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정부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농식품부] 주요 농축산물 물가 동향(7월)

작성일 2021-08-04 작성자 관리자
첨부파일 다운로드 주요 농축산물 물가 동향, 보도자료(8.3, 배포 시).hwp

100

주요 농축산물 물가 동향
- 7월 농축산물 소비자물가, 3월 이후 5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상승 폭 완화, 전월 대비 내림세 지속 -
- 농식품부, 수급동향 점검회의 개최하여 수급대책 논의 -
 
통계청이 발표한 7월 농축산물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11.4%로 작년 8월부터 두 자릿수 상승 폭을 보이며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으나,
 
작년 최장 장마 등에 따른 작황 부진 여파와 연초 한파 등에 따른 출하량 감소로 급등했던 채소류 가격이 안정화됨에 따3월 이후 5개월 연속 전월 대비 하락하면서 전년 동월 대비 상승 폭이 둔화되고 있다.
 
* 농축산물 물가상승률(전년동월비, %) : (’20.8.) 11.4, (10) 14.6, (12) 10.6, (’21.1.) 11.3, (3) 15.9, (4) 15.5 ( 5) 14.2, (6) 12.2, (7) 11.4
 
* 농축산물 물가상승률(전월비, %) : (1) 3.9 (2) 5.2 (3) 1.5 (4) 0.5 (5) 1.1 (6) 2.3 (7) 0.1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 11.4%에 대한 부류별 기여도는 축산물과 과실류가 각각 4.6%p, 쌀 등 곡물류가 1.3%p, 기타농산물이 1.0%p 물가 상승에 기여한 반면, 채소류는 0.1%p로 물가 상승세 완화에 기여했다.
 
< 부류별 동향 >
 
(총괄) 최근 농축산물 가격은 이른 장마와 폭염, 태풍 등 기상 여건과 집밥 수요 등 다양한 요인으로 변동성이 큰 상황이다.
 
코로나 등 요인으로 가정소비가 증가한 돼지고기계란 등 축산물과 전년 작황 부진영향이 이어지고 있는 사과배 등 과일, 더위에 취약한 상추시금치 등 잎채소 중심으로 가격이 높은 편이나,
 
- 배추대파 등 노지채소와 오이애호박풋고추 등 과채류는 가격이 낮거나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조생종 수확시기가 도래한 사과, 배 등 과일은 작황이 양호하고, 생육기간이 짧은 잎채소 등은 수확이 지속해서 이루어 짐에 따라 현재의 가격 상황이 추석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축산) 7월 농축산물 물가 상승을 견인했던 축산물 가격 상승은 류인플루엔자 발생 여파에 따른 계란 생산량 감소와 코로나19 산에 따른 가정소비 증가 등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 7월 소비자 물가(전년동월비) : 계란 57.0%, 돼지고기 9.9%, 소고기 7.7%
 
돼지고기와 소고기 공급은 최근 5년간 최고 수준이며, 특히 소고기는 수입도 전평년 대비 크게 증가하였으나, 코로나 확산 등에 따른 가정 소비 등 수요 증가로 가격 강세를 보이고 있다.
 
* 1~7월 한우 도축(만마리) : (평년) 41.3, (`20) 43 (`21) 43.2 (평년비 4.6%, 전년비 0.5%)
 
* 1~7월 돼지 도축(만마리) : (평년) 938.9, (‘20) 1,063 (`21) 1,050 (평년비 11.8%, 전년비 1.2%
 
* 7월 소고기 수입(천톤) : (평년) 34.2 (‘20) 35.2 (’21) 38.4(평년비 12.3%, 전년비 9.1%)
 
7월 초 대한민국 동행세일로 인해 수요가 높게 형성되어 가격이 승하였으나, 7월 하순까지 도매가격 및 소비자가격은 하락 추세다.
 
