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한돈뉴스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환경부, 멧돼지 서식밀도 크게 줄였다는데…

작성일 2024-09-13 작성자 관리자

100

’21년 1.37→ ’23년 1.01두로…매년 7만두 이상 제거해
양돈업계 “ASF 남하 지속…서식밀도 어떻게 산출했나”

 
환경부가 야생멧돼지 ASF 방역대책이 유의적인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그러나 양돈업계는 피부에 와닿지 않는 현실을 지적하며 그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환경부는 야생멧돼지 포획 및 수색을 지속적으로 강화한 결과 매년 야생멧돼지의 서식밀도가 줄어들고 있다고 밝혔다.         
                      

대한한돈협회가 전국 야생멧돼지 서식밀도를 ㎢당 0.7두 이하로 줄여나가겠다는 환경부의 ASF 방역대책이 당초 목표대로 이뤄지고 있는 지 공식 확인을 요구한 데 따른 회신에서다. 한돈협회는 이 과정에서 2023년∼2024년도 야생멧돼지 포획 실적을 이전과 비교한 관련 실적을 요청하기도 했다.
 
환경부는 이에대해 지난 2021년 기준 ㎢당 1.37두였던 야생멧돼지의 전국 서식밀도가 2023년에는 1.01두까지 줄어들었다는 자체 통계 자료를 제시해 왔다. 같은시기 7만두 이상 이뤄지고 있는 야생멧돼지 제거(포획, 사체 수거) 실적도 보내왔다.
 
양돈업계는 이러한 환경부의 자체 평가를 좀처럼 믿지 못하는 반응이다. 경북의 한 양돈농가는 “야생멧돼지 ASF의 전국 확산이 시간문제라는 건 전문가 뿐 만 아니라 농가들도 알고 있다”며 “환경부 평가대로 야생멧돼지 방역대책이 성과를 거뒀다면 야생멧돼지 ASF가 경북까지 내려와 잇따른 양돈장 발생을 근본 원인이 될수 있겠느냐”고 반문하기도 했다.
 
실제로 야생멧돼지 ASF는 지난 19년 55건을 시작으로 ▲2020년 856건 ▲2021년 964건 ▲2022년 878건 ▲2023년 735건 등 총 46개시군에서 4천여건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일부 전문가들은 야생멧돼지 전용이 아닌, 야생보호 동물 현황 파악을 위해 설치한 장비에서 얻어진 자료가 야생멧돼지 서식밀도 산출에 활용되고 있다는 추측도 제기되고 있다.
 
한돈협회는 이에따라 야생멧돼지 서식밀도 산출 방법에 대해서도 추가 요청에 나설 계획이다.

[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http://www.chuksannews.co.kr/news/article.html?no=262570

목록
다음게시물 정희용 의원, 농축수산업계 회복 위한 청탁금지법 개정안 발의
이전게시물 한돈 소비자 가격 중 절반이 유통비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