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한돈뉴스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검역본부 해외 동물질병 모니터링 강화

작성일 2021-12-13 작성자 관리자

100

검역본부 해외 동물질병 모니터링 강화
 
로봇프로그램자동화 도입
 
검역본부가 해외 동물질병 발생정보 수집에 로봇프로그램자동화(RPA)를 도입해 해외 질병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한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지난 10월 정부혁신 실행계획의 일환으로 로봇프로그램자동화(RPA)해외 동물질병 발생 상황 뉴스의 수집·전파업무에 도입하고, 3개월간 시범운영을 거쳐 2022년 상반기부터 해외 가축질병 및 인수공통전염병 발생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는 데이터 수집, 입력, 비교 등과 같은 반복 정형화된 단순 업무를 자동화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번 프로그램은 특별방역대책기간에 접어들면서 유럽, 중국 등 동남아시아 등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아프리카돼지열병 및 조류인루엔자의 확산이 우려되는 엄중한 상황에서 신속하고 효과적인 질병 유입위험 정보수집을 위해 도입됐다.
 
검역본부는 로봇프로그램(RPA)이 사전 설정된 시간마다 뉴스 수집 프로그램을 자동 구동해 국내외 언론 검색 결과를 담당자의 e-메일로 송부한다. 이를 통해 해외의 국가재난형 질병 발생에 대응해 보다 신속하게 방역·검역 조치가 가능하도록 했다.
 
RPA 도입 전에는 담당자가 일과 중 컴퓨터에서 뉴스 수집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검색 결과를 확인했으나, 도입 후에는 로봇이 프로그램을 자동 구동시키고 그 결과를 메일로 전송하므로, 업무시간 외 공휴일 및 야간 등 24시간 365일 담당자가 휴대폰으로 실시간 검색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됐다. 또한 금번 도입된 RPA, 뉴스 수집 외에도 해외 질병 발생 시 긴급보고서, 일일보고서 및 월간보고서 자동 생성 기능도 지원하고 있다.
 
이번 RPA 도입으로 해외 동물질병 뉴스 수집 등 일상의 반복적인 업무를 디지털 노동력(RPA)이 일부 대체해 연간 1500시간 정도의 업무 시간을 절감하고,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질병 유입위험 분석 업무에 집중할 수 있어 업무 생산성·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문운경 위험평가과장은 이번에 최초로 도입된 로봇프로그램을 지속 개발보완해 해외 질병 발생 정보공유의 신속성 및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예정"이라며 "해외 가축질병 및 인수공통전염병 발생 정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국내 가축방역국경검역 및 인수공통전염병 관리에 적극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출처 : 축산경제신문 2021. 12. 10.]

목록
다음게시물 대한민국 동물방역수의사대상 첫 수상자가 나왔다
이전게시물 축산환경관리원 "경축순환 농업인을 칭찬합니다"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