* 소고기 도매가격(/kg) : (7월 상순) 21,815 (중순) 21,112 (하순) 20,676
 
* 등심 1등급 소비자가격(/100g) : (7월 상순) 10,305 (중순) 10,096(하순) 9,853
 
* 돼지고기 도매가격(/kg) : (7월 상순) 5,322 (중순) 5,214 (하순) 4,917
 
* 삼겹살 소비자가격(/100g) : (7월 상순) 2,533 (중순) 2,633 (하순) 2,627
 
육계의 경우, 도계마릿수는 평년과 전년 수준이며 수입량도 역대 최고 수준이나, 최근 여름철 보양식, 도쿄 올림픽 개최 등 수요 증가로 가격이 일시적으로 상승한 상황이다.
 
* 7월 닭고기 도계(만마리) : (평년) 10,683, (`20) 11,100 (`21) 10,467
 
* 7월 닭고기 수입량() : (평년) 10,062, (`20) 11,221 (`21) 12,508
 
- 폭염으로 190천마리(7.30일 기준)의 육계가 폐사하였으나, 전체사육마릿수의 0.2%에 그치기 때문에 현재까지 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다.
 
계란의 경우 7월 현재 일일 약 4,600만개의 계란이 시장에 급되고 있어 전년 공급량(4,600만개, 평년 약 4,300만개)에 비해 부족하지 않으나, 가정수요 증가로 인해 가격 강세가 지속 중이다.
 
- 산지가격*은 공급 증가로 서서히 하락하고 있으며, 하락한 산지가격이 소비자가격에 반영될 수 있도록 대형마트와 협의 등 대책을 추진 중이다.
 
* 산지가격(/30, 평년비) : 66,108(111%) 7.상순 6,084(98%) 7.중순 6,102(102%) 7.하순 6,033(105%), 8.2. 5,976(91%)
 
(채소) 7월 들어 발생한 폭염으로 고온에 취약한 시금치, 추 등 잎채소 가격이 상승했으나, 생육 기간이 짧아(30~40) 하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향후 폭염태풍 등 기상여건이 수급상황에 변수가 될 전망이다.
 
* 7월 소비자물가(전월비) : 시금치 32.8%, 상추 12.5%, 열무 20.4%
 
* 청상추 도매가격(/4kg, 평년비) : 623,549(106%) 7.하순 40,956(74%) 8.3. 33,739(13.0%)
시금치 도매가격(/4kg, 평년비) : 615,492(50%) 7.하순 39,872(72%) 8.3. 49,960(40.9%)

 
반면, 올해 초 한파 등으로 가격 급등했던 대파는 작형 전환 이후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큰 폭 하락했고, 재배면적 증가 및 작황 호조 등으로 생산량 증가한 배추와 무 등 노지채소도 가격이 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 7월 소비자물가(전년 동월비) : 대파 17.5%, 배추 24.3%, 14.1%, 당근 19.6%
 
(과일과채) 제철 과일(수박, 복숭아 등)이 출하되면서 수요가 감소한 참외와 주 출하지(화천, 양주 등) 작황이 양호한데다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에 따른 소비 위축 영향이 큰 애호박은 6월에 비해 물가 하락 폭이 크게 나타났다.
 
* 7월 소비자물가(전월비) : 참외 18.1%, 애호박 23.8%
 
작년 생산량 감소 여파가 이어지고 있는 사과, 여름 제철을 맞아 더운 날씨가 이어지면서 수요가 증가한 수박은 전년 동월 대비 가격 상승 폭이 크게 나타났다.
 
* 7월 소비자물가(전년 동월비) : 사과 60.7%, 52.9%, 수박 8.7%
 
- ’21년산 조생종 수확시기가 도래한 사과와 배는 재배면적이 가한데다 작황도 양호해 특이 기상이 없다면 수급 여건은 점 개선될 전망이다.
 
