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한돈뉴스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새 정부 양돈경영안정제도 도입해야”

작성일 2025-05-14 작성자 관리자

100

한돈협, 농가 대상 설문조사 실시
농가 40%, 양돈경영제도 도입 시급
생산체계 혁신 시설 현대화 지원도
한돈종합발전대책 협의체 발족 주목



양돈농가들은 지속 가능한 한돈업을 위해 ‘경영 안정화’ 제도가 가장 시급하다는 의견이다. 또한 생산성 향상을 위해 돈사 시설 현대화 사업 확대 등 생산 체계 혁신도 중요하다고 피력했다.

한돈협회‧자조금관리위원회(회장 손세희)의 의뢰로 김민경 건국대학교 교수는 최근 ‘한돈산업 종합발전대책’ 연구 용역을 수행했다. 연구 결과 한돈 중장기 발전을 위해서는 △소비자 만족 △생산 체계 혁신 △ESG 경영 △양돈농가 경영 안정화 △동반 성장 △강한 생산자 등 6대 전략 목표가 제시됐다.

이에 협회는 최근 한돈앱을 통해 전국 양돈농가를 대상으로 6대 전략 목표 중 정부 정책에 시급히 반영해야 할 항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에 234농가가 참여한 가운데, 이들 농가중 40%가 경영안정보험제도 및 사료수급안정 등 양돈경영안정제도가 새 정부 정책에 우선 반영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뒤를 이어 △생산체계 혁신(스마트축사‧시설현대화)=20.3% △ESG 경영(냄새 저감‧자원 순환)=14.0% △강한 생산자단체=14.0% △지역사회 동반성장=7.6% △소비자만족(품질인증제)=3.8% 순으로 나타났다. 즉 농가들은 경영 안정화 제도 도입과 생산체계 혁신 정책이 중장기 한돈산업 발전에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지적했다.

이 같이 농업 생산액 1위로 부상한 한돈의 경우 경영 안정제도가 전무한 가운데, 정부는 물가 안정을 이유로 돼지고기 부족분을 할당관세를 통해 채우면서, 한돈 생산 안정 기반을 되레 해치고 있다. 특히 지난 정부는 10년 만에 22~23년 돼지고기 할당관세를 추진한 이후, 올해도 원료육에 한해 1만톤을 배정했다. 농가들의 경영 안정 보다는 소비자 물가 관리, 수입육 업체를 위해 할당관세를 추진한 것이다. 이에 농가들은 정부의 잦은 시장 개입이 한돈 기반을 위축할 수 있다고 판단하며, 수입 안정 보험 제도 및 사료 수급 안정 제도 등 경영 안정 제도를 새 정부에 요구하고 있다.

한편 한돈협회는 13일 한돈산업종합발전대책 수립 협의체를 발족하고, 6개 전략 목표 달성을 위해 본격 착수했다. 이번 협의체는 농림축산식품부와 한돈협회‧자조금관리위원회가 공동 운영을 추진하고, 소비자 학계, 전문가 등 각계 주요 주체가 참여하는 민관학 협의체로 구성됐다. 이에 민관학 전문가들은 △소비자 만족 △생산체계 혁신 △ESG 경영 △경영 안정화 △동반 성장 등 5개 분과 위원회를 구성하고 대책 마련 시까지 지속 운영키로 했다.




출처 : 양돈타임스(http://www.pigtimes.co.kr)
“새 정부 양돈경영안정제도 도입해야” - 양돈타임스

목록
다음게시물 ‘단백질 챔피언’…가려졌던 한돈의 가치
이전게시물 성적 우수농가 모돈갱신율 50%↑… "이상적인 산차 구성 중요해"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