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한돈뉴스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농진청 '외식 줄어들면서 수입 돼지고기 소비 20.7% 감소'

작성일 2021-12-07 작성자 관리자

100

농진청 '외식 줄어들면서 수입 돼지고기 소비 20.7% 감소'
 
코로나19 이후... 돼지고기 가정 조리간편식 늘고, 닭고기 배달 증가
 
지난해와 비교해 돼지고기의 경우 주 소비 방법이던 외식이 줄어들면서, 수입 돼지고기의 소비가 20.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소고기 소비가 증가했다는 응답은 31.9%를 차지했습니다. 응답자 가운데 한우보다 수입 소고기 소비가 증가했다는 답변이 3.4%P 높았습니다. 가장 큰 이유로 가격(74.7%)’을 꼽았습니다.
 
농촌진흥청(청장 박병홍)은 지난 91일부터 14일까지 전국에 거주하는 20대 이상 69세 이하 성인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이후 축산물 소비 환경 변화 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돼지고기 취식 빈도 (단위 %, 성인 남녀 1,500)@농촌진흥청

조사 결과,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속되면서 국내산 축산물 소비에도 변화가 있었습니다. 1회 이상 돼지고기를 먹는 소비자가 69.5%를 차지했고, 그 뒤를 닭고기 55.1%, 소고기 44.9% 순이었습니다.
 
축산물 소비 방법은 가정 내 조리가 돼지고기 60.3%, 소고기 50.4%, 닭고기 44%로 모두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습니다.
 
이밖에 돼지고기와 소고기 소비 방법은 외식(1618%), 가정간편식/바로 요리 세트(1215%), 배달(911%) 순으로 비슷한 비율을 보였습니다. 닭고기는 배달’ 30.3%, ‘가정간편식/바로 요리 세트’ 13.2%, ‘외식’ 12.6%의 순으로 배달 소비 비중이 높았습니다.
 
소고기, 돼지고기를 소비할 때 가정 내 조리가정간편식/바로 요리 세트이용이 늘었다는 응답이 많았습니다. ‘외식비율은 소고기 49.3%, 돼지고기 38.7% 각각 감소했다고 답했습니다. 닭고기 소비 방법으로 배달이용이 늘었다는 응답은 42.3%에 달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축산물 구매 장소가 바뀌었다는 응답이 18.7%였으며, 인터넷 구매가 크게 증가(49.8%)한 대신 백화점 구매는 감소(19.2%)했습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오형규 기술지원과장은 이번 조사 결과가 마케팅 효율화와 축산물 생산 전략 고도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소비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길 바란다"라고 밝혔습니다.
 
농축산물 유통 마케팅 전문가인 협성대 송정헌 교수는 상대적으로 적었던 축산물 온라인 구매가 코로나19로 크게 늘었다.”라며 온라인 거래에 적합한 축산물 개발과 유통방법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습니다.
 
[출처: 돼지와사람 2021. 12. 7.]

목록
다음게시물 돼지 출하 최고 기록 경신 유력
이전게시물 정부, 모돈이력제 시범사업 예산 확보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