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한돈뉴스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올해 소비자 식품 주 구입처 ‘대형마트’ 1순위 올라

작성일 2021-12-16 작성자 관리자

100

올해 소비자 식품 주 구입처 대형마트’ 1순위 올라
 
온라인 식품 구입 비중 지속↑…모바일 쇼핑 대세
KREI, ‘2021 식품소비행태조사 결과발표대회결과
 
올해 우리나라 가구에서 식품을 주로 구입하는 장소로는 대형마트-동네 슈퍼마켓-재래시장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식품을 주로 구입하는 장소가 온라인 채널이라고 응답한 가구 비중도 계속해서 증가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이 지난 14일 온라인 유튜브 채널을 통해 개최한 ‘2021 식품소비행태조사 결과발표대회에서 이 같이 발표됐다.
 
결과를 보면, 주로 식품을 구입하는 곳으로 대형 할인점(36.1%)’1순위를 차지했다. 코로나19 1년차인 지난해에 처음으로 1순위로 올라섰던 동네 슈퍼마켓(30.0%)’2순위로 내려왔다.
 
재래시장의 비중은 2019년까지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데, 코로나19 발생 직후인 2020년에 13.0%까지 증가한 특징을 보였으나, 올해에는 다시 10.9%로 감소해 기존의 감소 추세를 이어갔다.
 
온라인으로 식품을 구입하는 가구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9년에는 4.9%의 가구에서 1회 이상 온라인으로 식품을 구입한다고 응답했는데, 올해에는 이 비중이 15.7%로 크게 증가했다(202011.7%).
 
이들 중 88.7%는 모바일-스마트폰을 통해 식품을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비중은 201761.4%에 비해 크게 증가한 수치이다.
 
G마켓이나 쿠팡과 같은 온라인 종합 쇼핑몰에서 식품을 구입하는 가구의 비중이 71.1%로 처음으로 70%를 넘어섰다. 작년에는 58.5%, 2019년에는 51.1%였다.
 
식품 구입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기준으로는 단연 가격의 영향력이 확대됐다. 쌀을 구입할 때 소비자들은 맛, 품질, 가격 순으로 중요하게 고려했는데, ‘가격을 중요하게 고려한다고 응답한 가구의 비중은 지난해 20.3% 수준에서 올해 24.2%로 약 4% 가까이 증가했다.
 
이는 채소류나 과일류 구입에서도 동일하게 발견되는 현상으로, ‘가격을 중요하게 고려한다고 응답한 가구 비중은 채소류와 과일류에서 각각 전년 대비 3.1%, 3.5% 증가했다.
 
KREI 관계자는 올해는 농산물뿐만 아니라 외식 및 가공식품 등 전반적인 먹거리 물가가 크게 증가했기 때문에 가격에 더욱 민감해진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출처: 농축유통신문 2021. 12. 16.]

목록
다음게시물 제2회 농업기술혁신포럼...기후변화 위기 극복 새로운 농업기술 공유
이전게시물 [농식품부] 악취 저감 등 축산미생물제 효과 실증 추진한다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