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한돈뉴스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양돈 양적 성장 한계…질적 성장 모색

작성일 2025-02-25 작성자 관리자

100

돼지 사육규모 감소세 전환
사육 규제 및 고생산비 영향
한돈협, 종합대책 발표 준비
“질적 성장 방안 제시 기대”


올해 한돈산업이 양적 성장서 탈피, 질적 성장으로의 도약이 화두가 될 전망이다. 쌀을 제치고 농업 생산액 1위까지 차지한 양돈의 양적 성장이 한계를 맞음에 따라 질적 성장으로의 전환이 시대 과제가 되고 있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도 4분기 가축 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12월 기준 돼지 사육두수는 1천84만6천마리로 전분기(1천118만2천마리)보다 3%, 전년 동기(1천108만9천마리) 대비 2.2% 각각 감소했다. 지난 17년 돼지 이력제 기반으로 돼지 사육두수 조사를 변경한 이후 가장 적은 두수인 것이다. 즉 그동안 양돈 사육 규모는 급속한 양적 성장을 기록했으나, 지난해부터 하락세로 반전, 사실상 양적 성장이 한계를 맞았다.

특히 2011년 구제역 파동 이후 축산업 허가제 시행 및 전국 지자체 가축사육거리제한 등 각종 사육 규제에다 가축질병‧사육규제‧고생산비 여파가 발목을 잡으면서 향후에도 사실상 규모가 확대되기 어려운 형국이 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한돈업계는 사실상 양돈의 양적 성장이 종료됐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업계는 양적 성장에서 탈피, 질적 성장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시대적 요구를 받아들일 준비를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한돈협회는 현재 질적 성장의 밑거름을 준비하고 있다.

협회는 지난해 ‘한돈산업 중장기 발전 계획’을 마련하고,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를 기초로 한 ‘한돈산업발전종합대책’ 수립을 건의했다. 이에 협회는 내달 6일 ‘한돈산업발전종합대책’ 연구 용역을 발표할 계획이다. 발표될 주요 내용은 한돈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소비자 만족 △생산 체계 혁신 △ESG 경영 △경영 안정화 △동반 성장 △강한 생산자 등 6대 전략 목표를 통해 세부적인 대책이 연구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양돈 질적 성장 도약을 위해서는 국내 양돈업의 내적 요인 해결이 전제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업계는 냄새 등 환경과 인력 수급, 농장 방역이 최대 현안으로 이는 농장 스스로 풀 문제가 아니라고 주장하며, 정부의 지원을 적극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한 양돈 원로는 “정부는 양돈업의 경쟁력과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 양돈업에 대한 시각을 긍정적으로 바꿨으면 한다”며 “아울러 양돈장은 고품질 한돈 생산에 주력하고 자조금 등 생산자 단체는 소비홍보에 매진했으면 한다. 이럴 경우 양적으로 성장한 한국 양돈업은 질적 변화의 디딤돌을 통해 더욱 성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출처 : 양돈타임스(http://www.pigtimes.co.kr)
http://www.pig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0589

목록
다음게시물 한돈,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이전게시물 25년 2월 3주차 돼지 수급 동향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