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자료〕시판 PED백신 설사 방어효력 거의 없어 |
||||||||||||||||||||||||||||||||||||||||||||||||||||||||||||||||||||
|---|---|---|---|---|---|---|---|---|---|---|---|---|---|---|---|---|---|---|---|---|---|---|---|---|---|---|---|---|---|---|---|---|---|---|---|---|---|---|---|---|---|---|---|---|---|---|---|---|---|---|---|---|---|---|---|---|---|---|---|---|---|---|---|---|---|---|---|---|
| 작성일 | 2014-07-16 | 작성자 | 관리자 | |||||||||||||||||||||||||||||||||||||||||||||||||||||||||||||||||
|
100 |
||||||||||||||||||||||||||||||||||||||||||||||||||||||||||||||||||||
|
〔PED 백신 효능실험 결과 설명자료〕
2014년 7월 16일 대한한돈협회 정책기획부, 02-581-9751
1. 이번 PED 백신 효능 실험은 어떤 경과를 거쳐 진행 되었습니까? ○ PED 백신의 접종에도 불구하고, PED가 발생하고 전국적으로 확산이 되는 상황에서 백신의 효능 문제에 대해 불신이 제기되고 있어, 본회는 농림축산식품부에 PED 백신의 효능검사를 실시해 줄 것을 건의하여 4월 29일부터 7월 2일까지 접종 방법별로 항체가 형성, 설사율, 폐사율 중심으로 실험이 진행 되었습니다. ○ 실험의 주관기관은 검역본부 바이러스질병과이었고, 협동기관으로 한돈협회, 한국양돈수의사회, (주)옵티팜이 참여 했습니다. ○ 백신의 접종 방법은 음성 모돈에 대하여 경구백신 2회, (일생연)생독(L)백신 2회, 생독(L)-사독(K)-사독(K), PED-FC 백신2회, 인공감염, 대조군 6가지 형태의 백신접종 모돈의 3일령 자돈을 무균실에 입고하여 공격접종하는 형태로 이루어 졌습니다. 2. 이번 실험결과 설사율과 생존율은 어떻게 나타 났습니까? < 설사율은?> ○ 설사율은 인공감염을 비롯한 국산 5개사 제품 접종시 설사율은 100% ○ 일본산 제품인 일생연 백신은 72.7%로 나타 나타났습니다. < 생존율은?> ○ 실험에서 정의한 생존율은 생후 3일령 자돈에 공격접종후 5일간의 생존율로 표시했습니다. ○ 경구 백신은 36% 내외, 국산5개사 제품은 80%내외, 일생연 생독 제품은 90% 생존율을 나타냈습니다. ○ 인공감염 자돈은 생존율이 90% 내외로 나타났습니다. 3. 이번 실험결과를 보면 시판중인 PED 백신이 폐사 방어효능(생존율)이 80%내외인 것으로 나왔는데, 그러면 백신이 효과가 있는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까? ○ 백신프로그램에 상관없이 설사에 대한 방어효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백신의 이름이 돼지 유행성설사병 백신이므로, 설사를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양돈농가에게는 효과가 거의 없는 것이고, 제품 생산업자에게는 폐사율을 줄여 줬다는 이유로 일부 효능이 있다고 주장 할 수 있습니다. <실험은 백신프로그램별 6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임신모돈에 백신을 접종한 후 태어난 3일령 자돈에 최근 유행하는 PED 바이러스를 103 LD50 함량으로 1ml씩 공격접종하고 5일간 실험하는 방식으로 진행> <표1. PED 백신접종 그룹별 설사두수 및 폐사두수>
4. 시판중인 PED백신이 설사를 거의 방어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 최근 유행하는 PED변이주와 백신주들간에 방어 유전자 염기 서열비교에서 10% 내외의 차이가 있어 설사 방어능력이 거의 없는 것으로 평가 됩니다. 5. PED 백신이 설사방어 능력이 없다면 농가가 취해야 할 방안이 무엇인가요? 1) 차단방역을 우선함-농장 출입차량(출하, 사료, 분뇨·액비 차량 등) 2) PED 발생시 인공감염은 반드시 전문가의 조언을 얻어 실시 3) 인공감염후에는 사독(K)-사독(K) 백신으로 항체가를 유지시켜 주는 것이 가장 좋은 대안으로 판단 됩니다. 6. 초유내 면역항체가 IgG 함유량은 어떤 접종방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까? ○ 일생연 생독(2그룹)>LKK(3그룹)>인공감염(5그룹)>PED-FC(4그룹)>경구 백신(1그룹) 순으로 나왔습니다. PED-FC(4그룹)까지는 초유내 IgG 함유량이 1024배 이상 이었고 생존율은 80% 내외로 나타났습니다. ○ 경구백신 접종방식은 IgG 함량 512배 내외로 가장 낮았고, 생존율도 36% 내외로 나타나 초유내 면역항체가 1024배가 안될 경우 생존율은 훨씬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7. 혈액내 IgG 함량 수준과 생존율과의 관계는? ○ 그룹별 모돈 평균 혈액 IgG 함량 순서는 초유 함량 IgG순서와 동일한 일생연생독(2그룹)>LKK(3그룹)>인공감염(5그룹)>PED-FC(4그룹)>경구 백신(1그룹) 순으로 나왔습니다. 4그룹(PED-FC)까지는 혈액내 IgG 함유량이 256배 이상 유지시 생존율 80% 내외가 발생했습다. ○ 반면 혈액내 IgG 128배 내외를 유지한 경구백신 접종방식에서는 생존율이 36% 내외로 혈액내 IgG가 256배가 안될 경우 생존율은 훨씬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8. 돼지 유행성설사병 백신의 효능은 설사병 예방인가요?? 폐사 방어능력(생존율) 향상 인가요?? ○ 현재 시판중인 백신의 설명서에는 ‘효능 및 효과’가 “돼지 유행성 설사병 예방을 목적으로 사용” 이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9. 시판중인 PED 백신은 설사를 거의 막지 못한다고 조사됐는데, 백신접종을 할 필요성이 있습니까? ○ 시판되는 PED 백신은 설사를 막아 주지 못합니다. 10. 백신접종시 생존율이 현장에서 체감하는 것보다 높다는 지적이 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 본 실험은 생후 3일령의 자돈에 국내 유행중인 PED 바이러스 공격접종을 하고, 5일간의 경과 기간을 두었습니다. 현장에서는 1마리라도 PED에 감염되면 생후 1∼2일령의 자돈에서 폐사율이 더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체감하는 생존율은 실험결과 보다 낮을 수 있습니다. 11. 앞으로 협회의 대책과 농가들에게 당부하고 싶은 사항은? ○ 백신접종은 PED 방역의 보조수단으로 인식할 것과, 차단방역에 더 중점을 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 협회에서는 변이주를 이용한 새로운 PED 백신개발을 논의 하였으나, 개발될 때 까지 3년의 기간이 필요함으로, 새로운 백신 개발 동안 차단방역을 우선으로 농장을 경영해야 할 것입니다. ○ 정부에는, 도축장 출입차량, 사료, 분뇨·액비 차량 소독 시스템을 강화해 줄 것을 건의하기로 했습니다. 끝. |
||||||||||||||||||||||||||||||||||||||||||||||||||||||||||||||||||||
| 목록 | |||
| 다음게시물 | 다음게시물이 없습니다. [긴급] 경북의성 양돈장 구제역 발생...차단방역 철저 요청 | ||
|---|---|---|---|
| 이전게시물 | 이전게시물이 없습니다. 제3기 한돈자조금 대의원 보궐선거 당선자 공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