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정부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농식품부] 2023년 국내 인구이동 감소 등으로 귀농·귀촌 감소

작성일 2024-06-27 작성자 관리자
첨부파일 다운로드 (농업정책관-청년농육성정책팀) 2023년 국내 인구이동 감소 등으로 귀농·귀촌 감소 보도자료(6.25. 12시) (1).hwpx
첨부파일 다운로드 (농업정책관-청년농육성정책팀) 2023년 국내 인구이동 감소 등으로 귀농·귀촌 감소 보도자료(6.25. 12시).hwp
첨부파일 다운로드 (농업정책관-청년농육성정책팀) 2023년 국내 인구이동 감소 등으로 귀농·귀촌 감소 보도자료(6.25. 12시).hwpx
첨부파일 다운로드 (별첨) 2023년 귀농어귀촌인통계.hwp
첨부파일 다운로드 (별첨) 2023년 귀농어귀촌인통계.hwpx
첨부파일 다운로드 (별첨) 2023년 귀농어귀촌인통계.pdf

100


25일 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통계청이 공동으로 발표한 ‘2023년 귀농어·귀촌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귀촌은 316,748가구, 413,773명으로 전년보다 각각 4.4%, 5.5%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귀농 가구는 10,307가구, 귀촌은 306,441가구로 전년보다 각각 17.0%, 3.9% 감소했다.

  지난해 국내 인구이동자 수가 2022년(전년비 △14.7%)에 이어 다시 감소(△0.4%)하면서 귀농·귀촌 인구도 감소했다. 도시지역 실업자 수 감소, 주소이전 없이 참여할 수 있는 농촌 체험(농촌살기·농막) 수요 증가 등이 귀농·귀촌 인구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 ‘23년 국내 인구이동자 수는 612.9만명으로 ’74년(529.8만명) 이후 49년 만의 최저치
  ** 실업자 수(‘23년-’22년 대비) : (도시) △44천명(△6.0%) / (농촌) △2천명(△2.0%)

  귀농의 경우 흐름을 주도하는 60대 이상 연령층의 견고한 흐름세가 약화(5,767가구→4,718, 비중 46.5%→45.8)하면서 전체 귀농 규모 감소에 영향을 주었다. 지난해 고용동향을 살펴보면, 60대 이상 연령층은 고용률이 증가하고 농업 외 분야에서 취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귀농 가구수 증감률 : (‘22-’21대비) 전체 △13.5% / 60대 이상 △7.9 → (‘23-’22) △17.0 / △18.2
  ** 고용률 : (’22) 전체 62.1% / 60대 이상 44.5% → (’23) 62.6(0.5%p↑) / 45.5(1.0%p↑)
60대 이상 취업분야 : (‘22) 농림어업 18.5% / 제조업 9.4 / 사회복지 13.2 → (’23) 17.6/9.6/13.7


  30대 이하는 타 연령층에 비해 소폭 감소(1,171가구→1,112, △59)하고 연령 비중(9.4%→10.8)이 증가했는데, 이는 정부의 청년농에 대한 지원 정책의 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윤원습 농림축산식품부 농업정책관은 “인구감소와 도시 고령 취업자 증가는 귀농·귀촌 감소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2차 베이비부머(‘68~‘74년생) 은퇴, 농촌지향 수요 지속 등으로 귀농·귀촌 흐름은 이어질 것으로 본다.”라고 말했다.
별첨 2023년 귀농어·귀촌인 통계


<축산 귀농가구 현황>
 
출처: 별첨 2023년 귀농어·귀촌인 통계 10P
 
귀농가구 중 가축을 사육하는 가구는 121가구로 나타났으며, 주요 사육가축은 한우(33.9%)와 꿀벌(33.9%)이 가장 많았고 곤충류(9.1%), 염소(7.4%) 순임
 
가축별
 
ㅇ 축산 귀농가구를 가축별로 살펴보면, 한우, 꿀벌 사육 귀농가구가 각각 33.9%로 가장 많고, 곤충류 9.1%, 염소 7.4% 등의 순임
 
- 전년대비 사육가구 비중은 곤충류(4.2%p), 돼지(2.2%p), 염소(1.6%p) 증가한 반면, 한우(8.3%p), (1.8%p) 감소

목록
다음게시물 [농식품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평시 방역체계로 전환
이전게시물 [농식품부] 자유무역협정(FTA) 피해보전직접지불금 2024년 지원대상은 한우·육우·한우송아지·녹두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