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한돈뉴스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국내 양돈장 열 중 둘만 국제경쟁력 갖춰

작성일 2021-12-14 작성자 관리자

100

국내 양돈장 열 중 둘만 국제경쟁력 갖춰
 
선진국 MSY 24.7~31.6, 국내 18천양지차
산자수 적은데다 이유 후 육성률서 크게 뒤져
경쟁력 농장 19%생산성 제고에 적극 투자를
 
작년 세계 주요 돈육 수출국과들과 국내의 생산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국내 양돈농가는 불과 10곳 중 2곳 만이 국제 경쟁력을 갖춘 농가들로 분석됐다.
 
한돈협회는 지난 8aT센터에서 2020년도 한돈팜스 전국 한돈농가 전산성적 보고회를 개최했다. 지난해 전국 한돈농가들의 평균 생산 성적은 PSY=21.3MSY=18.3두로 나타났다.
 
또한 지난해 돈육 수출국들의 PSYMSY덴마크=PSY 33.9, MSY 31.6네덜란드=PSY 30.8, MSY 29.4독일=PSY 30.6, MSY 29.0벨기에=PSY 31.MSY 28.1프랑스=PSY 30.1, MSY 28.2브라질=PSY 29.1, MSY 27.7스페인=PSY 27.8, MSY 25.7미국=PSY 27.3, MSY 24.7두로 나타났다.
 

19~20년 국가별 PSY 비교
 

19~20년 국가별 MSY 비교
 
이 같이 국내와 해외 선진국 양돈농가를 비교하면 생산성의 차이는 크게 차이난다. 이는 무엇보다 산자수가 절대 적은데다 육성률도 해외와 비교하면 크게 뒤처지기 때문이다. 이에 국내 농가가 국제 경쟁력을 가지려면 최소 MSY22두는 돼야 한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국내 농가 중 국제 경쟁력을 가진 농가는 10곳 중 2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MSY 성적별 농가 비율을 분석한 결과 26두 이상=2.6% 24~25=7.2% 22~23=9.6% 20~21=14.2% 18~19=16.7% 16~17=17.1% 16두 미만=32.5% 등으로 나타났다. 즉 국내 약 절반의 농가들이 MSY 18두 미만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제 경쟁력을 가진 MSY 22두 이상 농가 비율은 19.4%에 불과했다.
 

2020PSY, MSY 성적별 농가수 비율
 
이에 따라 돈가가 생산비 수준 및 이하 형성 시 MSY 18두 미만 농가들의 수익 악화로 경영 어려움이 가속화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특히 성적이 낮은 농가는 대부분 소규모 농장들로 돈가 하락 시 연쇄 도산이 우려되고 있어 생산성 제고가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아울러 최근에는 생산비 증가에 따라 내년도에는 두당 손익이 더욱 감소할 것으로 보여, 생산성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출처 : 양돈타임스 2021. 12. 13.]

목록
다음게시물 4단계 소독 요령 내년 2월까지 의무화....안하면 과태료
이전게시물 세계 돈육가격 지수 5개월째 하락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