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정부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농식품부]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 세계식량가격지수 21.4월 전월대비 1.7% 상승

작성일 2021-05-10 작성자 관리자
첨부파일 다운로드 FAO 4월 식량가격지수, 관련 보도자료(5.10. 조간).hwp

100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 세계식량가격지수 전월대비 1.7% 상승
 
<< 주 요 내 용 >>
20214FAO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1.7% 상승한 120.9포인트
모든 품목지수가 올랐으나 설탕 지수가 가장 많이 상승
 
<< 세 부 내 용 >>
 
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14월 세계식량가격지수 (118.9포인트) 대비 1.7% 상승 120.9포인트를 기록하였.
 
가격이 가장 크게 상승하였고 곡물 등 다른 품목지수도 상승하였으나, 전체 상승폭은 전월보다 다소 둔화되었다.
* 식량가격지수: (`21.1) 113.3 (2) 116.4 (3) 118.9 (4) 120.9
* 전월대비 상승률: (`21.12) 2.7%, (23) 2.1%, (34) 1.7%
 
1) FAO 식량가격지수 : `90년 이후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가격동향(95)을 모니터링하여, 5개 품목군(곡물, 유지류, 육류, 유제품, 설탕)별로 매월 작성발표(2014-2016년 평균=100)
 
2) 3월 육류(98.9100.1), 유제품(117.4117.5) 가격이 보정되어 3월 식량가격지수 조정(118.5118.9)
 
 
(육류) 20213(100.1포인트)보다 1.7% 상승한 101.8포인트 기록(전년동월 대비 5.1% 상승)
 
쇠고기·양고기는 오세아니아 지역에서 수급조절을 위해 사육을 늘리고 가공을 줄이면서 공급량이 감소하였으나, 동아시아 지역의 수요가 많아 가격이 상승하였다.
 
돼지고기는 전반적인 EU산 선적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동아시아의 수입량이 높게 유지되면서 가격이 상승하였다.
 
가금육 전반적으로 안정된 세계 시장 동향을 반영하여 가격에 큰 변동이 없었다.
 
(곡물) 20213(123.6포인트)보다 1.2% 상승한 125.1포인트 기록(전년동월 대비 26% 상승)
 
옥수수 미국의 파종 면적 추정치가 예상보다 낮고 아르헨티나·브라질·미국 등의 작황 부진이 우려되는 가운데, 지속적인 수요로 인해 가격이 상승하였다.
 
은 미국과 유럽 국가들의 작황 부진에 대한 우려와 옥수수 가격 상승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세계 생산 전망이 양호할 것으로 예상되어 가격이 안정세를 보였다.
 
은 컨테이너 수급 애로 등 물류 제약 및 운송비용 상승에 따라 수출 수요가 감소하면서 가격이 하락하였다.
 
(설탕) 20213(96.2포인트)보다 3.9% 상승한 100.0포인트 기록(전년동월 대비 58.2% 상승)
 
설탕은 브라질의 사탕수수 수확 지연과 프랑스의 냉해로 공급 부족이 우려되는 가운데, 최대 수출국인 브라질의 헤알화가 미국 달러 대비 강세를 보이면서 가격이 상승하였다.
 
(유지류) 20213(159.2포인트)보다 1.8% 상승한 162.0포인트 기록(전년동월 대비 99.5% 상승)
 
팜유는 주요 수출국의 생산량 증가가 예상보다 더디게 나타나 가격이 상승하였다.
 
대두유 유채씨유는 바이오디젤 부문 등 국제 수요가 많고 공급은 부족하여 가격이 상승하였다.
 
(유제품) 20213(117.5포인트)에서 1.2% 상승한 118.9포인트 기록(전년동월 대비 24.1% 상승)
 
버터는 유럽 내 수요 부진에도 불구하고 아시아의 수요가 높아 가격이 상승하였다.
 
치즈는 유럽의 생산량이 예상보다 저조하고 계절상 오세아니아의 공급량이 감소한 가운데 아시아의 수요가 높아 가격이 상승하였다.
 
탈지분유는 유럽과 오세아니아의 공급이 적어 선적이 지연될 것이라는 우려로 인해 동아시아에서 수입 수요가 높게 나타남에 따라 가격이 상승하였다.
 
전지분는 최근 교역량이 많고 수입 수요가 낮아 가격이 소폭 하락하였다.
 
FAO2020/21년도 세계 곡물수급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전망하였다.
 
2020/21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2,767.0백만톤으로 2019/20년도 대비 2.1%(57.1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생산량 전망(전년대비): 513.2만톤(2.0%) /잡곡 1,479.1(2.3%) /774.6(1.8%)
 
2020/21년도 세계 곡물 소비량2,782.7백만톤으로 2019/20년도 대비 2.7%(72.5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소비량 전망(전년대비): 513.7백만톤(1.8%) /잡곡 1,505.7(3.4%) /763.3(1.7%)
 
2020/21년도 세계 곡물 기말 재고량805.0백만톤으로 2019/20년도 대비 2.3%(19.0백만톤)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재고량 전망(전년대비): 183.1백만톤(0.2%) /잡곡 337.0(7.4%) /284.9(2.8%)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국제곡물 등 세계 식량 가격에 중요한 변수인 중국 곡물 수급 및 미국, 남미 등 주산지 작황 상황 등에 대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고 하면서,
 
국제곡물 위기 대응을 위해 관계부처기관, 업계간 소통협력을 지속 강화하고, 향후 국제곡물 가격 추가 상승 등에 대응하여 추가 대책에 대해서도 검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본 자료는 보도편의를 위해 FAO의 발표자료를 요약·정리한 내용이므로 상세 내용은 FAO 홈페이지(www.fao.org/worldfoodsituation/foodpricesindex/en) 참조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2021. 5. 10.]

목록
다음게시물 [농식품부] ‘수의사법 일부개정법률안’ 국무회의 통과
이전게시물 [농식품부] 2021년 친환경 인증 농업인 등 의무교육 추진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