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정보/자료

배너광고

일반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농업전망 2016 보고서 돼지 전망 요약

작성일 2016-01-26 작성자 관리자

100










⌜농업전망 2016⌟ 보고서 돼지 전망 요약


1) 2015년 수급 및 시장 동향

◦ 2014년 후보돈 입식 증가로 2015년 사육 마릿수는 2014년 대비 2.7% 증가한 1,013만 마리였다. 사육 마릿수 증가로 도축 마릿수는 2014년 대비 1.2% 증가한 1,588만 마리였다. 국내 가격 상승으로 2015년 돼지고기 수입량은 2014년 대비 29.2% 증가한 35만 4천 톤이었다. 돼지 도매가격은 2014년 대비 2.9% 상승한 4,939원/kg(탕박)이었다.

2) 2016년 전망

◦ 2014년부터 이어진 후보돈 입식 증가로 2016년 사육 마릿수는 2015년보다 0.7% 증가한 1,020만 마리로 전망된다. 사육 마릿수 증가로 2016년 도축 마릿수는 2015년보다 2.0% 증가한 1,620만 마리로 예상되며, 생산량은 85만 4천 톤으로 전망된다. 국내 돼지고기 생산량 증가와 지육가격 하락으로 2016년 돼지고기 수입량은 2015년보다 27.6% 감소한 26만 톤으로 전망된다. 도축 마릿수 증가로 2016년 돼지 지육가격은 년보다 11.6% 하락한 4,364원/kg 으로 전망된다.

3) 중장기 수급 전망

◦ 돼지 사육 마릿수는 2017년 고점을 기록한 뒤 도매가격 하락으로 2018∼19년 감소세를 보이고 이후 모돈 생산성 향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육 마릿수 증가로 도축 마릿수도 2017년 고점을 기록한 뒤, 2018∼19년 감소 후 2020년부터 다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돼지고기 수입량은 2017년까지는 국내 생산량 증가와 도매가격 하락으로 일시적으로 감소하나, 이후 육류 소비 증가와 FTA 타결에 따른 관세 인하로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자세한 자료는 첨부한 2016 농업전망 PDF, HWP 파일 등 을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농업전망 PDF 자세히보기
농업전망 2016 주제별 요약 Hwp 자세히보기
농업전망 2016 보도자료 Hwp 자세히보기




목록
다음게시물 2015년 축산물생산비조사
이전게시물 「무허가 축사 개선 세부실시요령」 지자체 시달 및 농가 교육 실시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