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공지·공고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설명자료〕시판 PED백신 설사 방어효력 거의 없어

작성일 2014-07-16 작성자 관리자

100

PED 백신 효능실험 결과 설명자료

시판 PED백신 설사 방어효력 거의 없어

- 공격접종후 5일간의 생존율은 3690%로 나타나, 차단방역이 더 중요

2014716

대한한돈협회 정책기획부, 02-581-9751

 

 

 

주 요 내 용

 

 

 

작년 11월말부터 전국적으로 전파되기 시작한 돼지유행성설사병(PED)에 대하여 백신접종을 권장하고 차단방역을 실시하는 등 대응책 마련에 전념하였으나, 백신을 접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PED가 발생하는 등 백신문제에 불신이 제기 되었습니다.

 

이에 본회에서는 검역본부, 한국양돈수의사회, ()옵티팜과 공동 으로시판중인 백신에 대한 효능 평가실험을 지난 429일 부터 72일까지, 백신접종 방법별 항체가 형성유무, 설사율,

폐사율 등을 실험 하였습니다. 이에대한 실험결과 어떤접종방법 을 준수하든지 설사병 발병을 거의 막을 수 없었고, 공격 접종후 5일간의 생존율은 36~90%로 나타났습니다.

 

본회에서는 PED 백신의 문제가 확인된 이상, 변이주를 이용한 새로운 백신개발 및 도축장의 차량 소독시스템 등 차단방역 강 화 를 요청할 계획입니다.


 

1. 이번 PED 백신 효능 실험은 어떤 경과를 거쳐 진행 되었습니까?

PED 백신의 접종에도 불구하고, PED가 발생하고 전국적으로 확산이 되는 상황에서 백신의 효능 문제에 대해 불신이 제기되고 있어, 본회는 농림축산식품부에 PED 백신의 효능검사를 실시해 줄 것을 건의하여 429일부터 72일까지 접종 방법별로 항체가 형성, 설사율, 폐사율 중심으로 실험이 진행 되었습니다.

실험의 주관기관은 검역본부 바이러스질병과이었고, 협동기관으로 한돈협회, 한국양돈수의사회, ()옵티팜이 참여 했습니다.

백신의 접종 방법은 음성 모돈에 대하여 경구백신 2, (일생연)생독(L)백신 2, 생독(L)-사독(K)-사독(K), PED-FC 백신2, 인공감염, 대조군 6가지 형태의 백신접종 모돈의 3일령 자돈을 무균실에 입고하여 공격접종하는 형태로 이루어 졌습니다.

 

2. 이번 실험결과 설사율과 생존율은 어떻게 나타 났습니까?

< 설사율은?>

설사율은 인공감염을 비롯한 국산 5개사 제품 접종시 설사율은 100%

일본산 제품인 일생연 백신은 72.7%로 나타 나타났습니다.

 

< 생존율은?>

실험에서 정의한 생존율은 생후 3일령 자돈에 공격접종후 5일간의 생존율로 표시했습니다.

경구 백신은 36% 내외, 국산5개사 제품은 80%내외, 일생연 생독 제품은 90% 생존율을 나타냈습니다.

인공감염 자돈은 생존율이 90% 내외로 나타났습니다.

3. 이번 실험결과를 보면 시판중인 PED 백신이 폐사 방어효능(생존율)80%내외인 것으로 나왔는데, 그러면 백신이 효과가 있는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까?

백신프로그램에 상관없이 설사에 대한 방어효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백신의 이름이 돼지 유행성설사병 백신이므로, 설사를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양돈농가에게는 효과가 거의 없는 것이고, 제품 생산업자에게는 폐사율을 줄여 줬다는 이유로 일부 효능이 있다고 주장 할 수 있습니다.

