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정부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농식품부] 2020년 농가소득 4,503만원 기록 (축산농가 소득 8,112만원)

작성일 2021-05-27 작성자 관리자

100

2020년 농가소득 4,503만원으로 역대 최고 기록
- 문재인 정부 출범 후 농산물 수급안정과 공익직불제 도입 등 농가소득 안전망 확충으로‘16년 대비 21.1% 증가 -
 
<< 주 요 내 용 >>
 
20년 농가소득은 농업소득과 이전소득이 크게 증가하면서 4,503만원 기록(‘16년 대비 21.1%, ’19년 대비 9.3% 증가)
 
(농업소득) 선제적 수급 대책에 따른 쌀값 등 농산물 가격 안정, 재해보험금 등 경영안정 지원 강화로 농업총수입이 증가하여 ’16년 대비 17.4% 증가
 
* 수확기 쌀값(/20) : (‘16) 32,452 (’18) 48,392 (‘20) 54,121
 
(이전소득) 공익직불제 도입, 국민·농지연금 수급액 증가 등 공적보조 지원 확대로 ‘16년 대비 62.4% 증가
 
* 기본형 공익직불금 지급액(’20) : 22,769억원, 지급대상자당 평균 203만원
 
(농업외소득) 농가소득 다각화를 위한 농촌관광 등 농촌융복합산업 활성화 등으로 ‘16 대비 8.9% 증가
 
* 농촌융복합산업 인증경영체 수(개소) : (`16) 1,130 (’18) 1,524 (‘20) 1,909
 
<< 세 부 내 용 >>
 
5.26일 발표된 통계청 2020년 농가경제조사 결과에 따르면 20년 농가소득은 평균 4,503만원으로, ’163,720만원 대비 21.1%(783만원) 증가한 역대 최고 소득을 기록했다.
 
< 소득종류별 농가소득 추이 > (단위 : 천원,%)
 
  2016 2017 2018 2019 2020 증감률
('20/'16)
증감률
('20/'19)
        구성비   구성비
농 가 소 득 37,197 38,239 42,066 41,182 100.0 45,029 100.0 21.1 9.3
- 농 업 소 득 10,068 10,047 12,920 10,261 24.9 11,820 26.2 17.4 15.2
- 농업외소득 15,252 16,269 16,952 17,327 42.1 16,608 36.9 8.9 -4.1
- 이 전 소 득 8,783 8,902 9,891 11,230 27.3 14,263 31.7 62.4 27.0
- 비경상소득 3,095 3,022 2,302 2,364 5.7 2,337 5.2 -24.5 -1.1
 
[ 농업소득 ]
 
쌀 등 주요 농산물에 대한 선제적 수급안정 대책, 재해보험 등 농가 경영안정 지원에 힘입어 농업소득은 ’161,007만원에서 ‘201,182만원으로 17.4%(175만원) 증가하였다.
 
- () ’17년 선제적이고 과감한 수급대책을 추진하여 쌀값 회복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논 타작물 재배지원(‘18~’20) 등을 통해 공급 과잉을 완화하고 쌀값을 안정적으로 유지해왔다.
 
* 수확기 쌀값(/20) : (‘16) 32,452 (’18) 48,392 (‘20) 54,121
 
· 특히, ’20년은 장마·태풍 등으로 인한 생산량 감소에 대응하여 정부양곡 공급 등의 수급안정 대책을 조기에 수립하는 등 안정적 식량 공급을 추진하였다.
 
- (채소·과수) 마늘·양파 등 주요 품목 수급안정을 위해 농업관측의 정확도 제고 및 자조금 중심의 사전적 수급조절 강화, 채소가격안정제 확대 등을 추진하였고, 로컬푸드 활성화를 통한 중소농가의 판로 확충도 지속 추진해왔다.
 
* 채소가격안정제/농업관측 예산(억원) : (’16) 35/83 (’18) 168/85 (’20) 242/169
* 로컬푸드 직매장 수(개소)/매출액(억원) : (’16) 154/2,607(’18) 229/4,348 (’20) 554/7,143
 
· ’20년의 경우 재해 등으로 인한 생산량 감소로 주요 품목의 가격이 상승하여 채소(9.9%, 84만원 증가), 과수(16.8%, 68만원 증가)농작물수입이 전년 대비 크게 증가하였다.
 
