첨부]사진2.jpg

100

금겹살? 산지가격은 떨어지는데소비자는 못 느낀다고?

- 한돈 전월 대비 산지가격은 약 11% 하락, 소비자가격은 약 8% 올라 한돈농가와 소비자 한숨 -

 

산지가격 오르면 금겹살, 내리면 요지부동, 소비자 가격에 즉각 반영 안돼

농촌경제연구원, 6월 이후 돼지 산지가격 하락 · 올해 한돈 산지가격 평년보다 낮을 전망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이하 한돈자조금)는 최근 금겹살이슈가 불거지자 가격 상승 요인에 대한 초점이 산지로 쏠렸으나 오히려 산지가격은 하락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 정부의 재난지원금 지급 이후 소비자 선호 부위인 삼겹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자 산지가격은 지난 5월 말 소폭 상승했으나,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이후 지속적으로 떨어져 616일 기준 4,578/kg을 기록해 전월(53주차 평균 5,147) 대비 약 11%(11.05%) 하락했다.

 

그러나 농산물 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삼겹살의 소비자가격은 산지가격의 대폭 하락에도 불구하고 100g2,449원까지 상승하며 같은 기간 약 8%(7.98%) 증가했다. 커지는 금겹살논란에 산지가격은 하락했지만 소비자는 오히려 더 비싸게 삼겹살을 구매하고 있는 셈이다.

 

이에 한돈자조금 관계자는 돼지고기 유통도 마찬가지로 산지가격의 등락에 따라 소비자가격이 달라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가격이 오를 때는 바로 반영되지만, 내릴 때는 그렇지 않은 것이 의아한 부분이라며, “한돈 농가는 금겹살이라는 논란으로 한돈 소비가 위축되어 가뜩이나 어려운 한돈농가에가 이중고를 겪을까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작년부터 올해 초까지 돈가는 ASF(아프리카돼지열병), 코로나19 이슈로 생산원가 이하 수준을 맴돌았다. 이후 재난지원금 지급 및 인기 부위 소비 증가로 회복세를 보였으나, 농촌경제연구원은 6월 이후 돈가가 지속 하락해 하반기에는 평년보다 산지가격이 낮을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5월부터 최근 616일까지의 한돈 산지가격 및 삼겹살 소비자가격 분석 결과, 산지가격은 전월(53주차 평균, 5,147) 대비 약 11%(11.05%) 하락했으나 오히려 소비자가격은 약 8%(7.98%) 증가했다.

 

    

돈가 변화 데이터에 따르면 2019년 이후 지속적으로 한돈협회 기준 생산원가 마지노선인 4,200원 선을 밑돌다 최근 회복했으나 농촌경제연구원의 관측대로 다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목록
다음게시물 [축단협 성명]농업현실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2021년 농식품 예산 편성 규탄한다
이전게시물 [알림]돈사화재 예방을 위한 카드뉴스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