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한돈뉴스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농식품부] 선제적 성수품 수급점검 및 관리 강화

작성일 2021-12-15 작성자 관리자
첨부파일 다운로드 농식품부, 선제적 성수품 수급점검 및 관리 강화, 보도자료(12.14, 배포 시).hwp

100

농식품부, 선제적 성수품 수급점검 및 관리 강화
- 예년보다 4주 빠른 성수품 수급안정대책반 운영 -
 
농식품부는 생활물가, 특히 설 명절 물가 관리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예년보다 4주 이상 빠르게 설 성수품 수급안정대책반을 구성하였다.
 
설 성수품 수급안정대책반은 설 성수품의 수급상황과 대책 추진상황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범정부적 물가안정 대응체계* 연계하여 월 3~4 범위에서 점검 회의를 개최할 계획이다.
 
* 기재부, 교육부, 과기부, 행안부, 농식품부, 해수부 등 물가 관계 14개 기관 회의체
 
이와 관련하여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이하 농식품부’) 재한 식품산업정책실장 직무대리(이하 식품실장’)1214() 농업관측센터 오송 사무실에서 설 성수품 수급안정대책반 kick-off 회의를 개최하였다.
 
< 설 성수품 수급안정 대책반 회의 개요>
일시: ’21.12.14.() 14:00~16:00
장소: 농업관측센터 오송사무소 회의실
참석: 림축산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직무대리), 농협경제지주(채소사업단장, 양곡지원단장, 축산유통전략팀장),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업관측센터, 한우협회, 계협회, 양계협회, 신선채소조합, 전국알피씨연합회, 이마트, 대아청과, 서부청과 등
 
이번에 개최된 식품실장 주재의 성수품 수급안정대책반 회의는
 
국제유가 및 원재료비 상승, 농축산물 소비 증가 등 영향으로 국내 물가 상승 폭이 확대 중인 가운데
 
* 소비자물가(전년 같은 달 대비, %) : 21.1, 42.3 62.4 82.6 103.2 113.7
 
선물제수용품 구매 등으로 농축산물 수요가 급증하는 설 명절이 한 달 보름여 앞으로 다가옴에 따라
 
- 10대 성수품*과 쌀을 중심으로 설 명절 수요 증가 등 가격 불안 요인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고 농축산물 수급상황을 관리하기 위해 개최되었다.
 
* 배추, , 사과, , , 대추,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계란
 
이날 회의에는 농협경제지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 등 수급 관리 관계기관과 이마트, 대아청과, 서부청과, 한우육계양계 생산자협회, 신선채소조합, 전국알피씨연합회 등 농식품유통 분야 전문가가 참석하였다.
 
농식품부 권재한 식품실장은 올해 쌀 생산량 증가, 채소류 생육 회복, 충분한 축산물 공급량 등 고려 시 수급 여건은 점차 개선될 것으로 본다라며,
 
* 쌀 생산량: (‘20) 351만 톤(’21) 388만 톤(전년 대비 10.7%)
* ’22년 한우 공급은 가격수준이 낮았던 ’13년 수준(84~85만 마리), 돼지는 ’21년에 이어 역대 최고 수준의 공급(1,840만 마리 수준) 예상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소고기돼지고기 수요 지속과 겨울철 한파, 최근 발생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등에 따른 불안심리 등 위험 요인도 잠재된 상황이라고 진단하면서
 
- 명절을 앞두고 겨울배추 비축, 사과배 계약 출하 확대, 마늘 TRQ 운영, 계란 수입 등 선제적인 수급 관리 및 대책을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 겨울배추 비축 3천 톤 추진(~12월 말) / * 계약출하물량 : 사과 14천 톤, 12천 톤
* 마늘 TRQ 10천 톤(깐마늘 6천 톤, 피마늘 4천 톤), 계란 신선란 3천만 개 수입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2021. 12. 14.]

목록
다음게시물 [농식품부] 온라인 코로나19 특별방역 점검 추진
이전게시물 한돈 뒷다리 1년 새 '귀한 몸'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