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한돈뉴스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경북, PED 발생주의보 발령....차단방역 강화 당부

작성일 2021-04-19 작성자 관리자

100

경북, PED 발생주의보 발령....차단방역 강화 당부
 
올해 전국적으로 PED 발생 17건 가운데 경북이 6건으로 최다, 특히 영천 집중 발생
 
경상북도(이하 경북)가 도내 양돈농가에 돼지유행성설사병(PED) 발생 주의보를 내렸습니다.
 
경북동물위생시험소는 최근 경북 내 PED 발생이 증가됨에 따라 도내 양돈농가에 PED 발생 주의와 함께 백신접종, 차단방역 강화 등을 알리고, 신속한 진단 및 농가지도로 농가 피해가 확산되지 않도록 차단방역에 집중하기로 하였다고 지난 15일 밝혔습니다.
 
시험소에 따르면 올해 전국적으로 보고된 PED 발생은 전국적으로 17건입니다. 이 가운데 경북에서의 발생이 가장 많은 6건으로 전체의 35.3%를 차지했습니다. 경북 가운데 특히, 영천에서 다수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농림축산검역본부의 지난 겨울 PED 항체 조사 결과 경북의 방어항체 보유율이 20.8%로 전국 평균 37.8%보다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전체 경북의 PED 발생건수는 7건입니다.
 
김영환 경상북도동물위생시험소장은 최근 2월 말부터 PED 의심 신고에 대한 정밀검사 결과 PED 진단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고 밝히고, 도내 양돈농가를 대상으로 지역적 유행에 대비해 백신접종 강화 및 농장간 전파 방지를 위한 출입차량, 입식가축 등 농장 방역관리에 철저를 기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연도별 PED 발생건수@검역본부 발생 통계 편집

한편 농림축산검역본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PED 발생은 전국적으로 45(진단일 기준)입니다. 이는 지난 18221, '19137건에 이어 2년 연속 감소한 수치입니다.

PED와 같은 코로나바이러스인 돼지델타코로나바이러스도 검출되고 있습니다. 돼지델타코로나바이러스는 PED와 비슷하지만, 경증의 설사를 유발해 감별 진단이 요구됩니다.
 
[출처: 돼지와사람 2021. 4. 19.]

목록
다음게시물 [농식품부] 농업분야 외국인근로자 주거지원사업, 4.19일부터 신청·접수
이전게시물 아일랜드·프랑스산 소고기 조만간 수입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