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한돈뉴스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지상중계>국내 실정에 적합한 돼지분뇨 저탄소 방안 국회토론회 2

작성일 2025-11-07 작성자 관리자

100


주제 발표. 3-덴마크 저탄소 가축분뇨 처리기술 / Michael Jǿrgen Hansen 연구원(덴마크 오르후스국립대)
덴마크, 2030년부터 탄소세 부과 예정 ... 세액공제 가능한 다양한 저감기술 개발


  덴마크 양돈농가의 최신 사양기술과 가축분뇨 관리 부문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SEGES Innovation에서 기술 컨설팅을 담당했으며, 현재 축사 및 분뇨 저장조의 온실가스 및 악취저감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덴마크에서는 가축분뇨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 특히 메탄과 아산화질소 배출량 감축에 중점을 두고 있다.

‘탄소세' 가 부과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탄소세 도입 원년에는 양돈장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대해 톤당 300크로네(DKK), 원화로 약 6만5천원이 부과되며, 오는 2035년에는 톤당 750크로네(16만1천400원)까지 늘어날 예정이지만 배출량을 줄일 경
우 60%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덴마크 농장주 입장에서는 어떻게 하면 탄소세를 줄이고, 실제 총 비용을 40%까지 절감해 임계적인 부분을 극복하는 게 관건이다.

 
결국 세금 보다 낮은 비용을 투입해 탄소를 저감하는 전략적 선택을 해야 한다는 의미다.
그간 연구를 통해 슬러리 비우기 횟수 늘리기, 슬러리 냉각 및 산성화, 슬러리 첨가제 및 깔대기 활용 등의 기술을 활용할 경우 40% 이상 배출량 감소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덴마크에서 2023년 5월1일부터 비육돈 사육장 및 신규 돼지 사육장에서 주 1회 이상 비우기를 통해 슬러리 가축분뇨의 높이를 10cm 이하로 유지토록 의무화한 것도 그 일환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슬러리 냉각 및 내부 산성화 기술은 이미 현장에서도 사용 중이다. 덴마크의 암모니아 관련 법률은 이러한 기술이 활용되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여기에 슬러리 저장 방법으로 혐기성 소화, 메탄 연소, 저용량 산성화, 교차층 박테리아를 통한 메탄 산화 등의 조합을 통해 배출량을 최대 60-70%까지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에는 파이프 시스템, 슬러리 채널 세척 및 슬러리 첨가제 사용과 같은 새로운 메탄 배출량 감축 기술에 대한 시도도 이뤄지고 있다.

바이오 가스 생산의 경우 소화액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예상보다 높을 수 있고, 바이오가스 병합소화 원물의 배출량 자체가 증가 될 가능성도 존재하는 만큼 혐기성 소화 과정의 영향 평가를 위한 배출량 측정이 필수다.
이에 따라 덴마크 양돈농가들이 ‘탄소세'를 공제받을 수 있으면서도 경제성까지 감안한 기술의 조합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

덴마크에서는 지금도 새로운 기술들이 꾸준히 개발되고 있으며 현장에도 많이 도입될 예정이다. 이 가운데 일부 기술들은 실제 적용을 눈앞에 두고 있기도 하다.
다만 각 농장 조건별로 검증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함께 현장에서 농가들이 선택하는 기술의 경제적 타당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주제 발표 4. 국내 온실가스 관리체계 개선방안 / 정병일 팀장(한돈미래연구소) 덴마크의 서든 남덴마크대학교에서 친환경 에너지, 그중에서도 바이오가스 분야의 박사 과정을 마치고 교수로 재직하던 중 해외 우수 과학자 프로그램을 통해 귀국하게 됐다.
당시 맡은 첫 업무가 한국형 바이오가스 플랫폼 구축을 통해 한국에서도 바이오가스가 잘된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었고, 다음이 농업 분야 온실가스 인벤토리 플랫폼을 만드는 것이었다.

