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정부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농식품부] 농축산물 수급대책 회의 개최(21.6.3)

작성일 2021-06-04 작성자 관리자
첨부파일 다운로드 농식품부, 농축산물 수급대책 회의 개최, 보도자료(6.3, 14시부터).hwp

100

농식품부, 농축산물 수급대책 회의 개최
- 농축산물 물가, 전년 동월비 여전히 높으나 3개월 연속 하락세-
- 계란 수입 확대(5천만개 +α), 가공용 쌀 추가 공급(2만톤) 등 농축산물 물가 조기 안정화 총력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이하 농식품부’)63() 14:00 농업관측본부 오송사무실에서 김인중 식품산업책실장(이하 식품실장’)주재로 농축산물 수급 대책반 회의를 개최하였다.
 
번 회의는 5월 소비자물가(통계청, 6.2)에서 농축산물 물가가 작년 8월 이후 2자리수 상승세를 이어감에 따라 빠른 안정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날 회의에서는 쌀, 계란 등 높은 가격을 지속중인 품목과 양파, 배추무 등 여름철 수급 불안 가능성이 큰 품목 중심으로 수급 안정화 방안을 논의했으며,
 
농협경제지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본부 등 수급관리 유관기관과 양계협회, 마늘양파 자조금관리위원회, 신선채소조합, 전국알피씨연합회, 신미네유통, 창녕 농협, 이마트롯데마트 등 관련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하였다.
 
< 농축산물 수급 대책반 회의 개요>
일시: ’21.6.3.() 14:00~15:30
장소: 농업관측본부 오송사무소 회의실
참석: 림축산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 농협경제지주(원예부장, 양곡부장),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수급관리처장), 농업관측본부장, 양계협회, 자조금관리위원장, 양파 자조금관리위원장, 신선채소조합장, 국알피씨연합회(전무), 신미네유통(전무), 창녕 농협(상무), 이마트, 롯데마트 등
 
62일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월비 2.6%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 전체 소비자물가 전년동월비 : 10.6%↑ → 21.1%↑→ 31.5%↑ → 42.3%↑ → 52.6%
 
농축산물 물가는 그간 급등했던 대파 등 노지채소류의 가격이 안정화되면서 전월과 비교시 3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나,

* 농축산물 물가 전월비 : 13.9% 25.2% 31.5% 40.5% 51.1%
 
작황부진, 금년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에 따른 쌀, 계란 등의 급량 부족과 코로나19 충격에 따른 소비 부진 등 전년 기저효과 등으로 다소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 농축산물 물가 전년동월비 : 111.3%↑ → 218.8%↑→ 315.9%↑ → 415.5%↑ → 514.2%
 
이날 회의에서 김인중 식품실장은 대파 가격의 안정화*에 이어 정부양곡 비축물량의 안정적 공급과 가공용 쌀 2만톤 추가 공급, 6월중 계란 수입 물량 추가 확대**, 계란 긴급할당관세 지원(0%) 한 연장(’21.6연말) 등의 대책을 통해 소비자의 장바구니 부담이 보다 빠르게 안정될 수 있도록 정책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대파 도매가 : 13,216/kg(평년비 93%) 24,745(174%), 34,666(228%), 44,117(254%) 5.3,749(174%) 5.2,249(59%) 5.1,446(6%)

** 수입 확대 실적 및 계획 : 44,000만개, 54,000만개, 65,000만개 +α (계획)
 
또한 올해는 예년에 비해 이른 장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므로, 수확기를 앞둔 마늘양파, 고랭지 배추무 등 주요 채소류의 수급 불안이 발생하지 않도록 수급 동향을 면밀히 살피고
 
태풍, 장마 등 여름철 기후 리스크에 따른 수급여건 변화로 가격 급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배추무 비축 등 선제적 대응책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 양파 10천톤 비축, 마늘 2.5천톤 비축, 여름철 기상변동(장마·폭염 등) 감안 봄배추 비축 및 배추 예비묘 130만주 사전 준비(5.20.~7.10.기간중 6차례 파종, 8.20까지 공급)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2021. 6. 3.]

목록
다음게시물 [농식품부] 폭염·태풍 등 여름철 농업재해대책 추진
이전게시물 [농식품부] 농업 분야 데이터 전문가, 농업의 미래 전망한다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