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주요활동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ASF본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 추진상황 (2020.10.14.)

작성일 2020-10-14 작성자 관리자
첨부파일 다운로드 [asf 보도자료]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 추진상황(10.14. 배포시).hwp

100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 추진상황 (2020.10.14.)

 

중수본은 1013경기·강원 지역 양돈농가 1,245 대한 전화예찰 결과,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의심되는 사육돼지 등 특이사항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으며,

향후 전화예찰 과정에서 양돈농장에서 지켜야 할 방역수칙에 대한 중점 홍보(매일 3가지씩)도 병행키로 하였다.

<참고 : 1013일 전화예찰시 홍보사항>

농장 출입구·주변 생석회 벨트구축, 축사출입시 손소독 및 장화 갈아신기

외국인근로자 고용신고 및 농장근로자의 외출 자제

농장관계자의 산행 자제(야생멧돼지 접촉 위험)

중수본은 경기·강원 북부 및 인접 14개 시·양돈농장 395* 대해 1016일부터 1026일까지 2주간 양돈농장 예찰 강화기간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 해당 농장들에 대해서는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직후 1차 정밀검사(혈액시료 채취·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전건 음성으로 확인(10.10 10.12)

해당 농장들에 대해 임상검사(1주차), 정밀검사(2주차)를 실시하되,

특히 야생멧돼지 방역대(양성개체 발견지점 반경 10km) 내 농장 발생농장과의 역학관계가 확인된 농장 182호에 대해서는 매주 정밀검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중수본은 1013, 소독차량 200여대와 인력 80여명을 동원하여 접경지역야생멧돼지 양성 검출지점주변 도로, 농장 진입로를 집중 소독하였고,

소독차량 905(지자체·농협 소독차, 광역방제기, () 제독차량 등) 동원하여 전국 양돈농장 6,066에 대한 소독을 실시하였다.

또한 화천·포천·철원·양구·인제 등은 양돈농장 주변 및 진입로 등매일 42회씩 집중소독하고 있다.

화천군 인접 시·(포천·철원·양구·춘천)주요 연결도로에 대해서는 소독시설을 추가설치*하여 축산차량에 대한 소독을 강화하였다.

* 포천·철원은 기존부터 운영중이었으며, 양구(10.11)·춘천(10.11)은 추가 설치

중수본은 한돈협회의 협조를 통해 접경지역 395개 양돈농장 대해 농장 내외부에 대해서도 철저히 소독토록 하고 소독 상황을 확인(전 농가에 대한 사진 수신)하였다.

발생농장(화천 2개 농장)예방적살처분 대상 농장(화천 1, 포천 2) 돼지 4,077두에 대해서는 살처분·매몰 및 렌더링 처리까지 완료하였다.

* 3개 농장에 대해서는 FRP(섬유 강화 플라스틱) 밀폐형 저장조에 견고하게 처리, 2개 농장에 대해서는 렌더링(가축사체를 160, 1시간 이상 고온·고압처리) 처리

중수본은 1013일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지역 등 11개 시·수색인원 495(환경부 수색팀 336, 군인력 159)을 투입하여 멧돼지 폐사체를 수색하였으며,

1013일까지 화천군에 포획틀 10포획트랩 50를 멧돼지 이동통로 등에 추가로 설치하여 포획을 강화*하고, 민가지역으로의 멧돼지 이동을 차단하고 있다.

* 화천군 포획틀 121131, 포획트랩 15 65

또한 광역울타리 최남단 노선으로부터 약 10km 이상 떨어져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위험이 낮은 북쪽 지역*포획틀 위주 포획에서 제한적 총기포획** 지역으로 전환하여 포획을 강화하고 있다.

* 접경지역(파주고성 7개 시·) 18개 리() 198개 리

** 제한적 총기포획: 엽견을 사용하지 않는 총기포획으로, 장거리 전파유발 가능성을 최소화

김현수 중수본부장은 1013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 상황회의(중수본부장 주재, 108일부터 매일 개최)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높다고 여겨지는 시·군 및 지역에 대해서는 소독자원을 최대한 확보하여, 보다 집중하여 소독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에 대해서도 최근 철새들의 국내 도래로 발생우려가 커져가는 만큼, 철새도래지 인근의 철저한 축산차량 통제전통시장 가금판매소·계류장 등에 대한 촘촘한 점검을 실시할 것을 지시하였다.

 

[출처: ASF수습본부 보도자료 2020. 10. 14.]

    

목록
다음게시물 [ASF본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 추진상황 (2020.10.15.)
이전게시물 [농림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 추진상황(2020.10.13.)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