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공지·공고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농림부] 축산업 영업정지에 갈음하는 과징금 부과제도 등 시행(’20.2.28)

작성일 2020-02-28 작성자 관리자
첨부파일 다운로드 축산업 영업정지에 갈음하는 과징금 부과제도 등 시행, 보도자료(2.28, 조간).hwp

100

축산업 영업정지에 갈음하는 과징금 부과제도 등 시행

-축산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개정·시행(‘20.2.28.) -


<< 주 요 내 용 >>

축산법개정(‘19.8.27. 공포, ’20.2.28. 시행)으로 위임된 사항을 축산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을 통해 구체화

축산법에서 약을 가축에 사용하여축산물위생관리법에 따라 불합격 판정을 받은 자가 행정처분 대상에 포함됨에 따라 행정처분 세부기준*마련

* (1회 위반) 영업정지 1개월, (2회 위반) 영업정지 3개월, (3회 위반) 허가 취소

축산업 영업정지 처분갈음하는 과징금 제도를 축산법에 도입함에 따라 과징금 부과 세부기준*마련

* 징금은 업종별(종축업, 부화업, 정액등처리업, 가축사육업)로 매출액 및 사육규모에 따라 최고 1억원까지 부과

등급판정확인서 등 산물 거래와 관련된 증명서*통합 발급하기 위한 자민원창구가 도입됨에 따라, 그 운영을 축산물품질평가원 위탁하는 등 세부 운영사항을 정함

* 축산물등급판정확인서, 축산물 이력정보, 안전관리인증기준 적용 확인서, 도축검사증명서, 친환경축산물 인증서, 가축전염병 예방법에 따른 검사증명서 등 6





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이하 농식품부)축산법 시행령·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20.2.28. 개정·공포되어 시행된다고 밝혔다.

 

축산법 시행령·시행규칙개정내용은축산법개정(‘19.8.27. 공포, ’20.2.28. 시행)에 따라 위임된 사항을 구체화한 것이다.

 

주요 개정내용은 다음과 같다.

 

축산법상 행정처분 대상에 농약을 가축에 사용하여 그 축산물이축산물 위생관리법12조에 따른 검사 결과 불합격 판정을 받은 경우가 추가됨에 따라, 행정처분의 세부기준* 마련하였다.

 

* 행정처분 세부기준 : 영업정지 1개월(1회 위반 시), 영업정지 3개월(2회 위반 시), 허가취소(3회 위반 시) 이다. (축산법 시행령15조제3항 별표2)

 

울러, 축산법 제25조의 2에 의거 영업정지가 가축의 처분곤란, 그 밖에 공익에 현저한 지장을 줄 우려가 있는 경우에 영업정지에 갈음하여 부과되는 과징금 금액 기준과 납부 절차 등 세부사항을 마련하였다.

 

* 최대 1억원 이내에서, 업종별(종축업, 부화업, 정액등처리업, 가축사육업)로 매출액 및 사육규모에 따라 차등 부과

 

** 징금의 금액이 1천만원 이상인 경우로서 일정한 사유를 충족할 때(천재지변이나 재해 등으로 재산에 현저한 손실을 입은 경우 등)에는 납부기한 연기 및 분할 납부가능(납부간격 4개월, 횟수 3, 1년 이내)

 

<참고> 축산법 제25조 제1항의 영업정지 사유

1) 가축전염병 예방법에 따른 살처분 명령을 위반한 경우

2) 가축분뇨법에 따른 배출시설 설치허가(변경허가) 취소 처분을 받은 경우

3) 가축전염병 예방법에 따른 소독설비 및 실시 등에 관한 규정을 위반하여 가축전염병을 발생하게 했거나 다른 지역으로 퍼지게 한 경우

4) 농약을 가축에 사용하여 그 축산물이 축산물 위생관리법에 따른 축산물 검사결과 불합격 판정을 받은 경우(신설, ‘2020.2.28. 시행)

 

축산법 개정으로 축산물 관련 서류의 열람 및 발급에 관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자민원창구 설치·운영 근거가 마련됨에 따라, 전자민원 창구 업무 위탁기관을 축산물품질평가원으로 지정하고, 등급판정확인서, 도축증명서 등 서비스 제공 내용*을 세부적규정였다.

* 축산물등급판정확인서, 축산물 이력정보, 안전관리인증기준 적용 확인서, 도축검사증명서, 친환경축산물 인증서, 가축전염병 예방법에 따른 검사증명서 등 6

 

농식품부 관계자는 2.28일 축산법의 개정 시행을 통해 가축 사육 및 축산물 생산과정에서 축산물의 안전성을 높이고, 과징금 제도 도입 및 전자민원창구 운영을 통해 축산행정이 보다 실효성 있고, 선진화 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앞으로도 축산업이 국민들에게 신뢰받는 지속가능한 축산업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참고 1. 축산법 주요 개정내용(‘19.8.27. 공포, ’20.2.28.시행)

2. 축산법 시행령·시행규칙 주요 개정내용(‘20.2.28. 공포·시행)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2020. 2. 27.]

목록
다음게시물 [알림]돼지가격 안정을 위한 활동 사항(2.24~2.28 주간)
이전게시물 [농림부] 가축전염병 방역 현장에 경각심 높인다...특별방역대책기간 3월말까지 1개월 연장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