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한돈뉴스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기획재정부] 주요 농축산물 및 가공식품 가격 안정을 위한 관계기관 회의 개최

작성일 2021-03-02 작성자 관리자
첨부파일 다운로드 주요 농축산물 및 가공식품 가격 안정을 위한 관계기관 회의 개최, 합동보도자료(2.26, 배포시)1.hwp

100

주요 농축산물 및 가공식품 가격 안정을 위한 관계기관 회의 개최
 
김용범 기획재정부 제1차관226()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요 농축산물 및 가공식품 가격안정을 위한 관계기관 회의를 주재하였음.
 
 
  < 회의 개요 >  
   
일시장소 : ‘21.2.26.() 09:30~10:30, 정부서울청사
 
참석자 : 기재부 1차관(주재), 차관보, 경제정책국장, 민생경제정책관
농식품부 차관보, 축산정책국장, 공정위 카르텔조사국장,
농협경제지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최근 농축산물 가격 동향
 
참석자들은 설 명절 이후 농축산물 가격 상승세가 둔화*되고 있으나 계란, 양파, 대파 등 일부 품목 가격이 높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다고 평가
 
* 사과 가격(후지 10, aT) : (평년)20,720(2.10)36,277(2.25)33,640
배 가격(신고 10, aT) : (평년)32,577(2.10)47,837(2.25)46,339

(계란) 명절후 수요 감소, 조류인플루엔자(AI) 진정세 등으로 가격이 완만하게 하락중이나 여전히 평년대비 높은 수준
 
* 계란 가격(특란 30, aT) : (평년)5,327(2.15)7,821(2.25)7,638
 
(양파대파) 지난해 생산량 감소높은 부패율 등으로 가격크게 상승
 
* 양파 가격(소매 1kg, aT) : (평년)2,103(2.10)3,343(2.25)3,471
대파 가격(소매 1kg, aT) : (평년)3,229(2.10)6,400(2.25)7,205

 
(배추) 작년 가을 이후 안정세를 보였으나, 최근 한파 피해 등의 영향으로 상승세
 
* 배추 가격(소매 1포기, aT) : (평년)3,557(2.10)3,668(2.25)4,496
 
() 지난해 기상여건 악화에 따른 작황부진으로 생산량이 감소(6.4%)하여 가격 강세
 
* 쌀 가격(20kg, aT) : (평년)46,332(2.10)60,184(2.25)60,273
 
또한, 최근 일부 국내 농축산물 국제 곡물 가격 상승즉석밥, 제빵, 두부류 일부 가공식품의 가격 인상견인하는 모습
 
* 주요 가공식품 가격인상률 : (즉석밥)6~11% (제빵)5~9% (두부류)14%
 
특히, 곡물가격 상승가공식품 가격 인상으로 이어지는 흐름이 확산될 경우 물가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는데 공감
 
주요 농축산물 가격 안정 방향
 
정부는 가격 상승폭이 큰 계란, 양파, 대파 농축산물의 가격수급 조기 안정을 위한 맞춤형 대응전략을 마련시행
 
(계란) 추가 수입 공급 확대에 방점을 두고 가격 안정 추진
 
정부는 기추진중인(~2월말) 4,400만개에 더하여
3월중 우선 약 2,000만개 추가 수입 추진

 
소비자부담 완화를 위해 농축산물 할인행사(20%)도 지속
국내산 계란 사용업체의 수입산 계란 가공품 전환* 등도 가격 인하에 기여 예상
 
* 민간 식품가공업체에서 수입산 계란 가공품 수입 추진중(5,504만개분, ~6.30)
 
(양파) 민간 공급물량 확대 유도를 위해 저장 물량의 조기 출하 독려 및 조생종 양파(3월말 출하 예정)생육관리 지도
 
* 대파의 경우 한파로 인해 출하가 늦어진 일부 물량이 3월에 출하되면 가격 안정 전망
 
(배추) 봄철 공급 부족에 대비하여 한파 피해규모를 조속히 산정하고, 필요시 정부 비축물량을 신속 방출할 수 있도록 준비
 
() 정부 비축물량 37만톤을 우선적으로 공급하는 한편, 필요시 추가 공급도 추진
 
* 정부양곡 공급계획(‘21.1 발표) : (1)12만톤 (2)6만톤 (3~6)19만톤
 
가공식품의 경우, 국민 체감도가 높은 만큼 가격 담합 감시 강화 등을 통해 과도한 가격 상승 억제 유도
 
비축물량 등을 활용하여 원료공급을 확대()하고, 주요 가공식품의 가격 동향을 면밀히 점검하는 한편, 담합 의심 정황이 발생하는 경우 즉시 대응
 
원재료 가격 상승에 비해 가격이 과도하게 인상된 품목 집중 점검
 
식품업계와의 간담회 등을 통해 가격안정 협조 요청
 
아울러, 정부는 매주 12회 대형마트·전통시장 등을 방문하여 가격수급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관계부처 합동 현장점검반(반장: 기재부 민생경제정책관)을 운영할 계획
 
* 2.25() 수도권 소재 롯데마트·이마트 등 현장점검 기 실시
(기재부 민생경제정책관(반장), 기재부·농식품부·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관계자 등)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2021. 2. 25.]

목록
다음게시물 [농식품부] 축산악취 등 현안 부처간 협업 강화, 가축질병 방역 및 농산물 수출입 검역인력 확충
이전게시물 [농식품부] 「2019년 기준 농업법인 통계조사」결과 발표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