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정부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농식품부] 장마·태풍 등 여름재해 사전예방에 총력

작성일 2021-05-25 작성자 관리자
첨부파일 다운로드 농식품부, 여름철 재해대책 사전점검 관련 보도자료(5.25, 조간).hwp

100

농식품부, 장마·태풍 등 여름재해 사전예방에 총력
- 농업재해 대응기관 분야별 피해예방 대책 사전점검 실시 -
 
<< 주 요 내 용 >>
 
(회의개요) 5. 24() 농식품부는 여름철 재해에 대비하여 모든 재해 대응 조직이 모여 각 분야별 피해예방 대책사전점검
 
* 차관주재, 농식품부(식량국, 유통국, 축산국, 방역국), 농진청, 산림청, 농어촌공사, 농협 참석
 
(주요내용) 본격 장마시작 이전인 6.10일까지 재해대비 상황을 중점 점검·보완하고, 본격 여름재해대책상황대응 준비
 
(사전점검·보완) 수지·배수로 등 기반시설 점검, 응급복구 장비 점검, 비상 연락체계 정비 등 기관별 재해대책 점검 및 보완(4.24~6.9)
 
(재해대응) 여름철 재해대책 상황실 운영, 24시간 상황관리, 피해 발생시 신속한 응급복구 및 기술지원 등 본격 재해대응(6.10~10.15)
 
(농업인 당부사항) 인명피해 방지, 재산피해 최소화를 위해 농업용시설 주변 배수로 관리 등 보완 및 재난시 국민행동요령 준수해 줄것을 당부
 
<< 세 부 내 용 >>
 
농림축산식품부(김현수 장관, 이하 농식품부’)5.24() 장마, 태풍 등 여름철 재해를 대비하여 모든 농업재해 대응 부서와 관계기관이 모여 각 분야별 피해예방 대책을 사전점검하였다.
 
농식품부 박영범 차관 주재로 개최된 점검회의는 농식품부 소관국장과 농진청, 산림청, 농어촌공사, 농협중앙회의 실·국장급이 참석하였다.
최근 기후변화에 따라 여름철 폭염, 장마, 태풍등이 예년과 달리 장기화되거나 자주 발생하고 이로인한 피해도 심화되는 양상이다.
 
지난해 최장기간 장마(중부 54), 연이은 태풍(바비, 마이삭, 하이선)으로 많은 인명피해대규모 재산 피 발생한 바 있다.
* 인명피해 46, 재산피해 12,585억원
 
- 농업분야에서는 농작물 15.8ha, 농업시설 424ha, 가축 폐(12백두, 돼지 38백두, 가금류 532천수 등), 저수지 등 수리시설 1,153개소 피해가 발생하여 4,753억원의 복구비가 지원되었다.
 
기상청은 올 여름철(6~8) 강수량은 평년(623~791mm)과 비슷하겠으나, 대기 불안정으로 국지성 집중호우 가능성이 크고, 평균수온이 상승 추세(20년간 3.2상승)에 있어 태풍발생 가능성도 크다고 전망하였다.
 
농식품부는 장마가 시작하기 6.9일까지 모든 관계기관의 재해대비 태세(응급복구 장점검, 기반시설 점검, 비상연락망 정비 등 기관별 재해대책 등)점검하여 보완하고,
 
6.10일부터여름철 재해대책 상황실을 운영하여 24시간
상황관리, 기관간 공조체계 유지, 피해발생시 신속한 응급 기술지원 본격적인 재해 대응태세를 갖출 예정이다.

 
아울러, 장마·태풍 피해예방을 위해 농가의 방재시설공공 수리시설 보수·보강 재해예방 지원도 확대 중이라고 밝혔다.
 
< 사전점검 및 보완(~6.9) >
 
농식품부 및 농진청, 산림청, 농어촌공사, 농협 등 관계기관은 5.24일부터 6.9일까지는 사전예방 중점 관리 기간으로 정하고 각 소관 분야별로 사전점검을 철저히 진행하여 보완한다.
 
