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한돈뉴스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농식품부 장관, 탄소중립 주간 ‘축산분야 메탄 감축 위한 현장 소통의 장’ 마련

작성일 2021-12-10 작성자 관리자

100

농식품부 장관, 탄소중립 주간 축산분야 메탄 감축 위한 현장 소통의 장마련
 
국립축산과학원에서 저메탄사료 개발·보급 방안 논의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지난 8일 전북 완주의 국립축산과학원(이하 축과원)에서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 주재로 메탄저감제 개발 및 보급 확대를 위한 현장 점검과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는 탄소중립 비전선포 1주년을 기념한 김현수 장관의 탄소중립 주간(12.6~10) 현장 행보로 국산 메탄저감제 개발 연구 현장 점검, 축산업계의 메탄저감 노력과 확대 방안 등을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김 장관과 축산업계 전문가들은 약 1시간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저메탄사료 개발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방안을 논의하고, 저메탄사료의 체계적인 기준 마련과 효과검증에 대한 축과원의 역할을 강조했다.
 
주요 참석자들은 축산분야의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서는 메탄을 감축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농가는 양질의 조사료 사용, 출하기간 단축 등을 통한 저메탄 사양관리 기술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며, 사료회사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의 일환으로 저메탄사료 개발과 농가 보급 확대를 통해 환경부담 저감을 실천하는 노력이 중요하다는 의견을 제기했다.
 
특히 국내 저메탄사료 연구는 초기단계로 국제 기준에 맞는 측정장비 보급과 실험설계를 통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기간 단축을 위해 민··학이 하나로 뭉쳐 공동연구를 진행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됐다. 실제로 약용식물과 해조류를 대상으로 한우 메탄저감 효능을 검증 중이며 2025년까지 메탄저감제와 감축계수를 개발할 예정이다.
 
김현수 장관은 올해는 2050 탄소중립 선언 1주년을 맞아 더 늦기 전에농축산 분야에서의 탄소중립 중요성과 절실함을 알리고, 온실가스 감축 활동이 농업·농촌 전체로 확산하는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면서 규모의 많고 적음을 떠나 축산분야 온실가스 감축이 우리 축산업에 매우 도전적인 과제이지만, 정부와 업계가 힘을 모아 탄소중립 달성을 추진하고 탄소중립을 축산업의 혁신과 신사업 창출의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이어 가축의 메탄가스 등을 측정할 수 있는 호흡챔버 현장을 둘러본 후 적시에 활용 가능한 연구개발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관계자들의 노고를 격려했다.
 
농식품부는 탄소중립식량안보라는 중요한 정책 목표를 함께 고려하면서 저탄소 사양관리 가축분뇨 적정 처리 축산환경 기반 구축 등을 담은 축산분야 온실가스 감축 전략을 연말까지 확정 발표할 계획이다.
 
특히 이달 중 사료 내 잉여 질소 배출저감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고시 개정 공표를 준비하고 있고, 추가로 환경부담 저감을 위해 구리, 아연 등 중금속과 인 배출을 줄이고자 내년 상반기 고시 개정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지난 4월부터 운영중인 메탄저감 사료개발 및 보급활성화 대응반을 통해 자체 저메탄사료 개발을 추진함과 동시에 이미 개발된 해외 메탄저감제에 대한 국내 적용 가능성을 조속히 검토하고, 저메탄사료에 대한 기준을 정립해 나갈 예정이다.
 
김현수 장관은 지속가능한 축산업의 발전과 환경보호를 위해 저메탄사료와 적정 단백질 공급 등 사료 단계부터 관리가 중요하며 향후 소 사육방식 개선 등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제도적·재정적 지원을 집중하고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출처: 농수축산신문 2021. 12. 9.]

목록
다음게시물 “실효성 낮은 돼지고기 이력제, 간소화해야”
이전게시물 선진, 식육문화연구원 설립…올바른 식육문화 알려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