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한돈뉴스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농식품부] 유엔식량농업기구(FAO) 11월 세계식량가격지수 상승......육류 10월보다 0.9% 하락

작성일 2021-12-06 작성자 관리자

100

유엔식량농업기구(FAO) 11월 세계식량가격지수 상승
 
<< 주 요 내 용 >>
 
202111FAO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1.2% 상승한 134.4포인트
 
전월 대비 상승은 곡물·유제품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
 
<< 세 부 내 용 >>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111월 세계식량가격지수전월(132.8포인트) 대비 1.2% 상승 134.4포인트를 기록하였다.
 
5개 품목군 중 곡물과 유제품 지수의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 식량가격지수: (`21.1) 113.5 (2) 116.6 (3) 119.2 (4) 122.1 (5) 128.1 (6) 125.3 (7) 124.6 (8) 128.0 (9) 129.2 (10) 132.8 (11) 134.4
 
1) FAO 식량가격지수 : ’96년 이후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가격동향(95)을 모니터링하여, 5개 품목군(곡물, 유지류, 육류, 유제품, 설탕)별로 매월 작성발표(2014-2016년 평균=100)
 
2) 10월 육류(112.1110.8), 유제품(120.7121.5) 가격이 보정되어 10월 식량가격지수 조정(133.2132.8)
 
(육류) 202110(110.8포인트)보다 0.9% 하락한 109.8포인트 기록(전년 동월 대비 17.6% 상승)
 
돼지고기는 중국의 EU산 수입이 감소하여 가격이 하락하였다.
 
양고기는 호주산 수출 가능 공급량이 증가하면서 가격이 크게 하락하였다.
 
쇠고기는 브라질산 가격 하락이 호주산 가격 상승을 상쇄하여 가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가금육가격에 변동이 없었으며, 선적 컨테이너 부족과 유럽·아시아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등으로 인한 공급측면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 공급량이 수요를 맞추기에 충분한 상황이다.
 
(곡물) 202110(137.1포인트)보다 3.1% 상승한 141.5포인트 기록(전년 동월 대비 23.2% 상승)
 
은 높은 수요 대비 원활하지 못한 공급(특히, 고품질 밀)가격 상승을 주도하였으며, 호주산 밀 품질 저하 우려 및 러시아 수출 조치 변경의 불확실성도 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보리는 공급량 부족과 밀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가격이 상승하였다.
 
옥수수는 아르헨티나, 브라질, 우크라이나의 판매 호조에 힘입어 가격이 상승하였으나, 미국의 공급량 증가로 상승폭이 제한되었다.
 
은 여러 아시아 지역에서 수확이 진행되고 수입 수요가 분산되어 가격에 큰 변동이 없었다.
 
(유제품) 202110(121.5포인트)에서 3.4% 상승한 125.5포인트 기록(전년 동월 대비 19.1% 상승)
 
버터와 분유는 서유럽 주요 우유 생산국으로부터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여 수출 가용량 및 재고가 감소하였고, 오세아니아의 생산량이 예상보다 낮아 가격이 상승하였다.
 
치즈는 수요가 증가하였으나 수출국의 선적 지연으로 인한 공급제약으로 가격이 소폭 상승하였다.
 
(설탕) 202110(119.1포인트)보다 1.4% 상승한 120.7포인트 기록(전년 동월 대비 38% 상승)
 
설탕은 최대 설탕 수출국인 브라질의 에탄올용 사탕수수 수요의 증가가 가격 상승을 주도하였으며, 인도와 태국에서 대량 수출이 전망되어 가격이 소폭 상승하는 데 그쳤다.
 
(유지류) 202110(184.8포인트)보다 0.1% 하락한 184.6포인트 기록(전년 동월 대비 51.4% 상승)
 
팜유는 코로나19 재확산 우려와 주요 생산국의 생산둔화 전망이 맞물려 가격에 변동이 없었고, 대두 및 유채씨유 가격이 소폭 하락하였다.
 
FAO2021/22년도 세계 곡물 수급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전망하였다.
 
