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K-농기자재 수출 확대를 위한 국제워크숍 개최
- 농기자재 수출 유망국 공무원·바이어 초청,
포스트 코로나 시대 글로벌 수출전략 논의 -
<< 주 요 내 용 >>
□ 농기자재 수출 확대를 위한 국제워크숍 온-오프라인 동시 개최
○ (일시/장소) ‘21.11.1.~11.2./코트야드 바이 메리어트 남대문(서울)
* 온라인 유튜브 생중계 동시 진행
○ (주최/주관)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 국내 농기자재 업체와 수출유망국* 공무원․바이어가 참여하여 수출시장 정보 공유, 포스트 코로나 시대 수출 전략 등 논의
* 호주, 베트남, 인도네시아, 인도, 러시아, 남아공 등 11개국 참가 예정
<< 세 부 내 용 >>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이하 ‘농식품부’)는 11월 1일부터 2일까지 이틀간 코트야드 바이 메리어트 남대문 호텔(서울)에서 농기자재 수출정보 공유 및 포스트코로나 시대 수출전략 논의를 위한 국제워크숍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 올해로 제5회를 맞이하는 이번 워크숍은 농식품부 농기자재 수출활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 농기자재 분야별* 수출 유망국가의 농기자재 산업현황 및 관련 제도를 공유하여 국내 농기자재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에 도움을 주고자 마련하였다.
* 농기계, 친환경농자재, 사료, 동물용의약품, 농약, 축산자재, 시설원예, 비료 등 8개 분야
□ 이번 워크숍에는 호주, 베트남, 인도, 러시아, 남아공 등 11개 수출 유망국 공무원 및 바이어 40여명을 초청하였으며, 국내 농기자재 관련 협회 및 기업, 전문가 등 130여명이 참가할 예정이다.
○ 이번 워크숍 프로그램은 참가를 희망한 국내 농기자재 70개 회사의 품목별 희망 주제, 국가 등 수요조사를 토대로 마련되었으며,
○ ‘국가별 농기자재 시장 정책 변화 및 트렌드 공유, ’시장 정책 변화에 따른 국가별 수출 전략 수립‘이라는 주제로 세션별 강연이 진행된다.
□ 특히, 이번 워크숍에서는 ‘4차산업혁명 시대에 K-농산업이 가야할 길’이라는 주제로 전문가들의 패널토론과 함께,
○ 올해 처음으로 진행된 ‘농기자재 수출기업 우수사례 경진대회’ 시상식*도 함께 진행될 예정이다.
* 시상 : 대상 1점(상금 400만원), 최우수상 2점(200만원), 우수상 3점(100만원)
□ 농식품부 이종태 농기자재정책팀장은 “포스트코로나 시대 수출 환경 및 글로벌 트렌드 변화속에서, 우리나라 농기자재 산업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변화에 따른 적절한 대응전략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라고 밝히며,
○ “농기자재 업체가 실제 필요로 하는 수출 정보를 얻고, 업체-바이어 및 국가간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수출실적 증대 및 새로운 수출시장 개척도 크게 진전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행사 소개 및 참여 방법 등 자세한 내용은 ‘농기자재 수출정보서비스(www.maps.or.kr)’ 공지 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주관기관 연락처 :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국제협력실(044-861-8871, 8847)
□ 행사명 : 2021년 농기자재 수출 국제워크숍
□ 추진목적
○ 농기자재 분야별 수출유망국 공무원 및 바이어와 국내 업계 간 네트워크 구축 및 협력 강화
○ 농기자재 분야별 수출유망국이 참여하여 각 국가의 인․허가 정보를 공유하고, 일대일 온라인 미팅 등을 통해 국내 기업의 해외진출 방안 모색
□ 주최/주관 : 농림축산식품부/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 일시 : ‘21. 11. 1.(월) ~ 2.(화)
□ 장소 : 코트야드 메리어트 서울 남대문(서울)
□ 참석자
○ (국외) 분야별 주요 수출유망국* 담당 공무원 및 바이어 등 40여명
* 호주, 베트남, 인도네시아, 인도, 러시아, 남아공 등 11개국 참가 예정
○ (국내) 농기자재 관련 기관․협회, 업체 등 약 130여명
□ 주요내용
○ 글로벌 농기자재 시장 및 정책 현황, 트렌드 변화 등에 따른 수출 및 협력 강화 방안, 4차 산업시대 K-농산업의 방향 토의 등
□ 세부일정(안)
○ 11.1.(월), 1일차
시간 |
주요 내용 |
비고 |
9:00~10:00 |
60‘ |
사전 리허설, 국가별 참석자 확인 |
김혜원 MC |
10:00~10:05 |
5‘ |
개회사 |
농정원 |
10:05~10:10 |
5‘ |
축사 |
농식품부 |
10:10~10:20 |
10‘ |
기조연설 |
|
[SESSION 1] 국가별 농기자재 시장 정책 변화 및 트렌드 공유 |
10:20~11:20 |
60‘ |
[강연 1] (농기계)농기계 산업과 ICT 기술 융합 트렌드
- 연사 : 미얀마 농축산관계부 과장 (Ms.Khine)
- 이력 : ‘농기계 수요변화에 따른 농업시장 환경’강연 이력 보유
[강연 2] (축산자재)온실가스 저감 정책에 따른 축산업 영향
