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정부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농식품부] 농축산물 수급 대책반 운영 강화, 물가 안정 앞당긴다.

작성일 2021-05-20 작성자 관리자

100

농식품부, 농축산물 수급 대책반 운영 강화, 물가 안정 앞당긴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이하 농식품부’) 김인중 식품산업정책실장(이하 식품실장’) 518() 농업관측본부 오송사무실에서 농축산물 수급 대책반 회의를 개최하였다.
 
이날 회의에는 농협경제지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본부 등 수급관리 유관기관과
 
- 한국식품산업협회, 대두가공협회, 한국사료협회, 한국마늘가공협회, 신미네유통, 대한양계협회, 이마트, 롯데마트, 대아청과, 서울청과 등 식품유통원자재원예 분야 전문가가 참여여 농식품분야의 반적인 수급 상황을 공유하고 수급 조기 안정화 방안을 논의하였다.
 
< 농축산물 수급 대책반 회의 개요>
일시: ’21.5.18.() 14:00~15:30
장소: 농업관측본부 오송사무소 회의실
참석: 림축산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 농협경제지주(원예부장, 양곡부장),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업관측본부, 한국식품산업협회,대두가공협회, 한국사료협회, 한국마늘가공협회, 신미네유통, 대한양계협회, 이마트, 롯데마트, 대아청과, 서울청과 등
 
금번에 개최된 식품실장 주재의 농축산물 수급 대책반 회의는지난 3월부터 운영중인 관계부처 합동점검반(반장 : 기재부 민생경제정책관) 활동과 병행하여 농식품부가 자체적으로 운영중인 수급 대책반의 위상을 격상(국장실장)하고,
 
그간 높은 가격을 보였던 계란 등 축산물과 양파파 등 원예작물, 최근의 원자가격상승에 른 식품외식물가 상승 우려 등에 대응하여
 
- 서민생활과 밀접한 품목을 중심으로 가격을 조기에 안정시켜 물가 불안심리와 가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개최되었다.
 
이날 회의에서 김인중 식품실장은 가정소비 등 수요가 지속되고 있는 소고기돼지고기, 6월경 산란계 보급이 안정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계란 등 일부 품목은 당분간 평년보다 다소 높은 수준에서 가격이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농산물 가격 상승으로 소비자들의 체감 물가 부담이 큰 만큼 계란채소 등 서민생활 밀접 품목을 중심으로 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비축 물량의 확대방출을 추진할 것이라며
 
- 특히, 국민 체감도가 높은 계란의 경우 가격안정세가 조기에 안착될 수 있도록 5월 추가 수입* 등 필요한 조치를 적기에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 긴급할당관세 적용(5만톤, 0%, 1.28~6.30) 이후 5월 현재까지 신선란 총 10,531만개 수입, 4월중 수입물량 확대(1,500 2,500만개+α)에 이어 5월중 4,000만개 +α 추가 수입
 
또한 글로벌 원자재 가격 인상이 식품외식 등 물가 상승 압력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원자재 수급 동향을 면밀히 살피고, 업계와 함께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축산물 수급 대책반 회의는 농축산물 물가가 평년 수준으로 안정화 궤도에 오를 때까지 격주 단위로 운영하되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2021. 5. 19.]

목록
다음게시물 [농식품부] 비대면(배달) 외식 할인 개시(5월 24일 10시부터)
이전게시물 [농식품부] 전국 30개 지역 축산악취개선 본격 추진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