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축사 화재, 전기 시설 점검으로 크게 줄일 수 있어 |
|||
|---|---|---|---|
| 작성일 | 2018-01-29 | 작성자 | 관리자 |
|
100 |
|||
|
축사 화재, 전기 시설 점검으로 크게 줄일 수 있어 - 최근 2년 952건 중 전기적 요인 43.5% 차지, 전기시설 점검 만전 기해야 -
최근 혹한과 건조한 날씨로 인해 축사 화재가 빈발하고 있는 가운데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겨울철 갑작스런 화재와 큰 눈으로 인한 농가 피해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전기시설 등 축사 점검에 최선을 다해줄 것을 당부했다. 2016년과 2017년, 전국에서 발생한 축사 화재는 952건으로 총 412억 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출처: 국민안전처 국가화재정보센터 (http://www.nfds.go.kr)) 발생 건수는 한우 축사가 391건(41.1%)로 가장 높았고, 피해 규모는 돼지 축사가 약 291억 원(70.7%)으로 가장 큰 손실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 축사화재 ...전기적 원인이 가장 큰 원인 원인별로는 전기적 요인이 43.5%(414건)를 차지해, 전기시설 점검만으로도 화재를 상당 부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겨울철에는 보온을 위해 축사를 밀폐하는 곳이 많은데, 이 경우 축사 내부 습도 상승으로 전기 누전 위험성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내부에서 사용하는 전기 시설이나 배선 설비는 반드시 정부인증을 받은 규격품을 사용해야 하며 미리 점검해 문제가 있는 설비는 전문 수리업체를 통해 수리, 교체해야 한다. 보온등과 온풍기 등 전열 기구도 정해진 규격과 용량에 맞게 사용하고 문어발식 전기 배선은 절대 하지 않도록 한다. 바닥 또는 외부에 노출돼 있는 전선은 쥐 등에 의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배관 공사를 하는 것이 좋다. 또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고압 세척기나 불을 끄는 장비 등은 습기나 직사광선을 피해 잘 보이는 곳에 설치하고 사용 방법을 알아둔다. * 낮은 기온과 큰 눈 시설 관리에 만전 기해야 한편, 낮은 기온과 큰 눈은 가축과 축사 내·외부 시설에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적절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 개방식 축사의 경우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에 차단벽을 설치해 되도록 가축이 찬 공기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한다. 축사 외부의 물 마시는(음수) 시설은 단열 처리해 얼지 않도록 하며 가온급수기(물 덥히는 기기)는 전선의 연결 상태 등을 미리 점검한다. 눈으로 파손된 축사는 빨리 복구하고 축사 지붕에 눈이 쌓이지 않도록 쓸어내리거나 축사 온도를 높여 빨리 녹도록 한다. 농촌진흥청 축산환경과 이준엽 농업연구사는 "겨울철 축사의 화재와 폭설은 농가에 막대한 피해를 가져오기 때문에 자주 점검하고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한편 겨울철 가축 및 축사관리는 한해농사를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사육농가에서는 동절기 가축관리에 큰 관심을 가져야 한다. 돼지의 경우 돈사 출입문에 보온덮개를 설치하여 샛바람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되 돈사가 밀폐되면 결로현상이 발생하여 내부습도가 올라가므로 단열시설과 전기시설을 수시 점검 및 보완하며 돈사내 가스발생량과 온도를 고려하여 환기팬 회전속도를 조정한다. 분만사 실내온도는 20~22℃범위로 유지하고, 실내온도 편차를 최대한 줄여주어야 한다. 자돈 주변의 온도는 출생직후 30℃, 1주일 후 27.5℃, 이유시에는 22~25℃ 정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온도관리에 주의한다. 겨울철 기온이 떨어지면 돼지는 체온유지를 위해 소모하는 열량이 증가하게 되므로 사료량을 평상시보다 10~20% 정도 증량 급여하여 생산성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며 날씨가 추워지면서 음수공급이 소홀해지기 쉬우므로 자돈사 및 육성 비육돈사에 정상적으로 물이 공급되는지 수시로 점검한다. [문의] 농촌진흥청 축산환경과장 곽정훈, 축산환경과 이준엽 063-238-7408 |
|||
| 목록 | |||
| 다음게시물 | 다음게시물이 없습니다. 구제역 및 돼지열병 예방접종 확인서 변경 양식 첨부 | ||
|---|---|---|---|
| 이전게시물 | 이전게시물이 없습니다. [안내] 전국양돈장대청소 및 특별소독 캠페인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