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한돈뉴스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이러다 돼지 1천만두대 무너지나

작성일 2025-11-06 작성자 관리자

100

이러다 돼지 1천만두대 무너지나
연평균 사육두수 4년째 감소세
올 1천100만두 이하 기록할 듯
모돈은 2년 연속 100만두 미만
17년 이후 돼지‧모돈 수 다 최저

생산비 급등 22년부터 줄기 시작
고비용에 돈가 올라도 경영 불안
PED, PRRS 등 질병 피해도 가세
24년, 25년 여름 연속 최악 폭염
6~8월 폐사 66만→71만→73만두로

돈가 강세에도 두수 회복 걸림돌 多
안정적 한돈 공급 기반 유지 노력을




이렇게 가다가는 돼지 1천만두 시대도 과거가 될지 모르겠다. 돼지 두수가 4년 연속 감소하면서 2017년 이후 올해 처음 연평균 사육두수가 1천100만마리대에 못 미칠 것으로 보인다.

최근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9월 기준 돼지 사육두수는 1천103만7천마리로 6월 1천89만6천마리에 비해서는 1.3% 늘었지만 전년 동월 1천118만2천마리 대비 1.3% 감소했다. 이로써 올해 3월, 6월, 9월 평균 돼지 사육두수는 1천91만마리를 기록, 지난해 연평균 사육두수 1천102만마리 대비 1% 감소했다. 지난 21년 1천124만5천마리서 22년 1천119만6천마리로 줄기 시작해 23년, 24년에 이어 올해까지 4년 연속 돼지 두수가 줄고 있는 것이다.

특히 그동안 분기별 돼지 사육두수를 보면 9월이 가장 많고 12월 다시 두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왔던 만큼 올해 연평균 사육두수 역시 1천100만마리 이하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돼지 사육두수 통계 모집단을 이력제로 변경했던 17년 이후 가장 적은 두수다.

모돈 역시 계속 줄고 있다. 지난 9월 기준으로는 97만1천마리로 3개월 전보다 2.1%, 전년 동기대비 0.8% 각각 줄면서 지난 17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22년부터 4년째 계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돼짓값 강세가 뚜렷하지만 사육두수 통계 어디에서도 돼짓값 강세의 흔적은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모돈 두수 감소세를 볼 때 전체 돼지 사육두수는 더 줄 여지도 있다.

이처럼 돼지 두수가 계속 줄고 있는 원인 중 하나는 생산비 상승에 따른 경영 불안 때문이다. 돼지 두수 감소세가 시작된 22년부터 돼지 생산비가 급등(29만8천원/100㎏→34만6천원)하면서 돼짓값과 상관없이 농가의 수익은 감소했던 때문이다. 24년 생산비는 소폭 감소하는데 그쳐 두수 회복에는 전혀 힘을 쓰지 못할 정도였다.

그런데 여기에 폭염과 질병도 가세했다. 23년 말부터 24년 초까지 극성을 부렸던 PED 피해에 이어 독해진 PRRS 피해는 올해 양돈 현장을 강타, 돼지 출하두수 감소에도 영향을 미쳤다. 여기다 작년에 이어 올해도 여름철 평균 기온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폭염에 의한 폐사 피해까지 겹친 탓에 두수 감소세를 더 부추겼다. 결국 폐사 피해가 늘면서 돼지 두수가 감소하는데 한몫한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실제 여름철 돼지 폐사 피해를 짐작할 수 있는 6~8월 폐사 두수 통계를 보면 지난해는 70만6천마리로 전년 동기 66만마리 대비 7% 증가한데 이어 올해는 72만9천마리로 작년보다 3.3% 더 늘어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전체 돼지 사육두수는 줄었지만 폐사 두수는 더 많았던 셈이니 돼지 두수가 늘기는커녕 감소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인 것이다.

이에 돼지 출하도 올해 내내 감소세를 보이며 두수 감소가 한돈 생산량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돼짓값은 강세를 형성하고 있지만 문제는 돼지고기 소비량은 유지되고 있는 가운데 한돈 생산이 지금처럼 계속 감소하면 결국 수입산이나 다른 육류로 소비가 전환될 위험이 커진다는 점이다. 따라서 질병, 폐사 피해 최소화를 비롯해 안정적 한돈 공급을 위한 노력이 더욱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출처 : 양돈타임스(http://www.pigtimes.co.kr)
http://www.pig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898

목록
다음게시물 <지상중계>국내 실정에 적합한 돼지분뇨 저탄소 방안 국회토론회 1
이전게시물 25년 10월 5주차 돼지 수급 동향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