<실험은 백신프로그램별 6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임신모돈에 백신을 접종한 후 태어난 3일령 자돈에 최근 유행하는 PED 바이러스를 103 LD50 함량으로 1ml씩 공격접종하고 5일간 실험하는 방식으로 진행>

 

<1. PED 백신접종 그룹별 설사두수 및 폐사두수>

백신프로그램

공격접종일

(3일령)

공시

두수

설사

두수(%)

폐사

두수

폐사율

(%)

생존율

(%)

1

경구,경구

6. 14

11

11(100)

7

63.6

36.4

2

생독, 생독

(일생연 제품)

6. 14

11

8(72.7)

1

9.1

90.9

3

LKK

6. 29

11

11(100)

2

18.2

81.8

4

PED-FC,PED-FC

6. 14

11

11(100)

2

18.2

81.8

5

인공감염

6. 10

11

11(100)

1

9.1

90.9

6

대조군

(비발생,비백신 농장)

6. 19

11

11(100)

9

81.8

18.2


 

4. 시판중인 PED백신이 설사를 거의 방어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최근 유행하는 PED변이주와 백신주들간에 방어 유전자 염기 서열비교에서 10% 내외의 차이가 있어 설사 방어능력이 거의 없는 것으로 평가 됩니다.

 

5. PED 백신이 설사방어 능력이 없다면 농가가 취해야 할 방안이 무엇인가요?

1) 차단방역을 우선함-농장 출입차량(출하, 사료, 분뇨·액비 차량 등)

2) PED 발생시 인공감염은 반드시 전문가의 조언을 얻어 실시

3) 인공감염후에는 사독(K)-사독(K) 백신으로 항체가를 유지시켜 주는 것이 가장 좋은 대안으로 판단 됩니다.

 

6. 초유내 면역항체가 IgG 함유량은 어떤 접종방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까?

일생연 생독(2그룹)>LKK(3그룹)>인공감염(5그룹)>PED-FC(4그룹)>경구 백신(1그룹) 순으로 나왔습니다. PED-FC(4그룹)까지는 초유내 IgG 함유량이 1024배 이상 이었고 생존율은 80% 내외로 나타났습니다.

경구백신 접종방식은 IgG 함량 512배 내외로 가장 낮았고, 생존율도 36% 내외로 나타나 초유내 면역항체가 1024가 안될 경우 생존율은 훨씬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7. 혈액내 IgG 함량 수준과 생존율과의 관계는?

그룹별 모돈 평균 혈액 IgG 함량 순서는 초유 함량 IgG순서와 동일한 일생연생독(2그룹)>LKK(3그룹)>인공감염(5그룹)>PED-FC(4그룹)>경구 백신(1그룹) 순으로 나왔습니다. 4그룹(PED-FC)까지는 혈액내 IgG 함유량이 256배 이상 유지시 생존율 80% 내외가 발생했습다.

반면 혈액내 IgG 128배 내외를 유지한 경구백신 접종방식에서는 생존율이 36% 내외로 혈액내 IgG256배가 안될 경우 생존율은 훨씬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8. 돼지 유행성설사병 백신의 효능은 설사병 예방인가요?? 폐사 방어능력(생존율) 향상 인가요??

현재 시판중인 백신의 설명서에는 효능 및 효과돼지 유행성 설사병 예방을 목적으로 사용 이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9. 시판중인 PED 백신은 설사를 거의 막지 못한다고 조사됐는데, 백신접종을 할 필요성이 있습니까?

시판되는 PED 백신은 설사를 막아 주지 못합니다.

 

 

10. 백신접종시 생존율이 현장에서 체감하는 것보다 높다는 지적이 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본 실험은 생후 3일령의 자돈에 국내 유행중인 PED 바이러스 공격접종을 하고, 5일간의 경과 기간을 두었습니다. 현장에서는 1마리라도 PED에 감염되면 생후 12일령의 자돈에서 폐사율이 더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체감하는 생존율은 실험결과 보다 낮을 수 있습니다.

 

11. 앞으로 협회의 대책과 농가들에게 당부하고 싶은 사항은?

백신접종은 PED 방역의 보조수단으로 인식할 것과, 차단방역에 더 중점을 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협회에서는 변이주를 이용한 새로운 PED 백신개발을 논의 하였으나, 개발될 때 까지 3년의 기간이 필요함으로, 새로운 백신 개발 동안 차단방역을 우선으로 농장을 경영해야 할 것입니다.

정부에는, 도축장 출입차량, 사료, 분뇨·액비 차량 소독 시스템을 강화해 줄 것을 건의하기로 했습니다. .

목록
다음게시물 [긴급] 경북의성 양돈장 구제역 발생...차단방역 철저 요청
이전게시물 제3기 한돈자조금 대의원 보궐선거 당선자 공고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