(수리시설) D등급* 저수지 점검, ’20년 피해시설 복구상황 점검, 수방자재 비치 및 긴급복구 동원업체 지정·관리 점검 등
 
* 안전등급(A~E) D등급(미흡)은 주요시설에 결함이 발생하여 긴급 보수·보강이 필
 
(주요작물) 하우스 주변 배수로 점검*, 과수원 지주대 결박 점검, 양수기, 광역방제기 등 작동 점검, 예비묘 사전확보 등 주요작물 수급안정 대응 준비 등
 
* 하우스와 하우스 사이 고랑 및 주변 배수로 흙, 잡품 등 이물질 정리 여부 등 점검
 
(축산·방역) 폭염대비 축사관리(냉방·환기 시설, 약품·보조사료) 점검, 가축매몰지 및 방역시설 점검, ASF 위험지역 농가 홍보·예찰 등
 
(산사태·태양광) 산사태 취약지역 및 ’20년 피해지역 복구 현장점검, 산지태양광 시설 합동점검(산림청·지자체)
 
< 여름철 재해대응 강화(6.10~10.15) >
 
6.10일부터 10.15일까지 여름철 재해대책 상황실을 중심으로 24시간 상황관, 중대본과의 공조유지, 피해발생시 신속복구 대응 등 본격적인 여름철 재해대응태세를 갖춘다.
 
(황관리) 재해대책 상황실* 운영(6.10~10.15)을 통해 기상·예방요령 전파, 피해상황 관리·보고, 상황회의 개최·전파 등 추진
 
* 재해대책 상황실 : 재해총괄(농정국), 소관분야 6개팀(식량, 수리, 원예, 축산, , 산사태·태양광) 구성, 위기경보 발령시 비상근무 24시간 체제 운영
 
(공조유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및 관계기관* 공조체계 유지
 
* 기상청, 농진청, 국방부, 농협중앙회, 농어촌공사, 지자체(농업기술원) 등과 협력
 
(피해대응) 관계부처·유관기관 협력, 응급복구 및 피해복구 추진
- (응급복구) 인력 지원(국방부, 농협) 및 기술지원(농진청, 지자체)
* 피해예방 요령 등 상황전파, 피해최소화 및 병해충 피해예방 기술지원단 운영
- (복구지원) 피해농가에 대한 재난지원금 및 경영자금 신속 지원
 
(농가홍보) 여름재해대책 보도자료 배포, 기상특보 발령시 자막뉴스 TV 송출, SMS 발송 등 피해우려 농가대상 예방요령 홍보
 
< 재해예방 지원확대 >
 
그간 농식품부는 방상팬, 방풍망 등 재해 예방시설 설치지원 강화하고 공공 수리시설 보수·보강 등 재해예방사업을 추진하여 온 바, 취약한 부분 중심으로 지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축산농가폭염피해 예방시설*(환기송풍팬, 냉수공급장치 ) 과수농가 재해 예방시설**(방상팬, 지주, 방풍망 등) 설치 지원
 
* 축사시설현대화 : `21893억원(융자 80%, 자부담 20), 축산업 등록·허가 농가 대상
** 과수고품질시설현대화 : `21299억원(국가20, 지자체30, 융자30, 자부담20)
 
저수지, ·배수장 등 수리시설 보수보강 재해예방사업* 확대
 
* 예산 : 171억원(‘20년 대비 1,090, 수리시설개보수 6,365, 배수개선 3,245 )
 
박영범 차관은 본격적인 장마가 오기전까지 재해 취약지역과 시설 등을 철저히 점검·보완할 수 있도록 각 기관별로 총력을 기울여 줄 것을 지시하는 한편,
 
농업인들께 인명과 재산피해가 없도록 시설 및 농작물 피해예방 요령과 여름철 재난대비 국민행동요령* 등을 사전에 숙지하고 준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기상특보 발효시 야외활동 자제 및 공사지역과 산사태 우려지역 등에 접근 금지 등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2021. 5. 25.]

목록
다음게시물 [농식품부] 2020년 농가소득 4,503만원 기록 (축산농가 소득 8,112만원)
이전게시물 [농식품부] 농식품 펀드‘21년 상반기 805억원 규모 신규 조성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