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악취 저감 등 축산미생물제 효과 실증 추진한다 |
||||||
---|---|---|---|---|---|---|
작성일 | 2021-12-16 | 작성자 | 관리자 | |||
첨부파일 | 다운로드 악취 저감 등 축산미생물제 효과 실증 추진한다, 보도자료(12.16, 조간).hwp | |||||
100 |
||||||
악취 저감 등 축산미생물제 효과 실증 추진한다
- 2022년 전북 장수군, 전남 함평군에서 농가 대상으로 실증 추진 - << 주 요 내 용 >> □ 농식품부는 12.8.(수) 사업자 선정평가를 진행해 전북 장수군, 전남 함평군을 ’22년「에코프로바이오틱스 이용활성화」사업 시행 지자체로 선정 ○ 지역 축산농가에 미생물제를 보급해 악취 저감, 가축 건강 증진 등 효과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농가 활용 모델을 개발·보급 추진 << 세 부 내 용 >>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이하 농식품부)는 12.8.(수) 사업자 선정평가를 통해 ’22년도「에코프로바이오틱스 이용활성화」사업을 시행할 지자체로 전북 장수군, 전남 함평군을 선정하였다고 밝혔다. ○ 본 사업은 축산미생물제 급여의 효과를 공공 차원에서 과학적으로 실증하고 농가 활용모델을 개발, 확산하여 축산미생물제의 활용을 촉진하고 관련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사업으로, ○ 에코프로바이오틱스란 가축의 소화·흡수율 증진을 통해 축산 분뇨 악취물질을 저감하는 등 환경친화적(eco-friendly) 축산물 생산에 활용될 수 있는 유익미생물(probiotics)을 의미한다. □ 현재 유산균, 효모, 바실러스 등 다양한 미생물이 사료첨가제로 개발되어 유통되고 있으나, 미생물제 급여 효과에 대한 실증데이터가 부족하여 농가의 신뢰를 얻는데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 개별 연구자나 기업 차원의 일부 연구에서 미생물제 급여가 가축의 영양, 건강, 악취저감 등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나, ○ 공공 차원에서 검증한 데이터가 아니어서 농가의 신뢰가 저조한 상황이다. □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지자체와 협업해 지역 농가에 미생물을 보급하고 과학적 데이터를 확보·검증하는 실증사업을 올해 처음 시범 추진하였고, `22년은 사업지역을 확대하여 2개소를 선정하게 되었다. ○ 선정된 지자체는 미생물 전문연구기관과 협력하여 품질 평가를 통해 우수 축산미생물제를 선발해 지역 내 농가에 보급 후, ○ 미생물 보급 전후의 축산 악취물질 농도, 분뇨·슬러리 부숙도, 가축 건강 및 생산성 지표 등 데이터를 수집해 비교·분석할 예정이다. ○ 또한 농가에서 효과적으로 미생물제를 활용할 수 있도록 축종별 급여량, 횟수·시기, 미생물제 취급·관리 방법 등에 대한 농가 컨설팅을 진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적 활용모델을 개발해 보급할 계획이다. □ 농식품부 관계자는 “본 사업을 통해 축산용 미생물의 효능에 대해 농가에서 신뢰할 수 있는 실증데이터를 확보하기를 바란다”라며, ○ “향후 미생물 효능 실증 결과에 대한 홍보와 효과적인 이용·관리 방법 보급 등을 통해 미생물을 활용한 친환경 축산모델을 정착시키고, 관련 산업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 사업 개요 ○ (목적) 축산 생균제를 이용한 지역 단위 친환경 축산브랜드화 지원 및 생균제 시용 효과의 과학적 입증을 통해 축산 생균제 산업 활성화 ○ (예산/기간) ’22년 국비 992백만원(지방비 50% 매칭) / ’21~(계속) * 사업시행자 공모 신청 시 지자체에서 사업단을 운영할 전문기관과 함께 신청 ** `21년의 경우 전라북도 장수군/(재)농축산용미생물산업육성지원센터가 선정됨 ○ (지원대상) 지자체에서 매년 1개 마을(2~3만두 규모) 선정해 지원 * `21년 돼지 3만3천두(20농가) 한우 1만1천두(300농가) 대상으로 시행중 □ 사업 내용 ○ (생균제 지원) 미생물 기반 친환경 축산브랜드화 촉진을 위해 마을 단위로 10개월간(3~12월) 축산생균제 비용 지원 ○ (효과 분석) 생균제 급여에 따른 장내미생물 변화, 건강 증진, 생산성 향상, 퇴비 부숙도, 축산 악취물질 저감 등 효과 분석(급여 전, 중간점검, 최종결과 등 3회) ○ (현장컨설팅) 농가별 현장컨설팅 및 이를 통한 최적의 축산생균제 활용 모델 개발(생육단계별 급여량, 횟수, 시기, 급여 방법 등) □ 기대 효과 ○ 미생물 시용 효과를 과학적, 체계적으로 모니터링 및 분석하여 축산 생균제 신뢰도 제고 및 시장 저변 확대, 최적의 활용 모델 개발 ○ 미생물 기반 친환경 축산 마을 조성 및 지역 브랜드화를 촉진해 지속가능한 축산 기반 조성 및 농가 소득 증대, 건강한 먹거리 생산에 기여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2021. 12. 16.] |
||||||
목록 | |||
다음게시물 | 다음게시물이 없습니다. 올해 소비자 식품 주 구입처 ‘대형마트’ 1순위 올라 | ||
---|---|---|---|
이전게시물 | 이전게시물이 없습니다. [농식품부] 우리 지역 농지가격과 임차료를 확인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