* 주요 품목 가격(배추, 사과) : (‘19) 2,154/포기, 26,299/10㎏ → (‘20) 3,389, 41,176
 
- (축산) 우수종축 보급 확대 및 쇠고기 1등급 출현율 증가 등 축산물 생산성 향상, 과잉이 우려되었던 돼지에 대한 선제적 수급조절 등 축산농가 소득안정 대책을 추진하였다.
 
* 쇠고기(한우) 1+이상 등급 출현율(%) : (’16)40(’18)42.6(’20)48
 
- (재해지원) 봄철 냉해(‘18, ‘20), 긴 장마(‘20), 태풍(‘19, ‘20) 빈번한 재해에도 불구하고 농작물재해보험 확대 및 재해복구비 인상으로 농가 경영안정에 기여하였다.
 
* 재해복구비(억원) : (‘16) 631 (’18) 2,262 (‘20) 3,701
* 농작물재해보험금(억원) : (`16) 1,115(`18) 5,842(`20) 10,193
 
[ 이전소득 ]
 
공익직불제 도입농업인 국민연금 지원 등의 영향으로 이전소득은 ‘16878만원에서 ’201,426만원으로 62.4%(548만원) 큰 폭의 증가를 보였다.
 
- ‘20년 공익직불제 도입으로 개편 전인 ’19년 대비 기본형 공익직불금 총 지급액이 1조원 증가하였고, 평균 지급액(총지급액/총지급건수)203만원으로 개편 전(‘19, 109만원) 대비 86%(94만원) 증가하는 효과가 있었다.
 
· 특히, 0.5ha 이하 농가에 대해 면적에 관계없이 연 120만원을 지급하는 소농직불금을 신설하여 중소규모 농가의 소득 안정에 기여하였다.
 
* 기본형 공익직불금 총 지급액(’20) : 22,769억원(제도 개편 전 쌀고정·밭고정·조건불리직불금 지급액(’1912,356억원) 대비 1413억원 증가)
 
* 직불금 총액 중 0.5ha 이하 농업인(농가) 수령액 비중 : (‘19) 11% (’20) 22%
 
- 이 밖에도, 농업인 국민연금 지원 및 농지연금 가입 확대 등을 통해 농가에 대한 소득안전망을 지속적으로 확충해왔으며, ‘20에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긴급 재난지원금 지급의 효과도 반영되었다.
 
* 농업인 국민연금 수급인원(천명)/월평균급여액(천원) : (’16) 428/248 (’18) 449/272 (’20) 478/306
 
* 농지연금 가입건수(누적)/평균월지급액(천원) : (’16) 6,783/915(’18) 11,283/903(’20) 17,098/929
 
[ 농업외소득 ]
 
농가소득 다각화를 위한 농촌관광 등 지속적인 농촌융복합산업 활성화 추진 등으로 농업외소득’161,525만원에서 ‘20 1,661만원으로 8.9%(136만원) 증가하였다.
 
- 다만, ’20년은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으로 농촌관광 등이 크게 감소하면서 전년대비 4.1% 감소하였다.
 
* 농촌융복합산업 인증경영체 수(개소) : (`16) 1,130 (’18) 1,524 (‘20) 1,909
* 농촌 관광객 수(만명) : (’16) 1,001(`18) 1,237 (‘19) 1,307 (‘20) 656
 
경영주 연령별로 보면 ‘16년 대비 ‘20년 모든 연령대에서 농가소득이 증가하였으며, 가장 높은 소득을 보이는 50대의 농가소득이 ‘207천만원대에 진입하였다.
 
또한, 공적보조 증가의 영향을 크게 받는 70세 이상 농가의 소득이 ’162,448만원에서 ‘203,390만원으로 가장 큰 폭(38.5%, 942만원)으로 증가하였다.
 
< 경영주 연령별 농가소득 추이 > (단위: 천원, %)
 
  2016 2017 2018 2019 2020 증감률
('20/'16)
증감률
('20/'19)
평균 37,197 38,239 42,066 41,182 45,029 21.1 9.3
50세 미만 49,641 52,221 51,559 55,219 55,277 11.4 0.1
50 ~ 59 63,151 65,082 66,619 66,745 70,417 11.5 5.5
60 ~ 69 42,637 44,551 46,385 47,398 51,160 20.0 7.9
70세 이상 24,476 26,223 28,953 27,989 33,899 38.5 21.1
 
영농형태별 농가소득 또한 ’16년 대비 ‘20모든 품목에서 증가하였으며, 논벼(59.5%), 과수(17.7%), 채소(15.8), 축산(4.8%) 증가율을 보였다.
 