축산환경관리원의 용역을 받아 ‘국내 양돈농가 실정에 가장 적합한 인벤토리 작성을 위한 기본 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를 실시한 결과 돼지 분뇨의 메탄 배출과 아산화질소 직접 배출량은 장내 발효의 경우 10% 미만이고, 분뇨가 77%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장내 발효 보다는 분뇨 처리, 그 중에서도 메탄에서 온실가스를 줄여야 하지만 그 결과가 우리 정부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시 반영될 수 없는 괴리가 존재하는 게 현실이다.
앞선 발표에서 언급됐듯이 우리 정부가 채택하고 있는 ‘티어1’의 온실가스 산출 방식에서는 가축 사육두수가 유일한 변수다. 그럼에도 정부는 각종 저탄소 기술과 정책들을 쏟아내고 지원을 하고 있다.

우리 양돈농가들이 실질적으로 온실가스를 저감 하더라도 국가 산정 배출량에는 적용될 수 없다보니 결과적으로 심각한 정책의 혼선을 가져오고 있다.
거듭 강조하지만 우리나라는 유럽과 다르다.

‘티어 2’에 의해 국내 돼지 분뇨 처리 시스템을 분석하고 각 배출원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파악한 결과 1차 구간, 즉 축사와 가축분뇨 저장조에서 온실가스의 대부분이 배출되면서 장기 저장이 필요치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슬러리 저장조에서 온실가스를 줄이지 않는 한 액비화나 정화처리 등 2차 구간에서의 메탄감축은 무의미하다는 것이다. 반면 유럽은 1차 처리가 없기 때문에 연간 1~2회 토양에 사용할 때까지 장기적으로 저장을 할 수 밖에 없고 이 과정에서 바이오가스가 아주 효과적인 저탄소 기술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티어 1’ 로 온실가스배출량을 산정, 국내에서 적용되고 있는 저탄소 기술과 그 결실이 반영되지 않다보니 장기간 슬러리를 저장하는 유럽 보다 오히려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더 많이 나오는 위험성을 내포할 수밖에 없다.

저탄소 기술을 활용한 배출 감축량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분뇨 관리 방법에 따른 배출 계수가 계산에 포함될 수 있도록 산정이 이뤄져야 한다.
더구나 냄새 저감을 위해 국내 양돈현장에 보급돼 있는 액비순환시스템의 경우 하수처리 시설과 유사한 고도의 처리 시스템이다.

 
IPCC는 가이드라인을 통해 처리시설 대부분 호기성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하수처리시설의 매탄 배출 계수를 0.3으로 제시하고 있다. 특히 메탄 배출이 많은 슬러리 저장 없이 2차 처리된 활성 슬러지가 1차 처리에 다시 투입되는 액비순환시스템과 같은 ‘폭기식 호기성 분뇨 처리’ 의 경우 메탄 전환계수를 ‘0’, 즉 무시할 수준으로 간주하고 있다.

메탄의 90% 이상이 축사와 저장소에서 배출 되고 있는 국내 현실을 감안할 때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액비순환은 냄새 뿐만 아니라 더없이 효과적이며, 연구자 입장에서도 매우 독창적인 저탄소 기술이 아닐수 없다. 다만 냄새 저감 원리와는 달리 산화에 의한 호기성 분해 작용을 온실가스 저감효과로 연결하지 못해왔을 뿐이다.

앞서 밝혔듯이 바이오가스 전문가로서 귀국 후 국내 바이오가스 확대를 위해 수년간 고군분투를 해 왔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이미 1차 구간에서 2차 처리까지 이뤄지고 있는 만큼 유렵과는 현실이 다르다는 점을 강조한다.





[축산신문]
https://www.chuksannews.co.kr/news/article.html?no=268671

목록
다음게시물
이전게시물 고환율에 안심했는데…돈육 수입 다시 늘어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