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호우·폭염 등 대비 비상연락 유지 및 대응요령 안내 |
|||
---|---|---|---|
작성일 | 2020-08-07 | 작성자 | 관리자 |
첨부파일 | 다운로드 (붙임) 축산분야 재해 대비요령 1부.hwp | ||
100 |
|||
호우·폭염 등 재해 대비 축산분야 신속 비상연락 체계 유지 및 대응요령 안내 1. 관련 : 농림축산식품부 축산경영과-4333(2020.8.7.) 2. 중부지방에서는 지속되는 호우로 인한 재해 피해가 심각한 상황이며, 일부 남부지방은 폭염이 시작되고 있습니다. 3. 관련하여 호우, 폭염 등으로 인한 축산농가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축산분야 재해 대비요령을 문자, SNS 등을 통해 축산 농업인 등에게 안내하여 사전 점검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협조하여 주시기 바라며, 비상상황 발생시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락체계도 유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4. 아울러 피해 발생시 시설 응급복구, 소독·예방접종 및 현장기술지원 등 필요한 조치에 적극 협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축산 분야 재해피해 발생시 신속 신고 체계 유지 ① 축산농가에서는 재해피해 상황을 관할 시군구에 신속히 신고 * 가축 피해없이 단순히 축사가 침수된 사고라도 반드시 신고하여 소독 · 방역 등의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협조 ② 관할 시군구에서는 신고를 접수한 즉시 피해 상황을 시도 및 농식품부에 전화, SMS, 온메일 등을 활용 1차 신고 ※ 농식품부 축산경영과 : 김정수 사무관(044-201-2332), 김철희 주무관(044-201-2333) ③ 1차 신고 이후 각 시도에서는 세부 피해현황 등을 파악하여 농식품부에 제출 ※ 붙임 : 축산분야 재해 대비요령 [참고1] 풍수해 대비 축산 분야 안전관리 대책 [ 사전대책 ] ㅇ 붕괴위험이 있는 축대보수 및 축사주변 배수로 정비 ㅇ 목초는 9cm정도 높이로 베어주고 초지나 사료작물 등은 배수로를 정비하여 습해 방지 ㅇ 축사의 지붕과 벽을 손질하여 비 피해 예방 ㅇ 깔 짚을 자주 갈아주어 축사를 청결히 하고 축사 소독 실시 ㅇ 사료는 비가 맞지 않도록 잘 보관하여 변질을 방지하고, 변질된 사료는 먹이지 않도록 함 ㅇ 축사 주위 배수로 정비, 침수우려 가축 안전지대 대피 [ 사후복구대책 ] ㅇ 축사 침수 시 신속히 가축대피 ㅇ 응급복구 및 철저한 예방접종 실시 ㅇ 젖은 풀이나 변질된 사료를 주지 않도록 하여 고창증 예방 ㅇ 땅이 질고 습한 초지에는 방목을 시키지 않도록 하여 목초피해 및 토양유실 방지 [참고2] 폭염 대비 가축 관리요령
[참고5] 폭염 시 농업인 행동요령 무더울 땐 이렇게 준비하세요 ! ■ 사전 준비사항은 - 집에서 가까운 병원이나 보건소의 연락처를 확인하고 본인과 가족의 열사병 등 증상을 체크하세요. - 냉방기기 사용시는 실내․외 온도차를 5℃내외로 유지하여 냉방병을 예방하세요.(건강 실내 냉방온도는 26℃~28℃가 적당) ■ 폭염주의보 발령시 [ 농작업 현장에서는 ] - 휴식시간은 장시간보다는 짧게 자주 가지세요. - 시설하우스나 야외에서 장시간 작업시에는 아이스팩이 부착된 조끼를 착용하세요. - 농기계의 냉각장치를 수시로 점검하여 과열을 방지하세요. - 작업중 매 15~20분 간격으로 1컵 정도의 시원한 물(염분)을 섭취하세요(알코올, 카페인이 있는 음료는 금물) [ 하우스․축사에서는 ] - 축사 천장에는 스티로폼 등 단열재를 부착하세요. - 창문을 개방하고 선풍기나 팬 등을 이용 지속적인 환기를 실시하며 적정 사육밀도를 유지하세요. - 돈사, 계사 천장에 물분무장치를 설치하여 복사열을 방지하세요. - 하우스내 피해예방을 위해 차광시설, 점적관수, 수막시설을 설치하세요. - 노지 재배채소는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관수작업을 실시하세요. ■ 폭염경보 발령시 [ 농작업 현장에서는 ] - 고령, 독거노인, 신체허약자, 성인병환자 등은 야외작업이나 시설하우스 작업을 하지 않도록 가족과 이웃에게 알려주세요. - 시설하우스나 야외에서 장시간 작업시에는 장시간 작업을 피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아이스팩이 부착된 조끼를 착용하세요. - 기온이 최고에 달하는 오후2시~오후5시 사이에는 시설하우스나 야외 작업을 중지하고 휴식을 취하세요. - 야외에서 작업을 할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빠른 동작을 삼가세요. [ 하우스․축사에서는 ] - 가축에게는 깨끗한 물을 제공하고 비타민, 광물질을 섞은 사료를 먹이세요. - 곰팡이가 피거나 오래된 사료는 공급하지 마세요. - 가축 폐사시는 신속하게 시군구 방역기관에 신고하고 방역기관의 조치에 따르세요. - 축사 등의 분뇨제거와 건조상태를 유지하세요 - 전기누전과 합선, 과열 등으로 인한 화재발생이 우려되므로 냉방과 환기시는 전기사용량을 수시로 확인하세요. - 하우스내 피해예방을 위해 차광시설, 점적관수, 수막시설을 가동하세요. - 노지 재배채소는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관수작업을 실시하세요. |
|||
목록 | |||
다음게시물 | 다음게시물이 없습니다. [농식품부] 살처분 가축 등에 대한 보상금 등 지급요령 일부개정고시(안) 행정예고 알림 | ||
---|---|---|---|
이전게시물 | 이전게시물이 없습니다. [농식품부 공지] 접경지역 축사침수 농가 ASF 방역관리 행동요령 알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