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주요활동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ASF본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 추진상황 (2020.10.19.)

작성일 2020-10-19 작성자 관리자
첨부파일 다운로드 10.19즉시(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 추진상황 (2020.10.19)).hwp

100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 추진상황 (2020.10.19.)

 

아프리카돼지열병 중앙사고수습본부(이하 중수본’)1018경기·강원지역 양돈농장(1,245)에 대한 전화예찰을 실시한 결과 아프리카돼지열병 의심축 등의 특이사항은 발견되지 않았다.

전화예찰 과정에서는 양돈농장에서 지켜야 할 방역수칙에 대한 중점 홍보(매일 3가지씩)도 이루어졌다.

 

참고 : 1018일 전화예찰 시 홍보사항

 

 

 

축사 출입시 전용 옷·장화 착용, 소독 철저 및 외부인 출입금지

외국인근로자 고용신고 및 농장근로자 외출 자제

농장근로자 산행 금지(야생멧돼지와의 접촉 경로 차단)

중수본은 1016일부터 26일까지 접경지역 양돈농장 397* 대한 2차 정밀·임상검사를 실시중이며,

*경기·강원 북부 및 인접 14개 시·군 양돈농장 395호 및 금번 발생농장과의 역학관계가 확인된 농장(중복되는 농장 제외) 2(이천 소재)

현재까지 정밀검사 대상 양돈농장* 129 시료를 채취였으며, 그 중 결과가 나온 115호 모두 음성으로 확인되었다.(나머지는 검사중)

*야생멧돼지 발생 인근 지역 소재·발생농장과의 역학관계 농장 등 집중관리가 필요한 197호는 정밀검사를 2(1·2주차) 실시하고, 그 외 200호는 1주차 임상검사 실시 후 2주차 정밀검사 실시

중수본은 오염원 제거를 위해 기존의 가축방역 분야 외에도 활용 가능한 모든 자원을 총 동원하여 위험지역 및 양돈농장 주변을 휴일 없이 매일 소독하고 있다고 밝혔다.

가축방역을 위해 지자체·검역본부·농협에서 보유하고 있는 소독차(860여대) 외에도

농작물 병해충 방제 등에 활용되는 광역방제기(45, 임차 및 지자체 보유)와 산불진화에 사용되는 산불진화차(4, 지자체 보유)를 활용하여 양돈농장 주변 및 주요도로 등에 대해 소독을 실시중이고,

국방부의 협조로 군에서 보유한 제독차(38)도 활용하여 접경지역(DMZ·민통선내외) 주요도로에 대한 소독을 실시 하고 있다.

최근(10.15)에는 파리 등 해충을 통한 오염원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연막소독차(22, 임차 및 지자체 보유)를 활용한 농장주변 연막소독까지 실시중이다.

 

참고 : 중수본에서 활용중인 타분야의 소독 관련 자원

 

 

 

·광역방제기: 농작물 병해충 방제(150m까지 살포)를 하기 위한 차량(5)으로 34적재

·산불진화차: 산불 발생시 물을 적재·살포하는 차량(1)으로 800적재 가능

·제독차: 화생방전시 오염지역·사람·장비를 제독(소독), 5톤 트럭, 2,500적재 가능

·연막소독차: 1톤 트럭에 차량용 연막소독기를 탑재, 광범위한 살충·살균 소독



중수본은 101718, 강원 북부 6개 시·*폐사체 수색팀(214)을 동원하여 야생멧돼지 폐사체를 수색하고, 양돈농가가 위치한 3개 시·**전담 소독팀(18)을 투입하여 농가 인근 산악지대의 야생멧돼지 서식지 주변 소독을 실시하였다.

* 강원 철원군, 화천군, 양구군, 춘천시, 인제군, 고성군 ** 경기 포천시, 강원 철원군 및 화천군

또한, 최근 인제군 발생에 따라 확산 우려가 제기되는 설악산 국립공원 지역에 대해서는 국립공원공단 내 대응 TF(13) 구성하여 확산방지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울타리 경계부에 폭죽(13개소) 기피제(35개소)를 설치하여 멧돼지의 접근을 막고, 포획틀(31)을 활용한 사전포획울타리 점검·자체수색을 주4회 이상 실시하는 등 차단·방역에 만전을 기하고 있으며, 대응을 지속 강화해나갈 방침이다.

김현수 중수본부장1018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 상황회의(중수본부장 주재, 108일부터 매일 개최)에서

접경지역은 물론 돼지 밀집 사육지역*에 대해서도 강도 높은 방역조치추가 발생을 차단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홍성·이천·안성·보령·정읍·당진·김제·무안·천안·예산 등 사육두수 순으로 상위 10개 시·군에서 총 340만두 가량의 돼지(전체의 31%)를 사육중

- ”지자체에서도 아프리카돼지열병 추가 발생을 철저히 차단하기 위해 지역 특성에 부합하는 특별 방역대책을 수립하여 추진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조류인플루엔자(AI)와 관련해서는 철새도래지 인근 축산차량 통제지역에 출입한 위반 차량들에 대한 지도·관리를 철저히 해야 함을 강조하며,

- 특히 오리농가에 대해 분동시 분동통로를 반드시 설치·운영하고, 오염위험이 높은 왕겨반입차량과 살포기에 대한 철저한 소독을 실시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출처: ASF수습본부 보도자료 2020. 10. 19.]

 

목록
다음게시물 [농식품부] ASF 예방을 위한 방역관리방안 안내문
이전게시물 [ASF본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 추진상황 (2020.10.18.)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