- 연사 : 호주 농무참사관(Emma Jane Hatcher)
- 이력 : ‘동물 사료 분야 현황과 정부 기조’강연 이력 보유
[강연 3] (농약)국가별 농약 규제 정책 변화
- 연사 : 캄보디아 Ministry of Agriculture(Mr. Soklin Thong)
- : ‘농약, 살충제 산업 현황과 정부 정책 방향’강연 이력 보유
|
|
11:20~11:25 |
5‘ |
기념촬영 |
|
11:25~12:50 |
85’ |
점심식사 |
|
[SESSION 2] 시장 정책 변화에 따른 국가별 수출 전략 수립 |
12:50~13:30 |
40‘ |
[강연 4] (농기계)4차 산업혁명에 따른 농기계 산업 변화
- 연사 : 우즈베키스탄 Kor-Uz Design and Technology Center of Agricultural Machinery LLC (Ms. Sherzodbek Akhemedov)
- : ‘축산 자재분야 우즈벡의 다국적 경쟁기업 현황’강연 이력보유
[강연 5] (농약)코로나19에 의한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수출전략 수립
- 연사 : 미얀마 Department of Agriculture (Mr. Zaw Lin)
- : 2020년 농기자재 수출네트워크 비대면 수출지원프로그램 참여
|
|
[SESSION 3] 농기자재 수출기업 우수사례 시상식 |
13:30~13:50 |
20‘ |
우수사례 경진대회 시상 |
|
13:50~14:00 |
10‘ |
휴식 시간 |
|
14:00~15:00 |
60‘ |
[강연 6] 패널토론
주제 : 4차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해나가는 K-농산업이 가야 할 길
- 연사 : 농식품신유통연구원 김동환 원장(좌장), 한국 친환경 농자재협회 안인 부회장, KOTRA 정석수 부장, 공주대학교 윤준상 교수 |
|
15:00~15:05 |
5‘ |
1일차 마무리 |
|
○ 11.2.(화), 2일차
시간 |
주요 내용 |
비고 |
9:00~10:00 |
60‘ |
사전 리허설, 국가별 참석자 확인 |
|
10:00~10:05 |
5’ |
2일차 개회 안내멘트 |
|
[SESSION 1] 국가별 농기자재 시장 정책 변화 및 트렌드 공유 |
10:05~11:10 |
65‘ |
[강연 7] (친환경농자재)각국 농약 규제와 친환경농업 시장 성장
- 연사 : 인도네시아 Indonesian Center for Plant Variety Protection and Agriculture Permits(Mr. Erizal Jamal)
- 이력 : 2020년 농기자재 수출네트워크 비대면 수출지원프로그램 참여
[강연 8] (동물용의약품)항생제 사용 규제 및 대체제 개발
- 연사 : 인도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Biotechnology(Mr. Syed Mohd Faisal)
- : ‘인도 내 동물용 의약품 산업 현황’강연 이력 보유
[강연 9] (사료)탄소 저감 정책에 따른 현지 사료 업계 대응
- 연사 : 러시아 농촌진흥청(Dr. Olga Frunze)
- 이력 : 2020년 농기자재 수출네트워크 비대면 수출 지원프로그램 참여 |
|
11:10~12:40 |
90‘ |
점심식사 (농기자재 사업홍보 콘텐츠 기획 구성) |
|
[SESSION 2] 국가별 스마트팜 시장 정책 변화 및 트렌드 공유 |
12:40~13:50 |
70‘ |
[강연 10] (시설원예)현지 시장의 스마트팜 현황과 도입 기술 현황
- 연사 : 카자흐스탄 NASEC(Mr. Rashid Oskenov)
- : ‘카자흐스탄의 현지 스마트팜 시장 및 코로나19대응현황’강연 이력 보유
[강연 11] (시설원예)수직농장 및 스마트팜 산업 발전
- 연사 : 베트남 EGREEN_ELCOM CORP, DALAT BIOFARM(Ms. Le Thi Thu Suong)
- : ‘스마트 농업 솔루션 베트남 산업현황과 미래 트렌드’강연 이력 보유
[강연 12] (시설원예)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시설원예 개발
- 연사 : 남아공 Impact & Partenerships (Agricultural Economics) at Agricultural Research Council (Mr. Thulasizwe Mkhabela, PhD)
- 이력 : 2020 Africa Agri Tech 농업 개발 및 투자 등 경제적 영향에 대한 강연 |
|
13:50~14:00 |
10‘ |
휴식 시간 |
|
[SESSION 3] 시장 정책 변화에 따른 국가별 수출 전략 수립 |
14:00~14:50 |
50‘ |
[강연 13] (비료) 코로나19에 의한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수출전략 수립
- 연사 : 미얀마 Ministry of Agriculture, Livestock and Irrigation(Ms. Ye Tint Tun)
- : ‘미얀마 정부의 비료 보조 정책 및 코로나 대응 진행’강연 이력 보유
[강연 14] (축산자재) 동물복지 정책과 이에 따른 축종별 축산 환경 및 관리 정책
- 연사 : 벨라루스 KOTRA 무역관 관장(김동묘)
- : 2020년 농기자재 수출네트워크 비대면 수출지원프로그램 참여
|
|
14:50~15:00 |
10‘ |
폐회사 / 국제워크숍 종료 |
|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2021. 10. 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