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한돈뉴스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농식품부] 축산악취 등 현안 부처간 협업 강화, 가축질병 방역 및 농산물 수출입 검역인력 확충

작성일 2021-03-02 작성자 관리자

100

축산악취 등 현안 대응 부처간 협업을 강화하고,
아프리카돼지열병 등 가축질병 방역 및 농산물 수출입 검역인력 확충
- 2.25일자로농림축산식품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및 시행규칙개정 -
 
<< 주 요 내 용 >>
축산악취, 축산물 안전성 관리, 동물질병 및 외래병해충 예방 등 다부처 연계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부처간 협업정원 적극 활용
가축분뇨 관리(환경부 1), 외래병해충 방제(농진청 1), 축산물 안전성 조사(식약처 1) 교차 협업정원 정규화
인수공통감염병(질병청 2), 아프리카돼지열병(환경부 1) 방역 신
가축전염병 차단을 위한 현장 대응 및 연구인력 36명 증원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 역학조사, 백신연구 및 진단 정밀 가축전염병 대응을 위한 인력 증원(방역정책국 3, 검역본부 34)
농식품 분야 현장서비스 강화 등을 위해 필요한 인력 20명 증원
수출단지 검역 및 농산물 안전성 분석, 종자 유통관리 강화 등 농식품 분야 현안 대응을 위한 인력 증원
* 본부 3, 검역본부 7,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3, 한국농수산대학 3, 국립종자원 4
 
<< 세 부 내 용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이하 농식품부’)가축질병 방역 인 증원, 협업정원 정규화 등을 반영한 농림축산식품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및 시행규칙개정안이 지난 225일 공됐다고 밝혔다.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축산악취, 동물질병 방역 및 외래병해충 방제 등 다부처 연계 현안 해결하기 위해 부처간 협업정원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전년도 농식품 분야 협업정원인 가축분뇨 이용관리, 외래병해충 예찰방제, 축산물 안전성 관리 3모두 당초 목표한 성과를 인정받아 금년부터 정규 직제로 전환된다.
 
<참고 : 2020년 농식품 분야 협업업무(한시업무) 및 부서>
 
협업분야 협업부서(직급) 비고
가축분뇨 이용관리 환경부 물환경정책과(51) 농식품부 축산환경자원과(51) 상호
파견*
외래병해충 예찰방제 농진청 재해대응과(연구관1) 검역본부 식물방제과(지도관1)
축산물 안전성 관리 식약처 축산물안전정책과(51)
농식품부 농축산물위생품질관리팀(51)
 
(협업정원) 부처 간 연계·협력이 필요한 협업과제 수행을 위해 지원하는 인력을 말하며, 2년마다 성과평가(행정안전부 주관)거쳐 정규화 여부 결정
 
- 가축분뇨 분야는 축산악취 우려지역의 암모니아 발생경감*하고, 축산물 안전성 분야는 원유(原乳) 잔류물질 검사 프로그램 도입(‘20.7) 계란 안전관리를 강화한 점을 인정받았다.
* 10개 우려지역의 암모니아 발생 약 44% 감소: (20.3) 평균 24.5ppm (20.12) 13.8ppm
 
인수공통감염병(질병청 2) 아프리카돼지열병(환경부 1) 방역 업무는 금년부터 협업정원을 파견하며 2년 후 정규화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둘째, ASF 가축질병 대응 및 반려동물 보호 업무 수행을 위해 33(협업정원 포함시 36)을 증원한다.
 
인천공항과 제주공항에 검역 x-ray 및 탐지견 운용 인력 21, 가축질병 방역·역학조사 및 반려동물 보호 인력 6, ASF 백신 개발 연구인력 4명을 농림축산검역본부에 증원하고,
 
- ASF 방역 총괄기능 강화를 위해 방역정책국에 2명을 증원한다.
 
, 농축산물 검역 및 농산물 안전성 조사 등 농식품 분야 현장 서비스 강화 인력도 14명 증원한다.
 
우리 농산물의 안전한 수출을 위해서 수출 농가에 대한 검역 서비스 강화 인력 5, 외래 식물병해충(열대거세미나방 등) 확산 차단을 위한 예찰인력 2명을 농림축산검역본부에 증원하고,
 
수출 농산물 안전성 입증을 위한 잔류농약·중금속 등 분석 서비스 제공 인력 3명을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 증원하며, 불법·불량 종자·종묘의 유통을 차단하기 위한 종자유통 현장조사 인력 4명을 국립종자원에 증원한다.
 
이 밖에도 체계적인 농기계 관리를 위해 농식품부 본부에 2, 스마트팜 등 ICT 융합교육 강화 등을 위한 교육 지원인력 3명을 한국농수산대학에 증원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국정과제 추진, 대국민 서비스 향상위해 필요한 인력을 지속 확보하고, 부처간 협업과제적극 발굴하여 업무 효율성을 제고계획이라고 밝혔다.
 
`21년 소요정원 및 수시직제 증원 내역
 
ASF 방역, 농기계 관리, 검역 등 ‘21년도 소요정원 및 수시직제 반
 
기관명 기구 및 증원 분 야 비 고
소요정원 45(53, 63, 711, 822, 연구사2, 전문경력 다4)
본부
(6)
2(51, 61),
1(51환경부 협업)
ASF 방역 전담  
2(51, 71) 농기계 등록 및 관리
1 (61) 근로자 등 노무관리임기제로 운
±2(51, 61 51, 71) 농협경제 활성화한시정원 정규
검역본부
(29)
3(전문경력관 다3) ASF 검역탐지견 운용  
1(71) 동물복지정책 수행
5(85) 농산물 수출단지 검역관리
2(71, 81) 제주공항 휴대품 X-ray 검역
2(82) 식물병해충 예찰
16(78, 88) 인천공항 검역 X-ray
농관원
(3)
3(61, 연구사2) 국제공인실험실 운용  
±4(기획조정과, 원산지관리과
인증관리팀, 성분분석과)
총액기구 정규화
한농대
(3)
1(전문경력관 다군 1) 융합교육 정보화 전담  
2(82) 학교시설물 안전관리
종자원
(4)
4(84) 종자 유통조사
수시직제 11(53, 72, 연구관2, 연구사4)
검역본부
(11)
2(51, 71) ASF 방역 전담  
1(51) 인수공통전염병 방역  
3(연구관1, 연구사2) ASF 진단 및 백신 연구  
2(51, 71) ASF 역학조사  
1(연구사1) 구제역 혈청분석  
2(연구관1, 연구사1) 질병관리청 협업정원  
소요정원 45명 중 인천공항 검역 X-ray 운용 인력 16명 은 2/4분기 직제 반영 예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2021. 3. 2.]

목록
다음게시물 [농식품부] 농축산물 원산지 관리, 보다 체계화하고 강화한다
이전게시물 [기획재정부] 주요 농축산물 및 가공식품 가격 안정을 위한 관계기관 회의 개최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