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회원 서비스

배너광고

자유게시판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왜 2010-2011 구제역을 근절에 성공하지 못 했을까?

작성일 2021-11-29 작성자 한병우

100

폭발적 구제역 대 유행이 지난지 10년도 더 경과하였지만 학술적 바탕의 분석한 보고서를 찾아보기 어렵다. 단 하나 학술적 발표는 OIE 아시아 회의에서 검역 본부 바이러스 담당자가 2010-2011 분리된 구제역 바이러스의 염기 서열 분석 보고서가 국내 연구가들이 발표한 것의 전부인 것 같다. 
이 보고서는 2010-2011 구제역 유행 중 한국에서 분리된 바이러스의 염기 서열 일치율을 바탕으로 만든 계통 발생도에 한 가지로 되어 있지 않고 여러 클러스터(무리)로 나누진다는 특징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결론은 한국 구제역 바이러스의 높은 돌연변이에 의한 것인지 복수 유입에 의한 것인지에 대한 답은 유보하였다. 그러나 현재 구제역 백신으로 사용하는 바이러스가 독감 백신이 매년 다른 바이러스로 반드는 것과 같이 매년 또는 최근 변경된 사실이 없다는 것으로 미루어 개인적으로 복수의 바이러스 유입으로 판단함이 과학적 인 것으로 판단된다. 만일 2010-2011년 한국 바이러스만 돌연 변이율이 높았다면 백신으로 사용하는 구제역 바이러스도 그 만큼 빨리 겨체 되어야 한다. 
왜 이러한 사항이 중요한가? 2010년 안동에 이어 경기도 연천과 남양주에서 구제역이 확인되자 방역 당국은 안동으로부터 돈분 운반차로 구제역이 경기도로 전파되었다고 발표하였다. 복수 유입이라면 이 것이 잘못된 것이라는 결론이 된다. 즉 안동에서 확인된 구제역과 관계 없이 다른 구제역 바이러스가 어떠한 경로로 유입되어 경기도 연천과 남양주에서 구제역의 요인이 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구제역의 다른 특성으로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코로나 구제역과 같은 감염성질병을 사람이 통제하기 위해서는 질병의 특성을 보아야 합니다. 가령 후천성 면역결핍증(AIDS)에 대하여 특별한 대책이 없었습니다. 코로나 유행 초 일부 유럽에서 "집단 감염" 대책을 시행하다가 중지하기도 하였습니다. 외 이러한 정책에 일관성이 없을까 하는 부분입니다. aids의 경우 우리가 병에 걸린적으로 인지하기 훨씬 이전부터 이 병을 다른 감수성 사람들에게 전파 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코로나 19의 경우에는 감염되어도 증상이 없는 즉 병에 걸렸는지 모르는 상태에서 전파시킬 수 있는 무증상 감염자가 초기부터 보고되었습니다. 즉 감염원을 증상으로 조기에 색출하여 격리시켜야 더 이상 확산을 차단할 수 있는데 증상이 없는 병에 결렸는지 알 수 없는 전파자를 피할 수 없는데 무슨 방법으로 이 병에 대처할 수 방법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것입니다. 그러나 병에 걸린 환자들의 치명율이 너무 높아 방치할 수 없는 상황이 되자 엄청난 대책 즉 모든 것을 중지시키는 대책으로 대처했어야만 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런 경험이 이번에 없었기에 이해가 안될 것입니다. 그러면 구제역의 경우는 어떨까 하는 것입니다. 
세계 식량기구(FAO) 산하 유럽 구제역(EUFMD) 웹 사이트에서 2010년 자료를 보면 돼지에서 구제역에 걸리면 증상을 보이기 약 2일 전부터 전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또한 퍼브라이트 소속의 병리학자가 쓴 글에는 구제역의 경우 증상을 보이기 48시간전에 편도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기 시작하고 24시간 전부터 혈중 바이러스가 검출되며 그리고 수포의 증상이 관찰된다고 합니다. 이와같이 병원ㅊ가 실험실적 방법으로 확인되는 시점부터 전염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하여 왔습니다. 이후 직접 접촉 전파 시험에서 불과 증상을 보이기 시작하기 수시간 전부터 전파됨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습다. 
2010년 한국 방역 당국은 구제역의 경우 감염되면 증상을 보이기 10일전부터 구제역 바이러스를 전파시킬 수 있다는 논리를 바탕으로 안동에서 경기 지역으로 구제역 확산을 주장하였습니다. 특히 분뇨로 바이러스 전파는 구제역 병변인 수포가 터져 이로 인해 분뇨가 오염되기 때문에 증상을 보인 이후 가능하다는 병리적 해석도 무시했습니다. 
이러한 견해로 인해 정확한 한국 구제역 상황을 인지하지 못함이 2010-2011 구제역 근절 실패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되는 것입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목록
다음게시물 가축분뇨 방류시설 폭기조 및 액비조 거품문제 도와드립니다
이전게시물 동물 감염성 질병 정책의 문제점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