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돈협·종돈생산자협·GGP협의회, 종돈산업 발전 토론회 개최
양돈장 90%↑ 감염 추정… 양성 후보돈 분양, 자가백신 등 제안
종돈업계 '히팅소독·방역 인증제·가축전염병 손질' 등 개선 필요
농식품부 "현장 의견 수렴, 정책 반영 방안 검토할 것" 긍정 입장
양돈산업의 생존을 위협하는 PRRS 확산 피해가 갈수록 커지자 종돈업계에서도 확산 방지를 위한 고강도 대책 마련에 나섰다. 양돈농가들에게 생존의 문제까지 번지고 있는 PRRS 확산에 종돈업계는 거점소독시설 운영 손질, 히팅 소독시설 마련, 3종 가축전염병 제도 개선, 방역 인증제 도입 등의 실질적인 대안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이 같은 대안은 지난 3일 대전 유성구 소재 계룡스파텔에서 (사)대한한돈협회·한국종돈생산자협회·GGP협의회 주최, 축산신문 주관으로 '종돈장 PRRS 효과적인 대응방안'이라는 주제로 개최된 '종돈산업 발전 세미나'에서 제기됐다.
국내 양돈장 90% 이상 PRRS 추정 … '양성 후보돈·자가백신' 제안
이날 발표자로 나선 고상억 발라드동물병원장은 '종돈장 PRRS 방역관리 어떻게 해야 하나'라는 주제를 통해 종돈장 및 일반 양돈농가에서의 PRRS 대응 방안에 대해 소개했다.
고 원장은 국내 PRRS 질병 확산을 해결하지 못하는 특징 몇 가지 원인에 주목했다. 국내 90% 이상 대부분의 양돈농가가 PRRS 감염 농장으로 추정된다는 점, PRRS 피해 예방을 위해 생독백신을 많이 사용하는데 백신 바이러스가 순환하고 있다는 점, 제3종 법정 가축전염병으로 분류되어 농가들이 신고를 기피해 현황 파악이 안되고 있는 점 등을 꼽았다.
이에 후보돈을 받는 농가의 격리·순치 능력에 따라 PRRS 음성 후보돈과 양성 후보돈을 구분한 시장 형성을 새롭게 제안했고, 현행 불법으로 간주되는 PRRS 자가백신 허용, 농장 내 PRRS 관리 목표 설정 등 인식 전환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또 일반농가들의 PRRS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선 후보돈 격리사에서 중화항체가 형성될 수 있는 최소 4주 이상의 순치 기간을 준수할 것과 이미 양성농장에서는 내 농장의 PRRS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정기 모니터링 실시를 당부했다. 또 PRRS 재유입에 대한 방안이 마련되지 않는 농장에서는 청정화 작업을 실시하지 않을 것을 당부했다.
정부 현황 파악 '정기 모니터링' ... 민간주도 청정화 인증제 도입 시동
이어 김정주 농림축산식품부 구제역방역과장은 '주요 양돈 질병 방역정책'이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PED·PRRS, ASF, FMD 등 정부의 방역대책에 대해 설명했다.
김 과장은 PED·PRRS 등 소모성 질병 대책(안)으로 정확한 현황 파악을 위한 정기 모니터링을 실시하는 한편, 신고체계 활성화를 위한 제3종 법정 가축전염병 제도 완화, 민간 주도의 청정화 인증제, 종돈장 음성화 등의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과장은 "연말까지 정부의 질병 방역 정책에 대한 여러 관계 기관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정책을 수립하겠다"고 말했다.
종돈업계 '히팅소독·방역 인증제·가축전염병 손질' 등 개선 필요
이어진 지정 및 청중토론에서는 축산신문 이일호 부국장을 중심으로 김정주 농식품부 구제역방역과장, 김성훈 피그진코리아 박사, 고상억 발라드동물병원장, 이희득 GGP협의회장, 이준길 한국돼지유전자협회장, 최재혁 대한한돈협회 부장의 지정토론이 진행됐다. 주요 종돈업계 관계자들도 함께 자리하며 토론내용을 청취했다.
먼저 이희득 GGP협의회장은 종돈 수송차량의 거점소독시설 활용 대신 히팅 기능이 담긴 종돈장별 별도의 소독시설 확보를 위한 제도 개선을 건의했다. 이 회장은 "일명 바비큐 소독이라 불리는 히팅 소독법을 통해 70~80℃ 가량의 온도에서 30분간 충분히 차량 곳곳을 소독하면 효과가 좋다"며 "종돈장 외부 500m~1km 이내에 차량 히팅 소독시설을 마련할 수 있도록 농지·임야의 기준 개선 협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준길 한국돼지유전자협회장은 방역 인증제 도입을 새롭게 제안했다. 그는 "방역 인증제는 기존 8대 방역시설을 포함해 가전법에 의무사항, 기타 방법들을 포함해 농가마다 방역관리를 잘하고 있는 농가에 방역 우수관리 인증을 부여하고, 인증농가에 인센티브를 부여하면 자발적인 참여가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며 "정부에서도 방역을 단속의 대상으로 접근하지 말고, 민간 자율로 이끌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재혁 한돈협회 정책기획부장은 PRRS·PED 등 소모성 질병으로 입는 농가의 피해액은 연간 4,800억원에 달한다고 위험성을 지적하며, 제3종 법정 가축전염병 제외, 신고 유도 체계 마련, 종돈 이용차량 거점소독시설 이용 예외 기준 마련을 정부에 건의했다.
최 부장은 "협회에서 지속적으로 건의하여 비육돈 출하차량의 경우 거점소독시설을 거치지 않도록 조치되었지만, 종돈수송 차량의 경우 아직 문제가 남아 있다"며 "종돈장에서의 소독 관리 강화, 소독시설 개선 등의 다른 대안을 정부에 건의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제기된 모든 의견을 청취한 김정주 농식품부 구제역방역과장은 "종돈장 히팅 소독시설, 방역 인증제, 제3종 법정 가축전염병 기준 완화 등 제기된 의견들을 충분히 검토하여 정책에 담길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긍정적으로 답했다. 이 같은 현장의 목소리들이 정부 정책으로 이어질지 향후 귀추가 주목된다.
출처 : 한돈뉴스(http://www.pignpork.com)
http://www.pignpork.com/news/articleView.html?idxno=162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