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한돈뉴스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인터뷰]손세희 한돈자조금관리위원장 “농가 줄도산 위기…해외서 돌파구”

작성일 2024-02-16 작성자 관리자

100

[인터뷰]손세희 한돈자조금관리위원장 농가 줄도산 위기해외서 돌파구
 
매년 크고 작은 어려움이 많았지만, 올해는 유독 연초부터 돈가(돼지가격) 하락이 심각해 한돈 산업이 큰 위기입니다.”
손세희 한돈자조금관리위원장 겸 대한한돈협회장은 15일 서울 서초구 제2축산회관에서 진행한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고금리, 고물가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생산비가 급증한 데 반해, 장바구니 물가도 높아져 소비자들의 지갑이 굳게 닫혔다며 이같이 토로했다. 손 위원장은 최근 생산비 증가, 돈가 하락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돈농가의 경영 안정화를 위해 정부의 중장기 계획과 지원책 마련을 힘주어 말했다. 손 위원장을 만나 국내 양돈업계 현황과 애로사항을 구체적으로 들어봤다.
 
1968년생인 손 위원장은 충남대 축산학과 졸업 후 1994년부터 고향 홍성에서 양돈업을 시작했다. 맨손으로 양돈농가를 키워낸 자부심을 바탕으로 15~16대 대한한돈협회 홍성군지부장과 이사를 역임한 양돈업계 전문가다. 그는 202111월부터 현재까지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한돈자조금)와 대한한돈협회를 이끌며 업계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있다.
 
손 위원장은 먼저 고금리·고물가 영향으로 사룟값 폭등, 이자 부담 가중 등 생산비 증가와 소비 침체에 따른 한돈 농가들의 경영 위기 문제를 꺼냈다. 그는 물가가 오르면서 소비가 둔화되면서 돼지고기 전 부위의 재고가 늘고 있고, 수요가 줄어 돼지 가격 4000원대 초반까지 떨어졌다면서 여기에 사룟값 폭등, 이자 부담 등이 가중되면서 지난해 생산성 하위 30% 구간의 한돈농가 생산비는 1kg당 평균 5700원 수준까지 올라 현재 팔면 팔수록 손해라고 지적했다.
 
구체적으로 한돈 농가가 현재 얼마나 심각한 위기 상황이냐 묻자, 손 위원장은 고금리에 현금 흐름이 막힌 농가들을 중심으로 도미노 도산 사태까지 벌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한돈농가 전반이 큰 위기를 겪고 있는 가운데, 특히 우리나라 전체 한돈농가 약 5500호 중 하위 30% 구간의 농가는 도산 위기에 내몰릴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라며 지난해 해당 구간의 농가들은 호당 약 14000만 원의 적자가 누적됐고, 올해 역시 1월 한 달간만 약 3000만 원의 손실을 볼 것으로 추산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한 농가당 평균 부채는 약 20, 많게는 30억 수준으로 이자 부담 금액만 연간 5000~8000만 원에 이른다고 했다.
 
손 위원장은 악화된 농가의 경영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선 정부의 제도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농가의 자체적 노력에도 생산비 절감이 가능한 방법은 제한적이라, 맨몸으로 버티는 것도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려면 생산비 절감을 위한 사료비, 전기요금, 정책자금의 금리 인하 지원이 필요하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그는 사료비 부담완화 대책으로는 올해 양돈용 특별사료구매자금을 신설해 대출금리 1%의 특례보증 한도를 3억 원에서 5억 원으로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기존 사료구매자금 지원을 받은 농가에서 상환 기간을 추가 연장하는 방안도 제안했다. 손 위원장은 현금 유동성 확보가 어려운 상황인 만큼 현행 금리 1.8%, 2년 거치 일시상환에서 금리 1.0% 인하 및 3년 거치 2년 분할상환으로 조정한다면 농가의 부담이 크게 줄어들 것이라고 밝혔다.
 
올해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한돈자조금)는 한돈농가의 판로를 넓히기 위해 해외시장 개척에도 힘쓸 계획이다. 손 위원장은 아직 한돈의 해외시장 진출은 걸음마 단계라면서도 한류 인기에 힘입어 K푸드도 인기인 만큼 한돈농가의 판로 개척을 위해 한국을 넘어 해외에서도 손쉽게 한돈을 즐길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했다. 이를 위해서는 수출 과정에서도 정부의 협조를 통해 한돈수출 가능국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손 위원장은 현재 한돈은 홍콩, 캄보디아 등 일부 국가에만 수출되고 있다생돈을 수출하는 과정에서 검역 절차가 까다로워, 수출국 확대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이에 그는 베트남, 싱가포르 등 한돈의 해외 진출국을 늘리려면 정부가 상대국과 검역협정을 추진해 수출 길을 더 많이 열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략]

 

[이투데이 2024. 2. 16]
https://www.etoday.co.kr/news/view/2330776


 
 

목록
다음게시물 [돼지도체 등급판정제 논란] 생산자 “현행 유지해야”…가공업계 “전면 자율화로”
이전게시물 아시아 양돈단체 수장 서울 집결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