2021/22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2,791.3백만톤으로 2020/21년도 대비 0.7%(19.3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생산량 전망치(전년대비): 518.4백만톤(0.9%)/잡곡 1,503.3(1.5%)/769.6(0.9%)
 
2021/22년도 세계 곡물 소비량2,809.6백만톤으로 2020/21년도 대비 1.7%(47.5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소비량 전망치(전년대비): 518.9백만톤(1.6%)/잡곡 1,513.7(1.6%)/777.0(2.0%)
 
2021/22년도 세계 곡물 기말 재고량822.1백만톤으로 2020/21년도 대비 0.7%(5.4백만톤)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재고량 전망치(전년대비): 187.7백만톤(0.4%)/잡곡 349.7(0.4%)/284.7(1.7%)
 
본 자료는 보도편의를 위해 FAO의 발표자료를 요약·정리한 내용이므로 상세 내용은 FAO 홈페이지(www.fao.org/worldfoodsituation/foodpricesindex/en) 참조
 

 
참고2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식량가격지수 (2013~2021)
 
 
연도 식량가격지수 곡물 유지류 육류 유제품 설탕
2013 120.1 129.1 119.5 106.2 140.9 109.5
2014 115.0 115.8 110.6 112.2 130.2 105.2
2015 93.1 95.9 90.0 96.7 87.1 83.2
2016 91.9 88.3 99.4 91.0 82.6 111.6
2017 98.0 91.0 101.9 97.7 108.0 99.1
2018 1 96.8 95.2 98.3 95.6 106.0 87.2
2 97.9 98.4 95.6 97.0 108.8 83.9
3 99.0 101.8 95.4 97.2 111.3 80.9
4 98.6 104.0 94.0 95.9 110.0 76.8
5 98.7 105.5 92.2 95.3 111.4 76.4
6 97.0 100.8 89.3 95.1 112.3 77.4
7 95.1 98.7 86.9 94.6 110.1 72.5
8 96.0 103.5 84.4 95.8 108.5 68.6
9 94.2 100.3 82.3 94.1 108.3 70.4
10 93.3 100.9 81.3 92.3 102.8 76.5
11 92.2 99.6 76.6 92.9 100.0 79.9
12 92.2 101.1 76.8 92.9 97.8 78.3
(평균) 95.9 100.8 87.8 94.9 107.3 77.4
2019 1 93.3 101.8 80.3 92.3 100.9 79.3
2 94.0 100.7 81.8 93.1 103.8 80.3
3 93.2 97.5 78.4 94.6 105.6 78.7
4 93.6 94.6 79.1 97.8 106.1 79.3
5 94.3 94.4 78.5 100.5 106.6 76.7
6 95.4 99.2 77.5 101.2 102.9 79.9
7 95.1 97.6 78.1 102.4 101.1 79.4
8 94.1 92.6 82.6 102.3 100.3 76.2
9 93.4 91.8 83.9 101.0 99.6 73.5
10 95.2 96.0 84.1 101.6 100.8 77.8
11 98.6 95.6 93.2 106.5 102.5 79.2
12 101.0 97.4 101.5 106.6 103.5 83.0
(평균) 95.1 96.6 83.2 100.0 102.8 78.6
2020 1 102.5 100.7 108.7 103.6 103.8 87.5
2 99.4 99.6 97.6 100.5 102.9 91.4
3 95.2 98.0 85.4 99.4 101.5 73.9
4 92.5 99.6 81.2 96.9 95.8 63.2
5 91.1 98.0 77.8 95.4 94.4 67.8
6 93.3 97.3 86.6 94.8 98.3 74.9
7 94.0 97.3 93.2 92.2 101.8 76.0
8 95.9 99.2 98.7 92.2 102.1 81.1
9 98.0 104.3 104.6 91.5 102.3 79.0
10 101.4 112.1 106.5 91.8 104.5 84.7
11 105.6 114.8 121.9 93.3 105.4 87.5
12 108.6 116.4 131.2 94.8 109.2 87.1
(평균) 98.1 103.1 99.4 95.5 101.8 79.5
2021 1 113.5 125.0 138.9 96.0 111.2 94.2
2 116.6 126.1 147.5 97.8 113.1 100.2
3 119.2 123.9 159.3 100.8 117.5 96.2
4 122.1 126.2 162.2 104.3 119.1 100.0
5 128.1 133.7 174.9 107.4 121.1 106.8
6 125.3 130.3 157.7 110.7 119.9 107.7
7 124.6 126.3 155.5 114.1 116.7 109.6
8 128.0 130.4 165.9 113.5 116.2 120.5
9 129.2 132.8 168.6 112.7 118.1 121.2
10 132.8 137.1 184.8 110.8 121.5 119.1
11 134.4 141.5 184.6 109.8 125.5 120.7
(평균) 124.9 130.3 163.6 107.1 118.2 108.7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2021. 12. 3.]

목록
다음게시물 [농식품부] 인천국제공항 입국장 모든 출구에 농·축산물 검역 전용 엑스레이 설치 완료
이전게시물 [농식품부] 2021년 인수공통감염병 대책위원회 개최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