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주요활동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ASF본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 추진상황 (2020.10.20.)

작성일 2020-10-20 작성자 관리자
첨부파일 다운로드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 추진상황(10.20, 배포시).hwp

100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 추진상황 (2020.10.20.)

 

아프리카돼지열병 중앙사고수습본부(이하 중수본’)1016부터 26일까지 접경지역 양돈농장 397*에 대한 2차 정밀·임상검사를 실시중이다.

* 경기·강원 북부 및 인접 14개 시·군 양돈농장 395호 및 금번 발생농장과 역학관계가 확인된 농장(중복되는 농장 제외) 2(이천 소재)

1019일까지 정밀검사 대상 양돈농장 197 152시료를 채취하였으며, 그 중 검사 결과가 나온 129호 모두 음성으로 확인되었다.(나머지는 검사중)

임상검사 대상 양돈농장 200 24에 대한 임상검사 결과 특이사항도 발견되지 않았다.

1019, 경기·강원지역 양돈농장 1,245에 대한 전화예찰 결과 아프리카돼지열병 의심축 등도 발견되지 않았다.

중수본은 1019, 소독차량 163*를 투입하여 접경지역 야생멧돼지 발생지점 주변과 주요 도로집중 소독하였다.

* 지자체·농협에서 보유한 가축방역용 차량 87대와 함께 군() 제독차량 25, 농업용 광역방제기 24, 산불진화차 27대까지 동원

차량 접근이 어려운 곳환경부 전담소독팀 90을 투입하였으며, DMZ와 민통선 출입구U자형 차량소독시설, 고압분무기, 발판소독조 등을 비치하여 () 인력들이 출입 차량과 운전자를 소독하고 있다.

전국 양돈농장 6,066소독차량 910를 투입하였고, 접경지역 및 돼지 밀집지역 13개 시·연막소독차 26를 동원하여 오염원 확산 방지를 위한 농장 주변 해충 방제를 실시하였다.

 

중수본은 양돈 계열화사업자와 협업하에 농장 방역실태 점검, 소독 등 자체 방역관리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계열화사업자의 소속 계열 농장에 대한 차단방역에도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중수본은 해외로부터 아프리카돼지열병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국내 입국 공항만에서의 해외여행객 휴대품 검색과 외국인 밀집 거주지역을 중심으로 유통·판매되는 불법 수입축산물 단속을 강화하여 추진하고 있다.

* 국내 반입 해외축산물에서 ASF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 : 56(’18.~현재),(해외여행객 휴대축산물 54, 국제우편 축산물 2)

(국경검역) 국내로 입국하는 해외여행객들이 축산물을 불법으로 반입하지 않도록 사전 홍보*와 함께 인천공항 입국장에 농축산물 검역 전용 엑스레이(X-ray)를 추가 설치**하여 불법 축산물 검역을 강화하고 있다.

* 외교부 영사콜센터 문자 발송, 국내입국 비자 발급시 홍보스티커 부착, 현지공항 발권 시 검역 안내, 항공기 기내방송 등 다양한 홍보수단 활용

** (1터미널) 4대 신규 설치, (2터미널) 2대 추가(기존 2) 설치 (’20.7)

(유통·판매 단속) 1021일부터 27까지 전국 외국인 밀집 거주지역 내 외국식료품 판매업소에 대해 불법 수입축산물 유통·판매 행위 일제 단속(식약처·농식품부 합동)을 실시하여, 적발된 업소는 관련 법령에 따라 엄정하게 처분*할 계획이다.

* 무신고 돈육제품(축산물) 판매 시: 10년 이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 벌금

온라인 불법 수입축산물 판매사이트 집중 모니터링 병행

중수본은 1019, 경기·강원 북부 11개 시·*수색인원 471(환경부 수색팀 334, () 인력 137)을 투입하여 야생멧돼지 폐사체 수색을 실시하였다.

* (경기) 파주, 연천, 포천, 가평, 동두천, (강원) 철원, 화천, 양구, 춘천, 인제, 고성

또한, 환경 내 바이러스 확산범위와 전파 가능성을 지속 파악·감시하기 위해 야생멧돼지 검출지점, 양돈농장 밀집지역 주변 야생멧돼지 행동권환경시료(, 토양, 서식흔적 등) 매개우려 동물(곤충, 소형동물 등)채집·조사(300건 이상)하고 있다.

* 20209월 검사한 물·토양·분변·곤충 등 시료 445건은 모두 음성

김현수 중수본부장1019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 상황회의(중수본부장 주재, 108일부터 매일 개최)에서

돈사, 특히 모돈사(어미돼지 사육시설)출입 인원을 최소화하고, 출입 시 방역복·전용장화 착용, 지속적인 소독 실시 단순하지만 가장 중요한 방역수칙이라며 농가에서 경각심을 갖고 철저히 준수해달라고 강조하였다.

조류인플루엔자(AI)와 관련해서는 계란 운반 등을 위해 차량 출입이 잦은 산란계 농장식용란 선별 포장업소계란 운반용 파레트·합판을 철저히 소독하고, 반드시 1회용 난좌를 사용해달라고 당부하였다.

 

[출처: ASF수습본부 보도자료 2020. 10. 20.]

    

목록
다음게시물 [ASF본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 추진상황 (2020.10.21.)
이전게시물 [농식품부] ASF 예방을 위한 방역관리방안 안내문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