* 사과 생산량(전망) : 475천톤(전년비 12.5%) / 배 생산량(전망) : 185천톤(전년비 39.7%)
 
- 폭염 등에 따른 소비 증가로 가격 강세인 수박은 7월 말부터 단진안 지역 노지 물량이 본격 출하되고 있고, 다음 주부터 주산지인 충북 음성에서 2기작 출하가 예정됨에 따라 8월 상순 계절수요(말복)를 기점으로 가격은 점차 안정화될 전망이다.
 
농식품부는 여름철 폭염과 태풍 등 물가 위험이 잠재한 상황임을 고려하여,
 
김인중 식품산업정책실장 주재로 84() 14시 농업관측센터 오송 회의실에서 여름철 작황 변동성이 큰 농축산물 가격과 수급 상황 점검 회의를 개최한다.
 
< 농축산물 수급 동향 점검 회의 개요>
일시: ’21.8.4.() 14:00~15:30
장소: 농업관측본부 오송사무소 회의실
참석: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 농협경제지주(원예부장, 양곡부장, 축산유통부장),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수급기획부장), 농업관측센터장, 한우협회, 육계협회, 양계협회, 신선채소조합, 대아청과, 한국청과, 이마트, 롯데마트 등
 
이날 회의에서는 폭염, 태풍 등 여름철 작황 변동성에 대비한 배추무 비축 물량 확보, 사과배 추석 전 계약 재배 물량 확대 등 추석물가 안정을 위한 대책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 비축물량 확보(배추 1만톤, 2천톤), 예비묘 확보(배추 130만주), 계약출하 물량 확보(사과 14천톤, 12천톤), 영양제 할인 공급 등
 
폭염 피해 최소화를 위한 예방조치 이행 상황과 산지 작황, 유통단계 등 특이 동향 등을 점검하고, 도매시장별 경락 정보와 반입량 정보를 산지와 공유함으로써 산지의 적기 출하도 유도할 계획이다.
 
아울러 추석 성수기 농축산물 물가 안정화를 위해 추진 중인 성수품 공급 확대 계획이 차질 없이 이행될 수 있도록 농협, aT 등 유관기관 등과 협력체계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 석 전 3주간(9.1.~9.17.) 소고기는 평시대비 1.6(‘201.2), 돼지고기는 1.25(’201.15)가 공급되도록 출하시기를 조정하고, 농산물 2.4, 임산물 3.5배 등 평시대비 평균 1.5배 수준(작년 추석 1.3)으로 공급 확대
 
주요 농축산물 수급동향 및 전망
 
1. 축산물 (계란, 소고기, 돼지고기)
 
<1> 계란
 
계란은 지난 겨울 AI 방역조치 등에 따라 생산량이 감소했으나, 최근 생산 기반 회복 노력으로 평년 수준으로 생산량이 회복된 상황
 
- 코로나19로 인한 가정수요 지속으로 가격은 평년보다 다소 높게 형성되고 있으나, 향후 생산량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가격은 하락할 것으로 전망
 
* 1분기 가구당 계란 구매량(KREI) : (‘20) 129.1(’21) 137.7(6.7%)
** 계란 가격(30, ) : (평년)5,216 (2.15)7,821 (5.3)7,290 (7.1)7,545 (8.2)7,268
 
<2> 소고기·돼지고기·육계
 
, 돼지 및 육계 등은 사육마릿수가 평년보다 증가하여 공급 여력은 충분한 상황이나, 코로나19로 인한 가정소비 및 여름철 보양식 수요 등으로 가격은 평년보다 높은 편
 
후 평년 및 전년보다 많은 도축량, 수입량으로 가격은 점차 안정화될 것으로 전망
 
* 소고기 가격(등심 100g, ) : (평년)8,230 (3.2)10,200 (5.3)10,335 (7.1)10,279 (8.2)9,516
* 돼지고기 가격(삼겹살 100g, ) : (평년)2,161 (3.2)1,885 (5.3)2,404 (7.1)2,521 (8.2)2,522
 
