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한돈뉴스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정부·정치권, 산불 피해 복구 지원 및 대형산불 대응 시스템 구축해야”

작성일 2025-04-04 작성자 관리자

100

# 3월 대형산불로 축사 71동, 돼지 2만4천두 등 피해 막심

# 생업 복귀 위한 지원대책·대형산불 대응 시스템 마련 촉구


역대 유례없는 대형산불이 지난 3월 21일부터 30일까지 10일간 이어지며 영남지방의 11개 농촌지역을 초토화시켰다. 이에 봄철 영농 준비와 축산농장 운영에 직격탄을 맞은 피해 농업인들에 대해 조속한 영농 재개를 위한 범정부 차원의 지원대책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다.

한국농축산연합회(회장 이승호)는 1일 성명서를 발표하고 정부가 3월 31일 발표한 ‘산불 피해 농업인에 대한 긴급 지원대책’을 환영하며, 추가 지원방안을 적극 강구할 것을 촉구했다.

연합회는 “산불로 인한 희생자들의 명복을 빌며, 거대한 화마와 목숨을 건 사투를 벌인 진화 대원들 및 헬기조종사들의 노고에 깊은 경의를 표한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러면서 정부와 정치권이 초당적 협력을 통해 △산불 피해 주민·농업인 복구 지원대책 마련 △선진국형 대형산불 대응 시스템 마련에 총력을 기울여 줄 것을 강력히 요구했다.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에 따르면, 이번 대형산불로 인해 경북지역에서만 △농작물 1,555ha △시설하우스 290동 △농기계 2,639대 △축사 71동 △돼지 2만4,000두 △닭 5만2,000수 등 농업분야에서 막대한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와 관련 정부는 4월 초 지자체 피해조사와 중앙합동조사를 거쳐 구체적인 피해규모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연합회는 “향후 피해규모 결정 시에 피해 농업인들의 재기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추가 지원방안이 필요하다”며 “정부와 정치권은 이번 사태를 반면교사로 삼아 봄철 산불이 대형 화마로 돌변하여 선량한 국민들의 삶을 피폐시키지 않도록 적극 조치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러면서 △산불 지휘권 및 예산 관리체계 개편 △산불 감시 및 진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초동대응 인력의 전문화 △산촌지역 고령 노인에 대한 비상경보 및 대피체계 마련 △인공강우 등 산불예방 대책을 비롯한 선진국형 대형 산불 대응 시스템을 완전하게 구축할 것을 정부와 정치권에 강력히 촉구했다.



출처 : 한돈뉴스(http://www.pignpork.com)
“정부·정치권, 산불 피해 복구 지원 및 대형산불 대응 시스템 구축해야” < 한돈뉴스 < 톡톡한돈뉴스 < 기사본문 - 한돈뉴스

목록
다음게시물 트럼프發 관세 ‘폭탄’ 현실화…“한국에 26% 상호관세 부과”
이전게시물 세계 1위 덴마크 양돈, 신(新)규제 도입도 '생산자' 중심으로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