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한돈뉴스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스마트축산에서 답을 찾다] “기후변화에 흔들리는 축산…해법은 기술”

작성일 2025-09-01 작성자 관리자

100

[스마트축산에서 답을 찾다] (8)·끝 안용덕 농식품부 축산정책관 
경영비 절감에 생산성 향상 
방역관리 강화 등 성과 뚜렷 
“민관 모두 관심두고 연구해야”
1756087104026_0a02ce9b-9816-1792-8198-dab41cf04263 복사02
안용덕 농림축산식품부 축산정책관이 국내 스마트축산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기후변화와 기상이변은 이제 일상이 됐습니다. 최근에도 불볕더위가 기승을 부리며 가축 폐사가 이어졌잖아요. 스마트축산이 왜 중요한지 여실히 보여준 올해 여름이 아닌가 싶네요.”
최근 ‘국내 스마트축산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주제로 본지와 인터뷰에 나선 안용덕 농림축산식품부 축산정책관은 “폭염·폭우·폭설·가축질병이 축산농가를 수시로 괴롭힐 정도로 기후환경이 열악해졌다”면서 “축사환경 제어의 주도권을 자연이 아닌 사람으로 전환하는 스마트축산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고 역설했다.
그는 스마트축산 실천농가를 중심으로 노동력·경영비 절감, 생산성 향상, 가축 방역관리 강화와 같은 성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평가했다. 양돈에서는 냄새 저감과 관련 민원 발생 감소, 가금류분야에선 사료비 감소와 방역 효율성 제고, 낙농 쪽에선 생산성 향상에 기여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스마트축산은 어디쯤 와 있을까. 그에 따르면 국내 스마트축산 기술력은 미국·유럽을 포함한 최고 기술국과 대비해 70% 수준이며, 기술 격차는 4년 정도로 추정된다. 다만 생육 빅데이터를 활용한 가축 헬스케어, 경영관리 플랫폼, 농장 맞춤형 솔루션은 선진국에 비견될 만하다고 평했다.
안 축산정책관은 각종 규제 탓에 스마트 장비를 도입하고 싶어도 여건이 안되는 현실에 공감했다. 지방자치단체가 환경을 보호하고 주민 삶의 질을 높인다는 이유로 가축 사육 제한구역을 지정하고, 신규 축사 설치를 불허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그는 “축사에서 스마트축산 장비를 도입하면 냄새를 줄일 수 있는 만큼 지역주민에게도 스마트축산이 이득이 된다는 점을 널리 알릴 필요가 있다”면서 “아울러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체계적인 관리와 지속적인 시설 투자를 할 수 있는 광역 축산지구가 전국에 더 많이 지정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스마트축산 저변 확대를 위해선 ‘줄탁동시’의 철학이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줄탁동시란 병아리와 어미 닭이 알의 안과 밖에서 동시에 부리를 모아 껍데기를 깬다는 뜻이다. 정부와 스마트축산 관련 기관·업체가 투자와 기술 지원 등 산업 기반을 닦는 동시에 농가도 스마트축산 기술에 관심을 두고 공부해야 한다는 점을 사자성어에 비유한 것이다.
“축산업에 종사하는 모든 농가는 일할 사람을 찾기 어렵고, 전기료·사료비가 급등한다는 점을 체감할 겁니다. 농가들이 이런 문제의 해답을 스마트축산에서 찾길 바랍니다. 정부도 축산분야 ICT(정보통신기술) 융복합 지원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갈 겁니다. 또 스마트축산 연구기관이나 기업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솔루션 개발, 시설 유지 보수에 나설 수 있도록 건전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겠습니다.” 

출처: 농민신문 https://www.nongmin.com/article/20250825500662

목록
다음게시물 액비 전산 입력 이원화, 농가 피해
이전게시물 정기국회 시작…농업 쟁점법안 향방은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