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한돈뉴스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홍천 ASF, 환경부 안일한 정책 탓”

작성일 2022-05-31 작성자 관리자

100

“홍천 ASF, 환경부 안일한 정책 탓”

한돈협, 특단의 야생멧돼지 대책 촉구


한돈협회가 ASF 재발 방지를 위해 획기적인 멧돼지 정책 변화를 정부에 촉구했다.

협회는 지난달 26일 강원도 홍천 ASF 재발 원인을 환경부의 안일한 야생멧돼지 정책이라고 지적하며, 정부의 멧돼지 방역 정책 실패를 꼬집었다. 이에 ASF 전국 확산이라는 위기를 막기 위해서는 지금이라도 특단의 야생멧돼지 감축 대책을 즉각 시행할 것을 당부했다.

협회는 "전국의 한돈농가들은 지난 수년간 근본적 ASF 퇴치를 위해서는 야생 멧돼지 박멸 대책이 최우선이 되어야 함을 호소해 왔다. 다수의 전문가들은 매일 발견되는 ASF 야생멧돼지 감염축이 충북, 경북으로 남진했으며, 백두대간을 타고 조만간 전국 확산에 이를 수 있다고 이미 지난해 경고한 바 있다"고 성토했다. 

특히 협회는 "전문가들은 수년간 각종 연구와 시뮬레이션을 통해 ASF 퇴치를 위해서는 3년 동안 매년 75%씩 야생에서 멧돼지를 감축시켜야 하며, 야생멧돼지 제로화 벨트를 만들어 더 이상남하를 막아야 한다고 지난 문재인 정부 내내 수차례 건의해왔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협회는 환경부의 무책임으로 대한민국 국민인 한돈농가의 안전과 생존이 위협당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에 "천적이 없는 멧돼지는 농작물 피해의 주범이며, 심지어 민가로 내려와 사람도 공격하며 국민의 생명까지 위협하고 있다"며 "새 정부의 환경부는 지난 정부의 불통과 무능을 되풀이 하지 말고, 획기적인 멧돼지 정책 변화를 제시해줄 것"을 간곡히 호소했다.
 
아울러 "환경부에서 통제하지 못한 야생멧돼지 때문에, ASF발생이 마치 집돼지 농장의 방역소홀로 전가되어, 과도한 예방적 살처분, 지나친 권역화 통제와 이동제한, 과도한 8대방역시설 설치 요구 등 생존권을 위협받을 정도의 철저한 불이익을 받아왔다. 더 이상 이런 일이 반복되서는 안된다"고 재차 호소했다. 
 
이에 협회는 새 정부의 방역정책은 정확한 역학조사를 통해 과학적 근거에 의한 ‘산업을 살리는 방역정책’으로 전환할 것을 주장했다. 농림축산식품부 역시 농가의 8대 방역시설 전국 의무화에만 전념할 것이 아니라 환경부의 멧돼지 대책에 함께 총력을 기울여야 할 것을 촉구했다.

[출처 : 양돈타임스 2022. 5. 30.]


http://www.pig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5675

목록
다음게시물 축산물유통단체협의회, 2022년 제1차 대표자 회의 가져
이전게시물 "ASF 토착화 우려, 차단방역 강화"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