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한돈뉴스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축산 탄소중립, 정부 지원 있어야

작성일 2022-04-08 작성자 관리자

100

축산 탄소중립, 정부 지원 있어야
농촌경제연구원 농가 설문 결과

온실가스 감축 노력 필요성 공감
저감 기술 활용, 비용 등이 걸림돌
적정 단백질 사료, 긍정‧우려 공존
경제 부담 경감 및 홍보 등 지원을

축산 등 농업인 대부분이 기후변화를 체감하고 있으며 온실가스 감축 노력 필요성에도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온실가스 저감 노력을 실천에 옮기려면 정부의 다양한 지원방안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농촌경제연구원은 지난해 8월 9~9월 3일까지 농업인 914호를 대상으로 인식 조사를 실시, 최근 그 결과를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 방안(1/3년도) 보고서를 통해 소개했다. 이를 보면 조사 대상 중 88.3%가 농업 부문이 다른 산업에 비해 기후변화의 영향을 더 받는 부문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이나 연령, 영농경력 관계없이 농업 부문 전반에서 기후변화 영향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농경연은 설명했다.

실제 농업 경영을 하면서 기후변화를 체감하는지를 조사한 결과 △논벼=88.5% △시설재배=87.8% △축산=88.6%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또 기후변화의 지속 여부에 관해서도 대부분 그럴 것이라고 답했다.

이에 따라 기후변화의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기 위한 온실가스 감축 노력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농가들이(△논벼=76.1% △시설재배=77.6% △축산=87.4%)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이 같은 인식에도 불구하고 농업인들이 실제 온실가스 감축 기술을 적용하는데 있어서는 다양한 걸림돌들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축산농가의 경우 가축분뇨 퇴액비 공동자원화 시설 이용 농가 비중이 51.4%로 나타났는데 시설을 이용하지 않는 농가들은 대체로 처리 비용이 비싸고 시설의 위치가 너무 멀다는 이유로 공동 자원화 시설이나 바이오 에너지 시설을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적정 단백질 사료에 있어서는 80%의 농가가 급여 의향이 있다고 응답해 수용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급여 의향이 없는 농가들은 비용 상승에 대한 우려(47.4%)가 가장 컸고 적정 단백질 사료가 무엇인지 모르거나 생산성 저하에 대한 걱정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농경연은 향후 기후 변화에 대응한 온실가스 감축 기술 수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농가에 대한 초기 투자비용 지원, 안정적 판로 확보 지원, 직불제 및 인센티브 제공 등 농가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켜줄 지원이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농가에 온실가스 감축 기술에 대한 홍보 및 교육을 위한 지원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출처 : 양돈타임스(http://www.pigtimes.co.kr)  2022.4.7

 

목록
다음게시물 한돈산업발전협의회,“한돈 관련 전후방산업 협력 모델 구축 첫걸음”
이전게시물 코로나 이후 축산물 지출 20% 이상 늘어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