2. 농산물 (배추, , 대파, 상추, 시금치, 깻잎, 사과, 배 등)
 
<1> 노지채소(배추··대파 등)
 
(배추) 5월 이후 봄배추출하되며 가격 안정화, 고랭지배추 생산량이 전년 대비 증가하여 평년 대비 낮은 가격 수준 지속
 
* 배추 가격(1포기, ) : (평년)4,464 (3.2)4,533 (5.3)5,258 (7.1)3,144 (8.2)3,568
 
() 노지봄무 저장출하 증가가격 약세 지속 중이며, 고랭지 산량 증가예상되며 평년 대비 가격 안정세 지속
 
* 무 가격(1, ) : (평년)2,144 (3.2)1,684 (5.3)1,505 (7.1)1,666 (8.2)1,906
 
(대파) 한파 영향으로 가격이 급등하였으나, 봄대파 출하 이후 산량이 증가하며 평년 대비 낮은 가격 수준 지속
 
* 대파 가격(1kg, ) : (평년)2,703 (3.2)7,399 (5.3)5,403 (7.1)2,197 (8.2)1,944
 
<2> 잎채소(상추·시금치·깻잎 등)
 
(상추) 폭염으로 인한 출하량 감소와 육류 수요 증가최근 격 강세, 생육기간이 짧아(30) 출하가 회복될 것이나 폭염 및 계절수요 등으로 평년 대비 가격 강세
 
* 청상추 가격(100g, ) : (평년)1,214 (3.2)901 (5.3)870 (7.1)1,095 (8.2)1,582
 
(시금치) 폭염으로 인한 출하량 감소로 최근 가격 강세, 더위에 약해 폭염 지속 시 평년 대비 가격 강세
 
* 시금치 가격(1kg, ) : (평년)10,341 (3.2)6,252 (5.3)6,084 (7.1)8,185 (8.2)20,631
 
(깻잎) 일조량 영향이 큰 깻잎은 7월 이후 기상 여건 양호로 생산량이 증가하여 평년 대비 가격 안정세
 
* 깻잎 가격(/100g, 평년비) : (평년)1,711 (3.2)2,002 (5.3)1,896 (7.1)1,799 (8.2)1,819
 
<3> 시설채소(애호박, 오이 등)
 
(애호박) 일조량 등 영향을 많이 받는 애호박은 최근 맑고 온인 날씨가 이어지면서 작황이 양호해 낮은 가격 유지 중
 
* 애호박 도매가격(/20, 평년비) : 615,374(42%) 79,609(28%) 8.2. 15,138
 
(오이) 강원권에서 주 출하 중인 오이는 작황이 양호해 출하량이 증가세를 보임에 따라 최근 가격 안정세 지속 중
 
* 오이 도매가격(/100, 평년비) : 630,635(42.1%) 739,084(0.4%) 8.2. 47,593
 
<4> 과일(사과·배 등)
 
(사과·) 작년 기상악화로 생산량이 감소하여 평년 대비 높은 격수준 유지 중이나, 올해 생육상황이 전년 대비 양호하며, 재배면적 증가로 생산량 증가 예상* 추석 전 가격 안정 전망
 
* 사과 생산량(전망) : 475천톤(전년비 12.5%) / 배 생산량(전망) : 185천톤(전년비 39.7%)
* 과 가격(후지 10, ) : (평년)21,753 (3.2)33,024 (5.3)34,140 (7.1)33,505 (8.2)32,945
* 배 가격(신고 10, ) : (평년)35,243 (3.2)45,184 (5.3)46,601 (7.1)49,739 (8.2)53,764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2021. 8. 3.]

목록
다음게시물 [농식품부] 강원 고성군 소재 돼지농장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진, 경기·강원 48시간 일시이동중지 명령 발령
이전게시물 [농식품부] 코로나19 방역, 여름철 안전사고·재해 예방 등 현장점검
전화걸기