특히, 쌀값 안정, 공익직불제 도입 등의 영향으로 논벼농가의 소득이 ’162,212만원에서 ‘203,528만원으로 큰 폭(1,316만원)으로 증가하였다.
 
< 영농형태별 농가소득 추이 > (단위: 천원, %)
 
  2016 2017 2018 2019 2020 증감률
('20/'16)
증감률
('20/'19)
평균 37,197 38,239 42,066 41,182 45,029 21.1 9.3
논 벼 22,117 27,314 32,787 30,246 35,275 59.5 16.6
과 수 34,434 34,167 38,016 35,273 40,545 17.7 14.9
채 소 29,280 29,924 30,773 28,844 33,893 15.8 17.5
축 산 77,434 71,517 78,243 75,466 81,124 4.8 7.5
 
농가의 자산’16년 대비 ‘20년에 19.3%(9,131만원) 증가, 부채는 동 기간 중 40.6%(1,086만원) 증가하였으며, 자산대비 부채 비율이 5~6%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 농가 자산대비 부채 비율(%) : (’16) 5.6(`18) 6.7 (‘20) 6.6
 
< 농가 자산 및 부채 추이 > (단위: 천원, %)
 
  2016 2017 2018 2019 2020 증감률
('20/'16)
증감률
('20/'19)
        구성비   구성비
농가자산 474,309 505,881 495,687 529,455 100.0 565,622 100.0 19.3 6.8
- 고 정 자 산1) 368,226 386,714 425,721 451,987 85.4 484,985 85.7 31.7 7.3
- 유 동 자 산2) 106,084 119,166 69,966 77,469 14.6 80,638 14.3 -24.0 4.1
농가부채 26,730 26,375 33,269 35,718 100.0 37,589 100.0 40.6 5.2
- 농 업 용 11,924 10,618 13,687 14,506 40.6 14,510 38.6 21.7 0.0
- 가 계 용 7,756 8,588 9,980 11,138 31.2 12,183 32.4 57.1 9.4
- 겸업·기타용 7,050 7,170 9,602 10,074 28.2 10,897 29.0 54.6 8.2
1) 고정자산: 토지, 건물 및 구축물, 기계기구비품, 대동식물, 무형자산
2) 유동자산: 현금, 적금(정기) 등 금융자산, 재고자산(미처분농축산물, 미사용구입자재, 소동물 등)
 
소득종류별 농가소득 추이(16 ~ 20)
 
[ 농업소득 ] (단위: 천원, %)
 
  2016 2017 2018 2019 2020 증감률
('20/'16)
증감률
('20/'19)
        구성비   구성비
농 업 소 득 10,068 10,047 12,920 10,261 - 11,820 - 17.4 15.2
농 업 총 수 입 31,279 30,580 35,757 34,436 100.0 36,033 100.0 15.2 4.6
- 농 작 물 수 입 21,357 21,069 24,708 23,299 67.7 24,534 68.1 14.9 5.3
- 축 산 수 입 9,222 8,029 10,027 10,478 30.4 10,434 29.0 13.1 -0.4
- 농 업 잡 수 입 699 1,482 1,022 659 1.9 1,064 3.0 52.2 61.4
농 업 경 영 비 21,211 20,533 22,837 24,175 - 24,212 - 14.1 0.2
 
[ 농업 이외소득 ] (단위: 천원, %)
 
  2016 2017 2018 2019 2020 증감률
('20/'16)
증감률
('20/'19)
        구성비   구성비
농 업 외 소 득 15,252 16,269 16,952 17,327 100.0 16,608 100.0 8.9 -4.1
- 겸업소득 3,855 4,406 5,398 5,828 33.6 4,930 29.7 27.9 -15.4
- 사업외소득 11,397 11,863 11,554 11,499 66.4 11,679 70.3 2.5 1.6
이 전 소 득 8,783 8,902 9,891 11,230 100.0 14,263 100.0 62.4 27.0
- 공적보조금 8,138 8,237 9,262 10,569 94.1 13,554 95.0 66.6 28.2
- 사적보조금 645 665 629 661 5.9 709 5.0 9.9 7.3
비 경 상 소 득 3,095 3,022 2,302 2,364 - 2,337 - -24.5 -1.1
 
소득종류·경영주연령·영농형태별 농가소득 추이(‘16 ~‘20)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2021. 5. 26.]

목록
다음게시물 [ASF본부] 영월 ASF 확산 차단 위한 방역 강화 대책 추진 (21.5.27.기준)
이전게시물 [농식품부] 장마·태풍 등 여름재해 사전예방에 총력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